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구·사회변화에 따른 영향분석: FEATHERS

문서에서 주요 결론 및 정책제안 (페이지 113-117)

(2) 고령인구 증가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

고령화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여러 변화 중 특히 자가용 운전이 줄고 보행, 자전거, 버스·지하철 이용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시간대별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의 통행량을 살펴보면 현 상태(베이스라인)에 비해 고령화가 증가할 경우 출퇴근 시간대의 통행량 증가가 예측되었는데, 이는 출퇴근 통행목적의 대중교통 및 비동력수단의 이용량 증가에 기인하기 때문이다<그림 4-17, 4-18>.

<그림 4-17>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의 시간대별 교통량 분포 베이스라인 고령인구 증가

<그림 4-18>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목적

(3)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여성 취업률 증가)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예상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구 내에서 주부들이 주로 맡고 있는 활동인 쇼핑과 자녀 마중/배웅 활동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그림 4-19>.

현 상태(베이스라인)를 우선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의 자녀 마중/배웅 활동비율 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시나리오에서 제시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할지라 도 여성의 자녀 마중/배웅 활동비율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시간대별 자녀 마중/배웅 활동빈도의 경우도 시나리오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데 이는 자녀의 등/하교시간이 대부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한 시간 할당의 여지가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쇼핑 활동의 경우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에 따라 영향이 자녀 마중/배웅 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즉,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에 따라 쇼핑활동의 시간 때가 주로 저녁시간 때에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여성의 낮 시간 업무로 저녁시간 때로 쇼핑 활동을 이동시키기 때문이며, 향후 저녁시간 쇼핑몰 주변 교통량 증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남성의 경우도 저녁시간 쇼핑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여성의 직업 활동으로 남성과 여성이 쇼핑 활동을 분담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활동모형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서 기존 4단계 모형에서는 알 수 없었던 사회변화에 따른 교통의 파급영향 분석, 가구구성원 간의 활동 분담에 따른 교통변화, 통행목적별 영향정도의 차이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가구구성원들의 상호작용 패턴은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므로 한국형 활동모형 개발을 통해 국내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중, 배웅 쇼핑

x축: 활동시작시간(2200=오후10시)

<그림 4-19> 남성과 여성의 시간대별 자녀배웅 및 쇼핑 활동 분포 베이스라인 시나리오 여성취업률 20% 증가 시나리오

문서에서 주요 결론 및 정책제안 (페이지 113-1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