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 및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6)

C. 당뇨병 치료 관련 요인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관련 특성 및 당뇨병 관련 특성과 치료 여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필요 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당뇨병으로 진 단받은 경험이 있는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 23,7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 뇨병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관련 특성, 당뇨병 관 련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치료 여부를 종속변수로 처리하여 빈도와 백분 율, 카이제곱 검정, 교차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련여부 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당뇨병 치료여부와 관련 있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으로 여성이 치료율이 높았고, 연령과 교육수준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거주지역이 농어촌 인 경우가 치료율이 높았다,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관련 특성으로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인 경우 치료율이 높았고, 당뇨병 관련 특성은 혈당수치인 지, 본인인지 혈당조절, 당뇨병 관리교육을 인지한 경우에 치료율이 더 높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당뇨병 환자의 치료여부와의 관련성 있는 특성을 찾고 효율적인 관리와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이 제공된다면 오랫동안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감신, 예민혜, 이성국, 천병렬. 고혈압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연구. 예 방의학회지 1991; 24(2):221-31.

강나래, 안영미, 이지은, 손민. 당뇨병 캠프의 자가간호 교육이 제 1형 당뇨병 아동의 당뇨관리행위, 당뇨지식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간호학회 2014; 20(3):168-175

구미옥.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제6기 국민건 강영양 조사자료(2013-2015) 활용. 성인간호학회지 2019; 31(3): 235-248.

김미정, 엄지연, 양인숙. 보건교사의 당뇨병 학생 관리 현황과 당뇨병 관리 교육요구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 29(3):645-664.

김상아, 박웅섭, 채영란, 최동희. 한국 성인 근로자의 성별에 따른 제 2형 당 뇨병 유병률과 위험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16(11):7589-7598.

김성옥. 고혈압과 당뇨병 노인의 복약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 국임상약학회지 2011; 21(2):81-89.

김소미. 황태윤, 나민아, 이경수, 염석헌. 일개 종합병원에서의 치료 미순응 노 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 관리 실태. 농촌의학ㆍ지역보건 2017; 42(4):226-233.

김수영, 나은희, 조선. 당뇨병에서의 동반질환 유병률 및 조합유병률. 한국보 건정보통계학회지 2018; 43(3):237-244.

김영란, 이태용, 박창수.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보건의료 수준과 치료순응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6; 17(5):104-115.

김유미.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Rosiglitazone의 치료 효과 및 반응도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2.

김윤정, 조은희. 당뇨병 관리전략을 위한 혈당조절 관련 생활습관 요인:국민 건강영양조사 활용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9;

10(11):501-510.

김은자, 현진숙. 입원중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개별 당뇨교육이 당뇨지식과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9;9(4):479 -487.

김의중. 당뇨병 환자에 대한 당뇨병 교육이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익산. 2008.

김태균, 강예은, 김지민, 홍우정, 김군순, 김현진, 김영건, 구본정. 원저 : 당뇨 캠프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내과학회지 2012; 83(2):

210-215.

김현아, 김헌성.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인크레틴 기반 약물치료요법. 한국임 상약학회지 2011;21(2):57-65.

류영상, 김진화, 김상용. 뇌졸중 환자의 당뇨병 약물 요법. 대한신경과학회지 2019; 37(3):235-250.

박종혁, 신영수, 이상이, 박재현. 고혈압약 투약을 시작한 장애인의 투약 순응도 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7; 40:249-58.

박지혜.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metformin/dipeptidyl peptidase-4 저해제 병용요 법과 metformin/sulfonylurea 병용요법의 효능과 부작용 비교.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서울. 2014.

방윤이. 제 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 램의 효과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9; 20(4):121-128.

서영미, 최원희. 당뇨환자의 신경병증 통증과 혈당조절정도 및 자가 관리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3; 14(4):1774-1780.

손영은.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검사 및 당화혈색소 검사 수진 관련 요인.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광주. 2016

여수정. 당뇨병 환자 대상 집중관리프로그램이 혈액성상, 당뇨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8; 23(2):148-161.

유은우, 이윤미. 노인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자가관리행위. 성인 간호학회지 2018; 30(4):376-384.

이상화, 김현리. 당뇨병 환자의 교육 경험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건 강관련 삶의 질 비교. 농촌의학ㆍ지역보건 2018; 43(2):85-96.

이윤서, 청장년층 당뇨병 유병자의 당뇨 인지율 및 치료율 관련요인. 석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서울. 2015.

이정아, 박경미, 선우성, 양윤준, 서영성, 송상욱, 김병성, 김영식. 제2형 당뇨 병 환자의 약물 치료 순응도와 연관된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12(2):75-82.

이태용, 김광환. 개인 의료기관에 내원한 고혈압 및 당뇨병환자에게 실시한 건강교육이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09;

10(2):425-431.

이태용, 김광환.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병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09; 10(5):1141-1147.

이현기. 사회경제적 여건이 당뇨병의 치료 및 조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2.

임선영, 정아름, 한찬정, 이진희, 고승현, 윤건호. 과체중 이상의 당뇨병 전단

계 성인에서 체력, 신체 활동, 운동과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관련성 : 한 국인 당뇨병 예방연구사업, 지역사회기반 중재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2019;14(1):435-447.

임현정, 김응준.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한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한 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17; 19(4):85-97.

임형택, 최경섭. 40세 이상 당뇨환자에서 당뇨 안 검진과 관련된 요인 분석:제4기 국민건강 영양 조사자료. 대한안과학회지 2012;53(4):516-521.

장성옥 , 이종석. 강원도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병의 유병률과 관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 18(1):625-636.

장은희.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성별 혈당조절 영향요인. 재활간호학회지 2018;

21(2):121-131.

장채욱, 서재명, 강소형. 복합운동이 당뇨병환자의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8; 27(6):949-956.

전경숙, 최은숙, 이효영. 의료이용의 남녀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보건간호학회지 2010; 24(2):182-196.

정은경.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 식습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3

조수경, 박경. 성인 당뇨병 환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혈당, 당화혈색소, 혈압, 및 혈중지질 지표의 변화 추이 : 국민건강영양조사 1998 ~ 2014 분석 결 과. 한국영양학회 2019; 52(2):206-216.

질병관리본부. (201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1차년도(2016): 보건 복지부

표은영. 당뇨병 유병자의 인지, 치료 및 혈당 조절 관련 성별 생활습관 요인에 관한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3.

조현정, 류진환, 예성호, 긴유일, 허봉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정도에 대한 인식과 HbA1c 값 비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5; 5(1):31-36.

홍두호, 서화정, 강경희, 김은주, 임정수, 오대규, 임준. 고혈압ㆍ당뇨병 신규 환자 발견 이후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등록관리가 치료 순응도 및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농촌의학ㆍ지역보건 2008; 33(3):316-323.

홍재석, 강희정. 우리나라 성인 2형 당뇨환자에서의 외래 투약 순응도와 관련 요인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10; 20(2):128-14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Complications [Internet]. Arlington (V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6 [cited 2016 Oct 4].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g/living- with-diabetes/complication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_a. Strategies for improving care. Sec. 1. I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5. Diabetes Care 2015;38(Suppl.1) :S5-S7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Nathan DM, Genuth S, Lachin J, Cleary P, Crofford O, Davis M, Rand L, Siebert C.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1993; 329(14):

977-986.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 Atlas Eighth Edition 2017 [internet]. 2017.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atlas.org/across-the -globe.html

Jang SM. A study on family function being effected to self-care of diabetic patient. Journal of Family Welfare 1999;4(0):243-263 (Korean) Kang HS, Ahn YM, Lee JE, Sohn M. School nurses’ manage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 21(-):176-18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2016,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VI-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n)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6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6 [cited 2019 Nov. 17].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pro/news/

admin.php?category =A&code=admin&number=1428&mode=vie

Ohkubo Y, Kishikawa H, Araki E, Miyata T, Isami S, Motoyoshi S, Kojima Y, Furuyoshi N, Shichiri M. Intensive insulin therapy prevents the progression of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Japanese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prospective 6-year study. Diabetes Res Clin Pract 1995;

28(2): 103-117.

Osterberg L, Blaschke T. Adherence to medication. N Engl J Med 2005;353(5):487-9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