•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법평가제도의 단계적 법제화

1977년 「환경보전법」에 환경영향평가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이래, 환경영향 평가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25년이 지났다. 환경영향평가제도는 무분별 한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의 심화와 일반 국민의 환경의식 고취로 비교적 단기간 에 많은 변화를 거쳤고, 규제위주의 개발단계 이후의 환경관리라는 환경영향평 가제도의 내재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0년에 사전환경성검토제도가 새 롭게 도입되었다.61)

또한 1991년 12월에 규제정비차원에서 환경, 교통, 재해영향평가를 단일법 체 계로 구성하였던 「舊환경 ․ 교통 ․ 재해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이 전문성을 강화한 다는 측면에서 2008년 3월에 다시 교통, 재해영향평가와 분리하여 「환경영향평 가법」으로 법제명을 변경하여 개정되었다는 점은 입법평가제도에 시사하는 바 가 있다.

한편, 개별법률에 근거하여 규제영향분석(1994년), 기술영향평가(2001년), 성 별영향평가(2002년), 부패영향평가(2005년), 갈등영향분석(2007년) 등이 이미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건강영향평가, 저출산영향평가, 인적자원영향평가, 전자정부영향평가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62) 특히 환경부는 개발사업에 대한

60) 박수진, 전게논문, 한국법제연구원, 2007. 9, 42면.

61) 최준규 ․ 서성철 ․ 주용준, “환경영향평가 문제의 원인 및 연계성 분석을 통한 제도개선 연 구”, 「환경영향평가」 제17권 제1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8, 11-12면.

환경영향평가와는 별도로 2010년에 건강영향평가63)(Health Impact Assessment) 를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입법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64)

따라서 입법평가제도의 별도 실시에 대한 법리적인 공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입법평가제도에 대한 도입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 된다면 입법평가제도를 법제화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규제개혁위원회의 규제영향분석과 법제처의 법률안심사와의 중복 내지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입법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입법평가제도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히 필요하다.

한편 입법평가제도를 법제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와 구체적인 도입방안 에 대한 면밀한 검토, 의견수렴 및 공론화작업, 시범실시 등 단계별 접근방법을 통해 제도화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65) 왜냐하면, 입법평가개념과 그 필요 성에 대한 논란이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고, 개별 법률에 대한 적용도 2007년 이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입법평가의 적용상 문제점에 대한 분석이 진 행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법평가제도를 여타의 영향평가제도와 같이 법률상 필수절차로서 제

62) 김둘순 ․ 강민아,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조건 연구”, 「2008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 대회 자료집」, 2008, 173면 ; 전자정부영향평가제도에 관한 사항은 안성경, “전자정부영 향평가제도의 신설에 관한 탐색적 연구”, 「법학연구」 제18권 제3호, 연세대학교 법학연 구소, 2008 참조.

63)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영향평가제도(Health Impact Assessment: HIA)를 일정한 정책이나 활동이 사람이나 특정장소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현재 또는 계획된 조 치의 결과를 예측 또는 행동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건강영향평가 는 특정의 조치가 구체적으로 행해지기 전의 정책의 입안단계에서 당해 정책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최대화하고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사전 적 건강영향평가(prospective HIA)”와 계획, 정책, 방안 등이 완성된 이후 진행되는 사업 에 대한 관련 정보의 제공 등을 위해 수행되는 “사후적 건강영향평가(Retrospective HIA)”를 포함하는 개념임. 한삼인 ․ 강홍균, “건강영향평가의 입법론적 고찰”,「환경법연 구」제29권 제2호, 한국환경법학회, 2007, 611-614면.

64) 한삼인 ․ 강홍균, 전게논문, 613면.

65) 한상우 ․ 강현철 ․ 류철호, 「국민불편 법령 개폐 등을 위한 입법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163-167면.

도화하기 위해서는 입법평가의 개념과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더불어 개 별 법률에 대한 ‘입법평가제도의 시범적용’을 통해 도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해 나 가는 동시에 입법평가제도에 대한 국민과 정부부처, 국회에 대한 인식제고 작업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철저한 준비과정을 거친 후에 입법평가 제도에 대한 법제화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 다.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본계획 수립연구」, 2008.

국토해양부, 「해사채취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Ⅴ)」, 2009.

김둘순 ․ 강민아,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조건 연구”, 「2008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8.

김수용, “입법평가의 의의와 평가기법”, 「전문가 자문회의 발표문」, 한국해양수 산개발원, 2009. 2.

김임순 ․ 한상욱 ․ 박주현, “유럽연합의 EA에 비춰본 한국의 환경평가제도 개선 방안”, 「환경영향평가」제15권 제2호, 2006.

김임순 ․ 박주현 ․ 한상욱 ․ 이은영 ․ 김한선 ․ 이은주, “친환경적 항만계획을 위한 전 략환경평가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제16권 제2호, 2007.

목진용 ․ 윤성순 ․ 박수진, 「해양환경영향평가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 개발원, 2006.

목진용 ․ 박수진, 「해양환경관리법의 주요 신설제도의 평가와 입법과제 중간보고 서」, 2009.5.

박균성 ․ 함태성, 「환경법」, 박영사, 2006.

박수진, “해양부문 환경평가 관련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월 간해양수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3.

______, “해양부문 환경평가제도 분석을 통한 입법평가제도의 발전적 방향에 관 한 소고”, 「환경영향평가모델을 통한 입법평가제도의 도입방안」, 한국법제 연구원, 2007. 9.

박수진 ․ 목진용, 「우리나라 해양환경법체계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 발원, 2007.

박진현, “법안비용추계제도의 헌법적 의의 및 운영과 과제”, 「입법평가 전문가회 의 자료집」, 2007. 2.

석인선, “환경영향평가절차상 주민참여 :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우에 관한 비교법 적 고찰을 중심으로”, 「환경법연구」제30권 제2호, 한국환경법학회, 2008.

안성경, “전자정부영향평가제도의 신설에 관한 탐색적 연구”, 「법학연구」제18권 제3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전학선, “입법절차에서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 「세계헌법연구」제14권 제3호, 국제헌법학회, 2008.

장병일, “입법평가제도와 법해석학의 관계”, 「한양법학」제19권 제3호, 2008. 10.

장학봉·박수진, “바다골재채취 관련 환경관리법제의 개선방향”,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5. 11.

장학봉 ․ 손규희, “해양환경관리법의 해역이용협의제도 개선방안”, 「현안과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12.

정준금, 「환경정책론」, 대영문화사, 2007.

정창화, “입법영향평가(GFA) 제도에 관한 연구”, 「유럽연구」, 제25권 제2호, 2007.

정호영, 「입법평가를 위한 법경제학적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04. 2.

정회성 ․ 변병설, 「환경정책의 이해」, 박영사, 2006.

최준규 ․ 서성철 ․ 주용준, “환경영향평가 문제의 원인 및 연계성 분석을 통한 제 도개선 연구”, 「환경영향평가」제17권 제1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8.

한삼인 ․ 강홍균, “건강영향평가의 입법론적 고찰”, 「환경법연구」제29권 제2호, 한국환경법학회, 2007.

한상우 ․ 강현철 ․ 류철호, 「국민불편 법령 개폐 등을 위한 입법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9.

함태성,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법적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4. 12.

해양수산부, 「환경관리해역 환경개선연구(Ⅲ)」, 2004. 10.

해양수산부, 「해사채취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Ⅱ)」, 2006.

해양수산부, 「해사채취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Ⅲ)」, 2007.

해양수산부, 「해사채취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Ⅳ)」, 2008.

환경부, 「2008 환경백서」, 2008.

<Abstract>

Evaluation of Legislation on the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Park, Su Jin (Senior Researcher, Korea Maritime Institute)

As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coastal and marine areas has been increasing, the destruction of the marine ecosystem and the decrease in the marine species has been accelerated and various events such as public water reclamation, indiscreet overfishing, oil pollution accidents has been major threats to marine environment.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for conserving the marine environment and minimizing the impact of those activities on the marine environment has been taken on additional importance.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is the measure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activities by investigating, estimating and evaluating the adverse impact of those activities on the marine environment in advance. This paper compares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Legislation and further analyzes the challenges to be tackled through Evaluation of Legislation for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Marine and coastal area utilization' and 'Deliberation System on Marine and coastal area Utilization'. Lastly, it also suggests problems and suggests recommendations in legislating the evaluation of legislation system.

※ Keywords :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MEA), Evaluation of Legislat- ion, Deliberation System on Marine and Coastal Area Utilization (DSM),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Marine and Coastal Area Utilization(EIAM),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