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및 청소년 성격유형검사(MMTIC)에 따른 학생들의 성 격유형과 교과별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적 특성을 이해하고 성격유형에 따른 교과지도, 생활지도에 도움을 주고, 진로지도의 자료를 교사, 학부모, 학생들에게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양식을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한 이론적 배경과 관련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성격유형의 네 가지 선호경향(E-I, S-N, T-F, J-P)은 교과별(국어, 수학, 사회, 자연, 체육, 음악, 미술)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나는가?

둘째, 성격유형의 네 가지 기능(ST, SF, NT, NF)은 교과별(국어, 수학, 사회, 자 연, 체육, 음악, 미술)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나는가?

셋째, 성격유형의 네 가지 기질(SP, SJ, NT, NF)은 교과별(국어, 수학, 사회, 자 연, 체육, 음악, 미술)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나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성격유형의 네 가지 선호경향은 교과별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1. 외향성향(E)을 지닌 집단과 내향성향(I)을 지닌 집단간에는 교과별 학업성 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2. 감각성향(S)을 지닌 집단과 직관성향(N)을 지닌 집단간에는 교과별 학업 성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3. 사고성향(T)을 지닌 집단과 감정성향(F)을 지닌 집단간에는 교과별 학업 성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4. 판단성향(J)을 지닌 집단과 인식성향(P)을 지닌 집단간에는 교과별 학업성 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성격유형의 네 가지 기능(ST, SF, NT, NF)은 교과별 학업성취에서 차 이가 있을 것이다.

2-1. 네 가지 기능에 따라 분류된 집단(ST, SF, NT, NF)간에는 교과별 학업성 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성격유형의 네 가지 기질(SP, SJ, NT, NF)은 교과별 학업성취에서 차이 가 있을 것이다.

3-1. 네 가지 기질에 따라 분류된 집단(SP, SJ, NT, NF)간에는 교과별 학업성 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주시내 S초등학교 4학년 아동 388명(남215 명, 여17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성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MMTIC 검사를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대상자에게 검사를 실시하였고 교과별 학업 성취는 S초등학교의 수행평가 계획에 따른 2학기의 결과를 영역별로 3단계로 분류 하여 과목별 합산한 점수를 연구의 변인으로 정했다.

자료처리는 네 가지 선호경향 중 명백한 선호성을 나타내지 않는 U밴드를 포함 시킨 전체 388명의 자료와 U밴드를 제외시킨 159명의 자료로 나누어 SPSS 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 선호경향에 따른 교과별 학업성취의 차이검증에서 E-I 지표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에서는 음악과의 학업성취에서 E( X=9.41), I( X=9.00), U( X

=8.67) 순으로(F=5.25, p<.01)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U밴드를 제외한 자료에서 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N지표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와 U밴드 를 제외한 자료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F지표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에서는 음악과에서 F( X=9.33), U( X=9.04), T( X=8.29)의 순으로 (F=4.64, p<.05)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U밴드를 제외한 자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J-P지표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에서는 국어과에서 P( X

=11.83), U( X=11.15), J( X=10.52) 순으로(F=6.58, p<.01), 수학과에서 P( X=11.22), U( X=10.46), J( X=10.29) 순으로(F=3.80, p<.05), 사회과에서 P( X=9.30), U( X

=8.56), J( X=8.42) 순으로(F=6.20, p<.01), 자연과에서 P( X=9.26), U( X=8.61), J ( X=8.10) 순으로(F=8.49, p<.01) 음악과에서 P( X=9.44), U( X=8.86), J( X=8.32) 순으로(F=7.76, p<.01), 미술과에서 P( X=10.91), U( X=10.51), J( X=9.68) 순으로 (F=4.52, p<.05)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U밴드를 제외한 자료에서는 P선호도 집단이 국어과(t=-2.12, p<.05), 자연과(t=-2.28, p<.05), 음악과(t=-2.18, p<.05), 미 술과(t=-2.08,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네 가지 기능(ST, SF, NT, NF)에 따른 교과별 학업성취의 차이검증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에서는 사회과에서 SF( X=9.37), U( X=9.19), NF( X=8.95), NT( X=7.88), ST( X=7.60) 순으로(F=2.71, p<.05), 음악과에서 SF( X=9.54), U( X

=9.30), NF( X=9.14), NT( X=8.88), ST( X=7.30) 순으로(F=3.69, p<.01), 미술과에 서 NT( X=12.13), NF( X=10.86), SF( X=10.80), U( X=10.61), ST( X=8.60) 순으 로(F=3.16, p<.05)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U밴드를 제외한 자료에서는 음악과 에서 NT( X=10.00), SF( X=9.95), NF( X=9.34), ST( X=7.50) 순으로(F=3.00, p<.05), 미술과에서 NT( X=14.67), SF( X=11.44), NF( X=10.86), ST( X=6.50) 순 으로(F=10.10, p<.01)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네 가지 기질(SP, SJ, NT, NF)에 따른 교과별 학업성취의 차이검증에서 U밴드를 포함한 자료에서는 국어과에서 SP( X=12.45), NT( X=11.86), U( X

=11.54), NF( X=11.44), SJ( X=9.85) 순으로(F=3.78, p<.01), 사회과에서 SP( X

=9.74), NF( X=9.07), U( X=8.98), SJ( X=8.38), NT( X=7.86) 순으로(F=2.45, p<0.05), 체육과에서 NT( X=14.14), SP( X=14.00), U( X=13.74), NF( X=13.42), SJ( X=11.77) 순으로(F=2.41, p<.05), 음악과에서 SP( X=9.81), NT( X=9.29), NF ( X=9.22), U( X=9.15), SJ( X=8.08) 순으로(F=2.67, p<.05), 미술과에서 NT( X

=12.43), SP( X=11.17), NF( X=10.85), U( X=10.59), SJ( X=9.00) 순으로(F=3.54, p<.01)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U밴드를 제외한 자료에서는 국어과에서 NT( X

=13.00), SP( X=12.43), NF( X=11.52), SJ( X=10.20) 순으로(F=3.35, p<.05), 미술과 에서 NT( X=14.67), SP( X=11.46), NF( X=10.86), SJ( X=9.40) 순으로(F=5.34, p<.01)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성격유형에 따라 교과별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가 증명이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