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운동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실험 전 후 신체구성 혈액개선의 변화 · ,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52)

↓ 자료처리

C. 운동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실험 전 후 신체구성 혈액개선의 변화 · ,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집단 간 실험 전 혈액개선 신체구성의 변화에 대한 분, 석은 <표 6>, <그림 6>, <그림 7>과 같다 실험 전 그룹 간의 신체구성인 체중. 과 체지방률은 변화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에서 또한 그룹간의 변화는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BMI

다 혈액개선 요소에서도 그룹 간의 실험 전 변화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그룹과 통제그룹 집단의 각 실험 후 신체구성, BMI, 혈액개선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표 7>, <그림 8>, <그림 9>과 같다 실험 후 그룹 가의 신체구성. 요소인 체중과 체지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MI에서 도 각 그룹간의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혈액개선요인. 에서는 그룹 간의 실험 후 TG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표 6. 운동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사전 신체구성과 혈액개선의 변화 M±SD

운동그룹 통제그룹 t p

체중(kg) 79.30±7.84 75.00±5.46 1.189 .147 체지방률(%) 17.30±5.25 16.557±4.09 .295 .711 BMI(kg/ )㎡ 24.74±2.49 24.37±2.44 .281 .941 TG(mg/dl) 60.14±4.05 53.28±9.08 1.823 .201 HDL-C(mg/dl) 48.61±6.40 59.05±13.46 -1.853 .216 LDL-C(mg/dl) 97.64±25.53 87.81±23.22 -.090 .677 TC(mg/dl) 158.28±24.31 166.57±17.77 -.728 .359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p<.05, **p<.01, ***p<.00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체중(kg) 체지방률(%) BMI(kg/㎡)

운동그룹 통제그룹

그림 두 집단 간의 실험 전 신체구성 변화

< 6>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TG(mg/dl) HDL-C(mg/dl) LDL-C(mg/dl) TC(mg/dl)

운동그룹 통제그룹

그림 두 집단 간의 실험 전 혈액개선요인 변화

< 7>

표 7.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사후 신체구성과 혈액개선의 변화 M±SD

운동그룹 통제그룹 t p

체중(kg) 77.90±6.79 74.91±5.49 .904 .358 체지방률(%) 14.94±5.63 16.41±4.08 -.559 .459 BMI(kg/ )㎡ 23.94±2.48 24.17±2.49 -.172 .897 TG(mg/dl) 39.57±3.25 52.00±7.57 -3.989 .006**

HDL-C(mg/dl) 54.18±4.56 58.07±12.67 -.763 .141 LDL-C(mg/dl) 80.47±10.91 106.64±35.20 -1.879 .110 TC(mg/dl) 142.57±10.35 167.28±21.99 -2.689 .215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p<.05, **p<.01, ***p<.00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체중(kg) 체지방률(%) BMI(kg/㎡)

운동그룹 통제그룹

그림 두 집단 간 실험 후 신체구성 변화

< 8>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TG(mg/dl) HDL-C(mg/dl) LDL-C(mg/dl) TC(mg/dl)

운동그룹 통제그룹

그림 두 집단 간 실험 후 혈액개선요인 변화

< 9>

논 의 .

신체구성의 변화 A.

에 의한 보고를 보고에 따르면 주 회의 규칙적인 운동은 노년

ACSM(2005) 3

의 신체조성을 보완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보고하였다 오장록( , 성인의 건강한 삶의 질을 높이기위해선 적절한 운동과 신체활동을 규칙적 2014).

으로 하는 것으로 정신의 피폐를 예방하며 신체조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오 래도록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스스로의 건강. 증진 행위를 실행하고 지속하여 노화예방에 대한 사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된다. 하지만 지속적인 운동을 통하여 체중과 선체구성에 긍정적인 변 화를 가져올 수 있 었 으며 오미연( , 2013),그중 규칙적으로 실행하는 유산소 운동은 비만자, 노인이나 정 상인과 성인병 환자의 체지방량을 하향시키는 것으 로 보고되어 있으며(오미연 2013). 이러한 변화는 운동 강도에서 뿐만 아니 라 운동 빈도 횟수에도 비례한다 고 보 고 하 였 다 (P ollock et al,1975).

김기 봉( 2 0 0 1 )은 여 성 노 인을 대상으로 하여 RPE1315의 강도로 60분간 주 회 총 주 동안 시행한 에어로빅댄스로 인하여 체지방률의 하향되었음을 1 4 12

검증하였으며,Anek 등(2011)은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박스점핑을 사 용한 서킷트레이닝의 결과로 체지방률이 하향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등 은 다양한 중량운동으로 구성된 장기간의 단일 섹션 서킷트 Marques (2011)

레이닝을 통해 중년여성의 체지방율 감소를 보고하였으며,Takeshima 등 은 주간의 유산소와 무산소의 복합적 서킷트레이닝의 결과로 체지방율 (2004) 12

의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F erreira 등(2010)은 10주간의 서킷 저항트레이닝의 결과 30, 40대 여 성에게서 체지방의 감소가 나타남을 보고하였으며, Fett 등(2009)은 두 달 동안

성인여성에게 서킷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나타난 체지방량에 대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간의 순환운동프로그램을 실시 후 체지방률이 하향되어 선행논문8 의 서킷트레이닝의 연구와 결과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는 현재까지도 과학적인 방법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는 신체질량지수를 BMI

나타내며 몸무게와 키를 활용하여 지방의 양을 어림짐작 하는 비만 측정 방, 법으로 아래와 같은 공식에 의해 계산되어 진다.

신체질량지수(BMI) = 체중 / 신장(m)² 키 몸무게

Ex=> 160 54 = 21.1

신체질량지수는 체지방의 정도에 대하여 비교적으로 정확히 산출하여지며 신 장과 체중으로 손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며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 누게 되면 이것이 신체질량지수이다 또 한 가지의 장점으로는 비만도 혹은 건강. 위험요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할 뿐만 아니라 비만분류 체계에 대한 개발을 촉진 하는 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료수집이 간편하고 객관적이며 검사에 대, , 한 특별한 도구나 전문성이 크게 작용되지는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김태훈.( , 이것은 년대부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몸무게와 신장만을 2006). 1990

이용하여 산출되고 성별 체격 연령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 , BMI는 체지방 률에 대하여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이가영( , 2016).

또한 김영범(1997)은 초등학교 비만학생들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 한 결과 피험자의 신장은 증가하고 체중은 감소하였으며 이 연구로 인하여 신장, 의 경우는 8주간 실험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유의하게 상승되 었고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통제집단이, , 조금 더 증가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서영환 손연희, (2012)은 여자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방과 후 재즈댄스프 로그램을 8주간 시행한 후 체중과 신장, 체지방률이 실험 전 후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바가 있었다 이가영( , 2016)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BMI의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였을 때 운동그룹 의 실험 전 24.74±2.49에서 실험 후 23.94±2.4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다.

혈액개선의 변화 B.

현대인들의 식습관의 불규칙함과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혈중 지질성분 중 의 수치를 상승시키고 를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LDL-C, TG, TC , HDL-C ,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며 고지혈증 같은 대사성 증후군을 발병, 시킨다. 상승된 순환 TG 농도는 심혈관의 독립적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비만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혈액 속 지질성분의 변화 (Patel et al., 2004),

에 대하여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폐경 보낸 중년여성의 경우 폐경. 을 하기 전과 비교하여 LDL-C와 TC의 상승과 함께 저하된 HDL-C 수치 를 확인할 수 있는데(Carr et al., 2003), 이러한 혈중지질의 변화는 복부 지방 세포의 증가와 폐경기로의 전이되는 기간 동안 내장지방의 세포가 특 이적인 증가로 인하여 일어나게 된다(Hanah et al., 2010).

특히 복부비만으로 의거한 체지방의 상승은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고혈, , , 압 고지혈증 등을 상반하는 폐경기의 대사성 증후군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감안하였을 때 과체중과 비만이 건강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심각 성을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Missso et al., 2005). 한편 다수의 연구를, 통하여 비만과 과체중의 사람들의 체중조절의 필요성은 당뇨병을 포함한 심 혈관질환 등의 위험 요인을 개선과 함께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압수치의 저하 혈중, TG 수준에 대한 감소, HDl-C의 증가, LDL-C의 저하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 폐경 이후 비만을 가지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개월

Joseph(2011) 6

간의 운동을 시행하여 본 결과 LDL-C, TG, TC는 감소되게 하였으며 는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HDL-C . Zorba(2011)

주간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결과 는 감소하였고

12 LDL-C, TG, TC ,

는 상승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김기봉 장원기 는 지속적인 저

HDL-C . , (2000)

항성운동과 유산소성 운동이 LDL-C, TC를 저하시키고, HDL-C는 상승시 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김남경, (2012)은 50에서 60대의 비만을 가지 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12주간의 복합적 순환운동을 시행한 결 과 HDL-C, TG, LDL-C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박홍, 기(2011)는 비만을 가지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순환운동을 진행한 결과 LDL-C와 TG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정선(2009)은 신체구성 체지방율 체지방량 복부지방률 체중 은 저하( , , , ) 하고 혈중지질(TC, TG, LDL-C)은 저하하게 되었지만 HDL-C는 상승 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오미연( , 2013). Shaw, Shaw & krasilshchikov(2009) 는 유산소와 저항트레이닝의 복합운동으로 LDL-C가 감소되었다고 보고하 였다 김정호. (2012)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순환운동을 실시한 결과 TC, TG 그리고 LDL-C가 감소하였고 HDL-C는 증가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8주간 순환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TG, TC, LDL-C가 감소하였으며 HDL-C는 상승하여 이는 서킷 트레이닝과 혈중지질에 대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8주간 운동그룹 순환운동프로그램 과 통제그룹에서 검도선수들의( ) 신체구성, BMI, 혈액개선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선수로 활동을 하고 있는 검도선수 14명으로 이들은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되었으며 운동그룹만 주, 5회 40분씩 최대심 박수 60%~의 강도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총 2회에 걸쳐 모든 피험자들로부터 채취하여 혈액개선요 인 검사와 신체구성검사 BMI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확보한 자료는 유의차 검증을, 위해 집단 내에서는 Paired T-test ,를 집단과 집단 간에는 Independent

를 시행하였으며 유의수준은

T-test , p<.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구성의 변화는 운동그룹과 통제그룹 모두 실험 전보다 심헐 후 감소하 1.

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도 변화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I(신체질량지수 에서는) 운동그룹에서만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BMI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 며(p<.01), 집단 간의 실험 전 후 작은 차이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개선요인의 변화는 운동그룹에서만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2. TC, HDL-C,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LDL-C, TC (p<.05, p<.01, p<.001)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 후 T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러한 결론을 종합하면 검도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순환운동프로그램이 신,

체구성, BMI, 혈액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얻을 수 있었으며 추, 후 연구에서는 검도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순 환운동프로그램의 운동프로그램의 종류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상조 박재현 김미예, , (2004) 운동선수의 제충비 추정을 위한 BMI지수의 적절성, 한국학회지, 44(2): 29-38.

강대관(2001).수중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체조성과 혈청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2),519-527.

김기봉, 장원기(2000). 장시간의 테니스운동이 중년여성의 혈압,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4): 589-600.

김재일(1996). 검도총서 서울. : 서민사.

김인산(2008) 검도경기의 운동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9(6), 85-92.

김영범(1997). 트레이닝 및 디트레이닝이 비만아동이 신체구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원논문. .

김영학(1996). 전공검도 서울 생능출판사. : . 김진원(1994). 트레이닝 이론 서울 동화문화사. : .

대한검도학회지(2005) 지속적인 검도 훈련에 따른 비만 남학생의 혈중지질 변. 화.

대한운동사회(2007) 운동생리학 서울 한미의학. : .

박연정(2006) 검도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The)effect of fencing leader's type of leadership o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from duty.

박대희(2000). 지속적 걷기 운동이 혈중지질과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박동호(2006). 살 빼기 탁월 “15 순환운동 인기 대한체육회” . , 287,26-29.

박인기(1994). 12주 수영훈련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

서영환(2010). 체육 스포츠와 건강과학. . 대경북스.

손연희, 서영환(2012). 방과후 재즈댄스활동이 여자중학생들의 신체형태 및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5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