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의 필요성

WHO(2006)는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급속도로 증가추세에 있어 비만을 전 세계적인 역병으로 보고 있다.2005년에 16억 명 이상의 성인이 과체중이며,최소 4 억 명 이상이 비만이라고 보고하였으며,2015년에는 23억 명의 성인이 과체중이고 최소 7억 명 이상이 비만으로 진단될 것으로 추산하였다.이러한 비만 인구의 증가 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만의 문제가 아니며,비만으로 인한 보건학적,사회경제학 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Prentice,2006;Yoon etal.,2006).국내의 비만 이환율을 살펴보면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1998년 6.8%에서 2005년 12.0%로 약 1.8배 증가하 였고,성인비만은 1998년 26.3%에서 2005년 31.7%로 우리나라 또한 비만인구가 급 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퇴행성 질환의 위험도와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복부 비만율이 성인 인구의 약 37%에 해당하며 남성 은 40세 이후,여성은 50세 이후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이다(보건복지부,2000;

2007).비만의 원인은 대부분 유전적 요인,잘못된 식생활습관 및 신체활동 부족으 로 일어나며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지방의 분포가 둔부-대퇴 부위에서 복부 부위로 재 분포되기 때문에 복부 비만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한다(김현수,1999).즉,복부 주위로의 지방의 재 분포는 인슐린 기능 저하,고 지혈증, 그리고 고혈압 등의 대사증후군의 발생과 높은 상관을 가지고 있다 (Reaven,2004).

대사증후군은 Reaven(1988)이 여러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이 군집해서 나타나는 경 우를 ‘syndromeX'라고 명명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그 이후 인슐린저항성이 라는 공통적인 병인을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등으로 불려 왔다(Haffner etal.,1992).2001년 NationalCholesterolEducation Program(NCEP) AdultTreatmentPanel(ATP)Ⅲ에서는 복부비만,고혈압,고혈당증 고지혈증,저 HDL-콜레스테롤 중 3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을 때 대사증후군으로 정의 하였으며, 동양인의 경우 같은 체질량지수에서 서양인에 비해 복부비만이 더 심한 것으로 알

려져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복부비만 진단기준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시키는 운동강도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이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미국스포츠의학 회(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미국질병예방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Controland Prevention),그리고 미국국립위생연구소(NationalInstituteof Health)에 따르면 중강도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Pateetal,,1995;SurgeonGeneral report,1996).하지만 저강도 유산소성 운동이 체지방 감량에 효과적 이라는 연구 결과(Johnson etal.,2007)와 복부 체지방의 선택적 감량 및 운동 효과의 측면에서 중등도 이상에서 실시하는 고강도 유산소 운동이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 하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Farrelletal.,1998;Sherwood etal.,2000;Tremblay et al.,1994)그리고 운동강도간 개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들을(강설 중 등,2009;Mougiosetal.,2006)살펴볼 때 복부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적정 운동강도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운동강도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 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예방하고 개선 하기 위한 운동처방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통제 그룹,저강도 운동 그룹,중강도 운동 그룹으로 나누어 12주간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를 규명하여 건강유지 및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의 효과를 알리고 이 를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운동처방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12주간의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 실시 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2)12주간의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 실시 후 인슐린저항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할 것이다.

3)1),2)를 토대로 하여 비만 중년여성에 있어 효과적인 운동처방의 기초자료를 제 시할 것이다.

3.연구의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1)12주간의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 실시 후 운동그룹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가 운동 전 보다 개선될 것이며 운동강도별 차이가 나타 날 것이다.

2)12주간의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 실시 후 운동그룹의 인슐린저항성이 운동 전 보다 개선될 것이며 운동강도별 차이가 나타 날 것이다.

4.연구의 범위

1)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년여성 중 체지방률(body fat)이 35%가 넘으며 자발적으 로 참여에 동의한 27명으로 구성하였다.

2)대상자 중 운동그룹은 저강도(HRR 40%)와 중강도(HRR 60%)로 나누어 12주간 걷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3)처치기간 동안 대상자의 식생활은 동일하지 않았으나,측정항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약이나 기타 약제의 복용을 금하도록 하였다.

4)각 측정항목은 실험 전과 실험 후 12주에 걸쳐 총 2회 실시 하였다.

5)본 연구에서 종속 변인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로는 비만지표인 체중,BMI,체지 방률,허리둘레,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TC(totalcholesterol),TG(triglyceride),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공복혈당(glucose)을 측정 하였으며 인슐린저항성 지표로는 insulin 및 HOMA-IR을 측정하였다.

5.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1)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J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27명으로 모집단을 대표하기에 는 한계가 있다.

2)실험기간 동안 대상자들은 본 프로그램 이외의 신체활동을 가능한 자제하도록 권장하였으나,완전한 통제는 불가능하였다.

3)대상자의 유전적 특성 및 생리적,심리적 요인들은 동일하게 통제하지 못하였다.

6.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1)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인슐린저항성,복부비만,고혈압,제2형 당뇨 병,이상지질혈증 등 심혈관질환의 복합체에 작용하는 임상적 용어이다.

2)인슐린저항성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IR)은 인슐린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인 인슐 린 감수성(insulin sensitivity)이 저하된 상태 및 이에 따른 보상기전인 고인슐린혈증 (hyperinsulindemia)이 관련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