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선진시대는 톰센(C. J. Thomsen, 1788~1865)이 제창한 삼시대법의 두 번째 단계인 청동기 시대와 기막히게 부합할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유례없이 청동기의 문화적 지배가 관철된 시대였다.

이 글에서는 서주시대 청동예기의 분포 및 양식과 명문상의 차이를 토대로 당시 정치 문화적 공간을 왕기와 封國, 주변세력, 이방의 네 층차로 분류해보았다. 서주시대에 광범위하게 제작되어 사용된 청 동기는 당시 국가와 귀족들에게는 다양한 의미를 지녔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씨 장은 󰡔左傳󰡕

(宣公 3년)과 󰡔墨子󰡕(「耕柱」) 등에 언급된 夏代에 제작되어 商과 周에 이르기까지 왕조의 흥망에 따 라 권위의 상징으로 전이되었다는 九鼎 설화에 주목하며, 고대 중국에서 권력과 부에 이르는 최고의 수단으로 다음과 같이 청동기의 장악을 거론하고 있다.

九鼎 설화는 상당히 직설적이고, 이러한 신성한 청동용기의 소유가 왕의 통치를 합법화하는 데 활용되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러한 용기들은 명확하고 강력한 상징이었다. 즉, 그것들은 부 자체였고 부의 분위기를 자아냈기 때문에, 부의 상징이었다. 그것들은 또한 그 소유자들로 하여금 조상에 접근하도록 하는 모든 중요한 의례의 상징이었다. 그것들은 금속에 대한 장악의 상징이기도 했는데, 이는 조상과 정치적 권위를 향한 배타적 접근권의 장악을 의미하는 것이었 다.96)

이처럼 청동기의 소유가 권력과 부를 향한 상징으로서의 실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기에, 중국의 초기국가(특히 二里頭와 二里崗 시기) 형성이 청동원료를 비롯한 천연자원의 장악과 밀접하게 관련되 었으리라는 주장까지 제기된 바 있다.97) 서주 국가 역시 자신들이 확보한 청동합금과 이를 토대로 개발한 청동기 제작 기술을 봉국과 주변세력들에게 분여함으로써, 이들을 장악하는 방편으로 활용했

95) 李學勤, 「北京, 遼寧出土靑銅器與周初的燕」, 󰡔新出銅器硏究󰡕, 46~53쪽; Li Feng,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pp.335~340.

96) K.C. Chang, Art, Myth, and Ritual: the Path to Political Authority in Ancient Chin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p.97.

97) Liu Li & Xingchan Chen 지음, 심재훈 옮김, 󰡔중국 고대국가의 형성󰡕, 서울: 학연문화사, 2006.

을 것이다. 봉국과 주변 정치체의 고위 귀족들에게도 청동기의 소유는 권위와 부에 도달하는 상징적 수단이었음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주의 정치적 영향권으로부터의 이탈은 청동 제작 기술 보급과의 단절을 의미할 수도 있 어서, 독자적 비주 주변 정치체들은 주 왕실과 정치적 관계의 추이에 따라 때로는 주왕실의 후원 하 에, 때로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청동기를 제작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렇듯 청동예기에 대한 갈망을 유지한 주변 정치체들은 점차 주에 동화되어 동주시대에 개념화된 이른바 華夏의 구성원으로 편입되 었을 개연성이 있다. 반면에 주의 청동예기에 대한 기호는 지니고 있었어도, 중심지와 봉국들 사이 나 변경에 산재한 주변과 이방 정치체들의 주식 예제 자체에 대한 무관심과 거부는 후대에 이른바 蠻夷戎狄으로 개념화된 異族의 형성에 일조했을 것이다.

이 글에서 살펴본 왕기와 봉국, 주변세력, 이방의 네 층차는 서주시대 영역국가로의 발전이 아직 요원했기 때문에 정확히 구획하여 도식화하기는 불가능하다. 청동예기에 대한 상당히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도, 우연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고고학 자료의 성격상 그 정확한 분류 역시 일정한 한 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陶器나 청동무기 등의 자료 역시 청동예기와는 다 른 양상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은 청동예기를 토대로 서주시대 중심과 주변의 최고위층 귀 족문화의 한 단면만을 살펴본 것임을 밝혀둔다.

<참고문헌>

甘肅省博物館文物隊 등, 「甘肅靈臺縣兩周墓葬」, 󰡔考古󰡕 1976-1.

郭沫若, 「靑銅器時代」, 󰡔靑銅時代󰡕(초판 1945), 󰡔郭沫若全集󰡕 歷史編 第一卷, 北京: 人民出版社, 1982.

郭沫若, 󰡔兩周金文辭大系圖錄考釋󰡕, 北京: 科學出版社, 1957.

郭寶鈞, 󰡔山彪鎭與琉璃閣󰡕 上篇, 北京: 科學出版社, 1959.

郭寶鈞, 󰡔商周靑銅器綜合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1981.

김정열, 「요서지역 출토 상, 주 청동예기의 성격에 대하여」, 이청규 등,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 화󰡕,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金正烈, 「기억되지 않은 왕들: 서주시대의 지역 정치체에 대한 연구」, 󰡔崇實史學󰡕 25, 2010.

김정열, 「하가점상층문화에 보이는 중원식 청동예기의 연대와 유입 경위」, 󰡔한국상고사학보󰡕 72, 2011.

內蒙古自治區文物考古硏究所 등, 󰡔小黑石溝: 夏家店上層文化遺址發掘報告󰡕, 北京: 科學出版社, 2009.

盧連成, 胡智生, 「陝西地區西周墓葬和窖藏坑出土的靑銅禮器」, 󰡔寶鷄 國墓地󰡕, 北京: 文物出版社, 1988.

唐蘭, 「宜侯夨簋考釋」, 󰡔考古學報󰡕 1956-2.

리쉐친 지음, 심재훈 옮김, 󰡔중국 청동기의 신비󰡕, 서울: 학고재, 2005.

白川靜, 󰡔白川靜著作集󰡕 別卷, 東京: 平凡社, 2004.

保利藝術博物館, 󰡔保利藏金(續): 保利藝術博物館精品選󰡕, 廣州: 嶺南美術出版社, 2001.

본 팔켄하우젠, 로타 저, 심재훈 역,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서울: 세창출판사, 2011.

山西省考古硏究所, 北京大學考古系, 「天馬-曲村遺址北趙晉侯墓地第四次發掘」, 󰡔文物󰡕 1994-8.

山西省考古硏究所大河口墓地聯合考古隊, 「山西省翼城縣大河口西周墓地」, 󰡔考古󰡕 2011-7.

上海博物館 編, 󰡔晉國奇珍: 山西晉侯墓群出土文物精品󰡕, 上海: 上海人民美術出版社, 2002.

徐少華, 󰡔周代南土歷史地理與文化󰡕, 武漢: 武漢大學出版社, 1994.

松丸道雄, 「西周靑銅器中の諸侯製作器について: 周金文硏究, 序章その二」, 󰡔西周靑銅器とその國家󰡕,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0.

󰡔首陽吉金: 胡盈瑩范季融藏中國古代靑銅器󰡕,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8.

沈載勳, 「晉侯蘇編鐘 銘文과 西周 後期 晉國의 發展」, 󰡔中國史硏究󰡕 10, 2000.

沈載勳, 「北趙 晉侯墓地의 年代와 性格 試論」, 󰡔中國史硏究󰡕 22, 2003.

沈載勳, 「「周書」의 “戎殷”과 西周 金文의 戎」, 󰡔東洋史學硏究󰡕 92, 2005.

沈載勳, 「金文에 나타난 西周 군사력 구성과 왕권」, 󰡔中國史硏究󰡕 41, 2006.

沈載勳, 「상쟁하는 고대사 서술과 대안 모색: 󰡔詩經󰡕 “韓奕”편 다시 읽기」, 󰡔東方學志󰡕 137, 2007.

심재훈, 「商周시대 移民과 국가: 동서 융합을 통한 절반의 중국 형성」, 󰡔東洋史學硏究󰡕 103, 2008.

심재훈, 「발을 잘라 신발에 맞추기: 하상주단대공정 서주 기년의 허와 실」, 󰡔하상주단대공정: 중국 고대문명 연구의 허와 실󰡕, 동북아역사재단, 2008.

兪偉超, 高明, 「周代用鼎制度硏究」, 󰡔北京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 1978-1, 1978-2, 1979-2.

李喬, 「應國歷史與地理問題考述」, 󰡔中原文物󰡕 2010-6.

李峰, 「黃河流域西周墓葬出土靑銅禮器的分期與年代」, 󰡔考古學報󰡕 1988-4.

李學勤, 「從新出銅器看長江下遊文化的發展」, 󰡔文物󰡕 1980-8.

李學勤, 「西周時期的諸侯國靑銅器」, 󰡔新出靑銅器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1990.

李學勤, 「北京,遼寧出土靑銅器與周初的燕」, 󰡔新出銅器硏究󰡕.

李學勤, 「靜方鼎與周昭王曆日」, 󰡔夏商周年代學札記󰡕, 沈陽: 遼寧大學出版社, 1999.

林巳奈夫, 󰡔殷周時代靑銅器の硏究: 殷周靑銅器綜覽一󰡕, 東京: 吉川弘文館, 1984.

任偉, 󰡔西周封國考疑󰡕,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張栢忠, 「霍林河礦區附近發現的西周銅器」, 󰡔內蒙古文物考古󰡕 1982-2.

張栢忠, 「霍林河上游出土周代銅器的幾點補正」, 󰡔社會科學戰線󰡕 1982-2.

張長壽, 陳公柔, 王世民, 󰡔西周銅器分期斷代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1999.

曹瑋, 「從靑銅器的演化試論西周前後期之交的禮制變化」, 編委會 編, 󰡔周秦文化硏究󰡕, 西安: 陝西人民出 版社, 1998.

趙鐵寒, 「春秋時期的戎狄地理分布及其原流󰡕, 󰡔古史考述󰡕, 臺北: 正中書局, 1965.

朱鳳瀚, 󰡔中國靑銅器綜論󰡕, 上海: 上海古籍, 2010.

周永珍, 「西周時期的應國,鄧國銅器及地理位置」, 󰡔考古󰡕 1982-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中國考古學·兩周卷󰡕, 北京: 中國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豊西發掘隊, 「長安張家坡西周井叔墓地發掘簡報」, 󰡔考古󰡕 1986-1.

中美聯合歸城考古隊, 「山東龍口市歸城兩周城址調査簡報」, 󰡔考古󰡕 2011-3.

陳夢家, 󰡔西周銅器斷代󰡕, 北京: 中華書局, 2004.

陳槃, 󰡔春秋大事表列國作姓及存滅表譔異󰡕, 臺北: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1969.

陳芳妹, 「晉侯墓地靑銅器所見性別硏究的新線索」, 上海博物館 編, 󰡔晉侯墓地出土靑銅器國際學術討論會 論文集󰡕, 上海: 上海書畵出版社, 2002.

陳佩芬, 󰡔夏商周靑銅器硏究󰡕,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4.

平頂山文管會, 「平頂山市新出土西周靑銅器」, 󰡔中原文物󰡕 1988-1.

平頂山文管會, 張肇武, 「平頂山市新出土西周應國靑銅器」, 󰡔文物󰡕 1984-12.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三門峽市文物工作隊, 󰡔三門峽虢國墓󰡕, 北京: 文物出版社, 1999.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平頂山市文物管理委員會, 「平頂山應國墓地九十五號墓的發掘」, 󰡔華夏考古󰡕 1992-3.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平頂山市文物管理委員會, 「平頂山應國墓地八十四號墓發掘簡報」, 󰡔文物󰡕 1998-9.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平頂山市文物管理局, 「平頂山應國墓地八號墓發掘簡報」, 󰡔華夏考古󰡕 2007-1.

河南省文物硏究所, 平頂山市文管會, 「平頂山市北滍村兩周墓地一號發掘簡報」, 󰡔華夏考古󰡕 1988-1.

黃盛璋, 「銅器銘文宜虞夨的地望及其與吳國的關係」, 󰡔考古學報󰡕 1983-3.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 등, 「湖北隨州葉家山西周墓地發掘簡報」, 󰡔文物󰡕 2011-11.

Liu Li & Xingchan Chen 지음, 심재훈 옮김, 󰡔중국 고대국가의 형성󰡕, 서울: 학연문화사, 2006.

Chang, K.C. Art, Myth, and Ritual: the Path to Political Authority in Ancient China,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Falkenhausen, Lothar von, Suspended Music: Chime-Bells in the culture of Bronze Age Chin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Li Feng, “Literacy Crossing Cultural Borders: Evidence from the Bronze Inscriptions of the Western Zhou Period (1045~771 B.C.),” The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y 74, 2002.

Li Feng,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Li Feng, Bureaucracy and the State in Early China: Governing the Western Zhou,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Rawson, Jessica, “Late Western Zhou: A Break in the Shang Bronze Tradition,” Early China 11-12, 1985~87.

Rawson, Jessica, Western Zhou Ritual Bronzes from the Arthur M. Sackler Collections, Washington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