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 자료분석방법

Ⅴ. 요약 및 결론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급증하고 있고, 더불어 핵가족화 현상과 노인부양의식의 약화로 노인들의 경제적 불안정, 건강보호의 문제, 조기정년제, 역할상실,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가족관계의 문제 등의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면서 발생하는 노인 자살자 수는 지난 몇 년 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자살률이 다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 건강행태, 만성질환 이환여부, 정신건강 등을 파악하고, 노인들의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10년-2011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 설문조사에 참여하여 분석에 필요한 변수가 모두 확보된 2,84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만성질환 이환여부, 정신건강은 빈도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각 변수들 간 자살 사고와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들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자살 사고와 자살 시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22.3%가 1년 동안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그 중 5.3%가 자살 시도를 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자살 생각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령일수록, 남자 노인보다는 여자 노인이, 배우자가 없을 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월 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현재 흡연을 하거나, 과 거 흡연을 한 경우, 평소 스트레스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2주이상 연속 우울감을 느낄수록 높게 나타났다.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자 노인보다 남자 노인이, 2주 이상 연 속 우울감을 느낄수록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해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문제들을 빨리 인식하 고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자살은 비 노인들의 자살처럼 어떤 한 두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요인들을

검토하여 노인 자살의 과정을 총괄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직·간접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09년부터 보건복지부의 노인 보건 복지사업에 의해 노인 보호 전문기관이 노인 자살 예방 교육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배진희 외,2009). 하 지만 여전히 각 지역의 문제인식, 자원 등의 차이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에 노인 자살의 원인 규명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 을 가지고, 노인 자살 예방 및 해결을 위한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 어 져야 할 것이고,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노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과 같은 실 효성 높은 대책들이 개발·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2차년도 (2011), 질병관리본부

김 공(2010).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에 대한 지도자역할 모형 구축. 박 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대학원.

김기정, 표갑수(2008). 재가 노인의 우울감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노인복지연 구, 39, 111-144.

김미령(2012).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 년학회지, 32(1), 145-161

김성순(1981). 노인복지론, 이우.

김수현, 최현희(2007).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 국노년학회지, 27(4), 775-788.

김영주(2010).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경제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사회학회, 20(1), 265-308.

김정원, 김초강(1997). 일부 노인의 건강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4(1), 73-95.

김창진, 황진수(2008). 노인성 질환과 우울증이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8(3), 425-442.

김현경, 고성희, 정승희(2010). 노인의 자살 생각과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 회지, 24(1), 82-92.

김형수(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김형수(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1), 159-172.

김형수(2006).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노인과 청소년 자살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4, 271-292.

김혜경(2002). 노인의 건강행위 및 관련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한림대학교 대학원.

김효창, 손영미(2006).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 학회지 : 사회문제. 12(2),1-19.

김희자(2000). 만성질환을 가진 재가노인의 지각한 사회적지지 정도와 우울,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남기민, 김옥배(2006). 고령화 사회와 노인 복지, 양서원.

문동규(2012).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노인 복지학회, 55, 133-158.

박노동(2004).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 원.

박봉길(2008).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 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8(4), 969-989.

박영숙, 김효정(1997).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회지, 62(2), 119-127.

박재황, 노용환, 위대한(2001). 농어촌과 지방도시에서 노인 자살 기도자에 대 한 임상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2(2),135-142.

박차상, 김옥희, 배창진, 엄기욱, 이경남, 정상양(2002). 한국노인복지론, 학 지사.

배지연(2004).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신문기사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23, 65-82.

배진희, 엄기욱(2009). 노인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지, 29(4), 1427-1444.

서현미(2000).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사회적망, 사회적지지 및 건강과의 관 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3(1), 59-72.

손덕순, 이홍직(2006).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 연구, 31, 181-205.

손환희(2004). 서울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2), 72-92.

송영달, 손지아, 박순미 (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 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사회학회지, 30(2), 643-660.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1985). 노인복지편람,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양경미 (2003). 재가 노인의 학대와 대처방안 및 학대결과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윤혜경 (2013). 65세 이상 인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관련 요인 분석:독거노인 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5기 2차년

도(2008,2011) 자료를 기본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이동호 (2010).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30, 93-108.

이선애(2006). 노인 운동행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구성인자 분 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영자, 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사회적 지지의 완 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19(3), 79-93.

이응창, 남칠현(1997). 노인의 정신건강 및 행위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 인. 한국노년학회지, 17(3), 117-149.

이지연, 위광휘(2000). 사회적 지지망에 관한 발달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5-28.

이현경, 장창곡(2012).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 과의 연관성. 대한보건연구, 38(1), 69-79.

전경숙(2008). 노년기 건강의 사회적 요인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지, 28(3), 459-475.

전길양, 김정옥(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155-186.

전종덕(2012).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정지연, 김준수, 최현정, 이가영, 박태진(2009).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 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대한가정의학학회 지, 30(1), 598-609.

조계화, 김영경(2008).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176-187

최성재, 장인협(2006). 노인 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연희, 김수현(2008).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 년학회지, 28(2), 345-355.

최영희, 신경림, 고성희, 공수자, 공은숙 등 (2006). 노인과 건강. 서울: 현문 사.

통계청(2009). 사회통계조사관련 보고서.

통계청(2011). 고령자 통계.

통계청(2013). 고령자 통계.

2012년 사망원인통계.

한삼성, 강석욱, 유왕근, 피영규(2009).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보건사회연구, 29(1), 192-212.

함봉실(1997). 건강생활양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허 정(1981). 한국의 노인문제와 예상되는 연구과제. 한국노년학회 춘계세미 나 논문, 5-7.

Awata, S., Seki, T., Koizum, Y., Sato, S., Hozawa, A., Omori, K., Kuriyama, S., Arai, H., Nagatomi, R., Matsuoka, H., Tsuji, I.(2005).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chiatry Clin Neurosci, 59(3),327-336.

Canetto, S. S., Lester, D. (1999). Motives for suicide notes from Women and Men. Psychological reports. 85(2), 471-472.

Chen, C., Yang, M., Chang, S., Chueh, K., Su, Y., Yu., & Cheng, T. C.

(2008). Suicidal thoughts among elderiy Taiwanese Aboriginal women. Int J Geriatr Psychiatry, 23, 1001-1006.

Day, K. (2007). Elder abuse in context of poverty and deprivation and emergency department care. Austral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0, 169-177.

Fairweather, A. K., Anstey,K. J., Rodger, B., Jorm, A.F., & Christensen, H. (2007). Age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Australian suicide ideators: Prevalence and correlates. J Nerv Ment Dis, 195(2), 130-136.

One, Y., Tanaka, E., Oyama, H., Toyokawa, K., Koizumi, T., Shinohe, K., Satoh, K., Nishizuka, E., Kominato, H., Nakamura, K., Yoshimura, K., (2001). Epidemiology of suicidal ideation and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elderly in Japan. Pschiatry Clin Neurosci, 55,605-61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