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와 직무만족도 및

Ⅳ. 연구결과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와 직무만족도 및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1) 운동종목 유형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표 6>운동종목 유형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종속변인 운 동 종 목 F

(df=2, 648) p 개인(n=412) 대인(n=147) 단체(n=92)

정화․성취 3.67±.67a 3.87±.67b 3.72±.64ab 5.01 .007 건강․체력 4.00±.59b 4.05±.59b 3.72±.62a 10.08 .000 사회성 2.88±.87a 3.55±.67b 3.70±.63b 64.81 .000 즐거움 3.47±.77a 3.98±.63b 4.09±.55b 46.08 .000

* 평균±표준편차 : 이하 동일

* abc는 Duncan 사후검정 결과로서 문자가 서로 다르면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의미 : 이하 동일

<표 6>은 4개의 참여동기 하위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운동종목 유형을 독립변 인으로 하여 일원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표 6>의 결과를 보 면, 정화․성취, 건강․체력, 사회성, 즐거움 등 모든 참여 동기요인들은 운동 종목 유 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종목 유형간 차이의 소 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로 정화․성취동기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인종목 참여자들이 개인종목 참여자보다 정화․성취동기에 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단체종목은 개인종목과 대인종목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 둘째로 건강․체력 동기 요인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개인종목 참여자 및 대인 종목 참여자가 단체종목 참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개인종목, 대인종목간에는 유의 한 차가 없었다. 셋째로 사회성 동기요인에서는 단체종목과 대인종목 참여자들이 개 인종목 참여자에 비하여 사회성 동기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로 즐거움 동

기 요인에서는 단체종목 참여자들이 개인종목 참여자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고 단체종목 및 대인종목 참여자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종목 참 여자들은 대인종목 및 단체종목 참여자 보다 건강․체력요인이 주된 참여동기 이유 로, 대인종목 참여자들은 개인종목 참여자에 비하여 정화․성취, 사회성, 즐거움 요인 등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단체종목 참여자들은 개인종목 참여자에 비하여 사 회성, 즐거움 요인 동기가 주된 참여동기 요인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성별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표 7> 성별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종속변인 성 별 F

(df=1, 649) p 남성(n=427) 여성(n=224)

정화․성취 3.78±.63 3.61±.73 9.77 .002

건강․체력 3.97±.62 3.97±.57 .00 .986

사회성 3.26±.86 2.92±.87 23.81 .000

즐거움 3.80±.69 3.44±.83 34.50 .000

<표 7>은 성별에 따른 참여동기 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그에 따른 일원분산 분석 결과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표 7>의 결과를 보면, 정화․성취, 사회성, 즐거 움 동기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화․

성취 동기 요인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얻고 있으며[F(1,649)=9.77 P<.002), 사회성[F(1,649)=23.81 P<.000] 및 즐거움[F(1,649)=34.50 P<.000] 동기 요인에 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체력요인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모두 건강 문제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연령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표 8> 연령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표 9> 학력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6) 직업군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표 11> 직업군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

종속변인

직 업 군

F

(df=2, 648) p 경찰군

(n=109)

교사군 (n=156)

일반사무직군 (n=386)

정화․성취 3.38±.75a 3.72±.60a 3.73±.68a .232 .793 건강․체력 3.86±.67a 4.10±.56b 3.95±.59a 5.837 .003 사회성 2.94±.79a 3.06±.87ab 3.24±.89b 5.831 .003 즐거움 3.69±.70a 3.64±.78a 3.69±.77a .231 .794 * 일반사무직군 : 공무원, 은행원, 대학교직원, 회사원 등

<표 11>은 직업군에 따른 참여동기 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그에 따른 일 원분산분석 결과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표 11>의 결과를 보면, 정화․성취 동기요 인과 즐거움 동기 요인은 직업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건강․체력 동기 요 인에서는 직업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648)=5.837 P<.003]. 사후검증을 실 시한 결과, 교사군이 경찰군, 일반사무직군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성 요인에서도 직업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648=5.831 P<.003].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반 사무직군이 경찰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교사군은 경찰 군과 일반 사무직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차이

(1) 운동종목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차이

<표 12> 운동종목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 차이

종속변인 운 동 종 목 F

(df=2, 648) p 개인(n=412) 대인(n=147) 단체(n=92)

직무만족 3.42±.42a 3.52±.39b 3.42±.40a 3.255 .039 내적만족 3.65±.47a 3.72±.44a 3.65±.42a 1.426 .241 외적만족 2.95±.58a 3.10±.56b 2.97±.58a 3.892 .021 생활만족 3.61±.59ab 3.71±.56b 3.56±.55a 2.223 .109

생활체육 참여자의 운동종목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의 결과를 보면, 내적 직무만족에서는 운동종목별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외적만족에서는 대인종목 참가자들이 개인, 단체종목 참가자보 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직무만족도에서도 외적 직무만족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생활만족도에서는 대인종목 참가자들이 단체종목 참가자들 보다 점수 가 높게 나타났으나, 개인종목과 단체종목, 대인종목과 개인종목간의 생활만족도는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차이

<표 13>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차이

종속변인 성 별 F

(df=1, 649) p 남성(n=427) 여성(n=224)

직무만족도 3.45±.40 3.42±.43 .092 .346

내적만족 3.69±.44 3.63±.49 2.194 .139

외적만족 2.98±.59 3.00±.54 .108 .743

생활만족도 3.62±.57 3.63±.60 .891 .762

생활체육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의 결과를 보면, 직무만족도(내적, 외적만족)와 생활만족도는 모두 성별에 따라서 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령에 따른 만족도 차이

<표 15>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차이

[F(2,548)=13.594 P<.000].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내적만족 요인과 같은 결과를 보

무만족도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월소득 유형에 따라 직 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군별 수입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3. 운동 참여변인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와 직무만족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