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도선별에 따른 토양오염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다. 고도선별

Table 4-5. Classification with particle size in this study soils

Sample RangeⅠ(%) RangeⅡ(%) RangeⅢ(%) Clay(%)

D-1 7.08 74.86 9.36 8.70

D-2 2.59 75.29 15.41 6.70

D-3 0.96 67.01 24.13 7.90

답 평균 3.54 72.39 16.30 7.77

J-1 1.72 87.08 7.03 4.17

J-2 3.07 78.42 10.83 7.68

J-3 1.37 69.41 17.07 12.14

전 평균 2.05 78.30 11.64 8.00

본 실험에서는 진행된 입도선별은 3가지 범위의 입자크기(2mm이상; Ra ngeⅠ, 2~0.02mm; RangeⅡ, 0.02mm이하; RangeⅢ, 0.005mm이하; Clay)에 대해 분류한 결과 조대입자 범위인 RangeⅠ은 일반적으로 돌이나 자갈이 며, 부지용도별로 답토양과 전토양이 각각 3.54%, 2.05%로 함량이 미량이 며, 단순히 큰 입자를 분리함으로서 효과적인 세척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 단했다.

대부분의 오염 토양이 분포하는 Range Ⅱ는 부지용도별로 비슷한 양상 을 보였으나, 전토양이 답토양보다 5.91%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오염물 질의 형태에 따라 세척액의 조성 및 전체 공정의 효율이 영향을 받을 것 이라고 예상된다. 이 범위에서는 입자의 크기에 따른 중금속의 분리 및 세 척액의 용해도가 중요한 세척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토양 입도 분포 형 태에서 가장 중요한 구간이므로 해당 입자구간의 분포율을 분석한 결과, J -1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지점 모두 0.053×0.02mm구간의 비율이 평균 42.14%로 가장 높게 분포하고 있으며 J-1시료의 경우 1.0×0.5mm구간의 비율이 59.12%로 나타났다.

RangeⅢ는 미세한 모래, Silt, Clay의 범위며, 이 구간의 토양은 유기화합 물이 강하게 흡착되어있을 수 있다. 이 구간에 대한 대상 6개 지점의 입도 선별을 비교한 결과, 부지용도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 7.89%로 분 석되었으며, J-3시료의 경우 12.14%로 평균보다 약 4.26% 높게 나타났다.

Fig. 4-8은 오염원 기준으로 거리(A; ~0.37km, B; ~0.37km, C; ~1.6km)에 따른 입경별 중금속 오염도를 도시한 결과, 각 부지용도별 오염도는 미립 으로 진행될수록 농도가 증가된다. 하지만, 거리에 따른 대상토양의 오염 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연구대상지역인 (구)장항제련소 주변 지역은 제련소굴뚝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광석의 운반과정 중 분진의 비 산에 의해 토양오염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토양오염 현황은 굴뚝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염물질의 종류, 농도, 심도가 점차 감 소되는 경향을 보인다[2].

토양환경보전법(제4조의 2)을 기준으로 입경별 중금속의 오염도를 비교 한 결과 비소의 경우, 1.00mm 이하에서 우려기준 1지역(25mg/kg)을 초과 하며, 0.15mm 이하에서 대책기준 1지역(75mg/kg)을 초과한다. 하지만, C지 역은 대책기준 1지역기준 미만으로 조사된다. 납의 경우, C지역과 일부입 경(B지역, D-2)을 제외하고 전 입경구간에서 우려기준 1지역(200mg/kg)을 초과하며, 0.15mm 이하에서 대책기준 1지역(450mg/kg)을 초과한다. 하지 만, C지역은 토양환경보전법 기준미만으로 조사된다. 이와 같이 비산먼지 에 의한 오염발생은 대기에 노출된 지표면에서 풍력에 의해 발생하는 먼 지로 불규칙적으로 흩어지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오염의 발생량 및 확산 특성이 불규칙하다.

[12]에 의해 (구)장항제련소부지의 기상 및 부지특성을 반영한 비산계수 를 산출한 결과 비산계수는 5.5×10.14 g/cm3에서 6.8×10.10 g/cm3로 조사 되어 부지 내 식생면적 비율과 토양입경분포 최빈값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된다고 보고하였다. 즉, 대상지역은 토양에서 부유 한 비산먼지가 잘 확산되지 않으며, 오염면적에 비해 오염길이가 짧아 확 산계수가 낮게 도출되었다. 이처럼, 중금속으로 오염된 표토는 비산되어 주변의 주거지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인 비산계수의 결정은 주변 위해성평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 다. 이를 위해서는 USEPA에서 수정, 제안한 방법과 같이 오염특성 및 기 상특성 등에 관한 국가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이 필요하다.

Fig. 4-8 Variation of heavy metal content accordance with particle size in this study soils.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