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 및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62)

C.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V.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17일부터 7월 31일까지 해 양경찰교육원에서 기본 교육 및 전문교육을 받은 해양경찰관 293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과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다중회 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39.72±16.56점이었고, 회 복탄력성 평균 84.46±9.85점, 사회적지지 평균 86.16±16.21점, 집단문화 9.50±2.26점, 합리문화 10.79±1.94점, 발전문화 9.61±1.95점, 위계문화 10.96±2.00점이었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결 혼여부(β=.194, p=.002), 흡연여부(β=.152, p=.010), 규칙적인 운동여부(β

=-.185, p<.001), 총 근무기간(β=-.154, p=.033), 회복탄력성(β=.310, p<.001), 사회적지지(β=.250, p<.001), 집단문화(β=.158, p=.004)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6.5%이었다.

본 연구 결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은 개인적인 특성 뿐 아 니라 가족과 동료들의 지지, 근무 환경 및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향 후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조직 차원의 관리가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하 며, 가족 및 동료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친근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는 근무환경 및 문화의 변화가 이루어지면 외상 후 성장을 높일 수 있을 것으 로 사료 된다.

Reference

[1] Kim JG, Kim KH. Effects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 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 maritime police SWAT. Korean Maritime Police Science. 2013;3(1):3-23.

[2] Korea coast guard. Korea coast guard PTSD status survey.

Dain. 2016.

[3] Lee OJ, Ji YH. Articles : The analysis of field police officer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for the application of police job stress reduction program.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2010;12(4):173-203.

[4] Song H, Lee YS. The effects of hard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post traumatic growth: active coping as a mediating variabl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1;12(4):1231-1246.

[5]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71.

[6] Maercker A, Zoellner T. The janus face of self 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 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41-8.

[7] Kwak MY, Bae JY. Post 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fire fight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7;26(2):124-133.

[8] Lee JS, Park HS.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vocational calling on post traumatic growth in police offic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7;26(4):382-390.

[9] Jeon BJ, Kim HS.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post traumatic growth in traumatized new public officers application of tedeschi & calhouns model.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9;21(1):71-107.

[10] Jung YK, Choi ER,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post traumatic growth in korea police officers - focus on police officers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2014;16(5):243-276.

[11] Chai MH, Lee SH. The effects of maritime police officer’s resilience 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2019;28(1):247-270.

[12] Kim SH, Lee MH. The degre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marine police officers relationship with resilie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1):269-276.

[13] Lee KH, Moon JS. A study on the effects of PTSD on alcohol use disorders in maritime police offic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2014;16(4):105-129.

[14]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15] Shin WY, Kim MG, Kim JH.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9;20(4):105-131.

[16] You JS.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time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2019, Nonsan, Korea.

[17]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85,

[18] Kim Y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5, Seoul, Korea.

[19] Tracey JB, Tannenbaum SL, Kavanagh MJ.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the importance of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1995;80(2):239-252.

[20] Kim HJ.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2;36(4):87-105.

[21] Yoon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korea coast guard on work site applic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2017, Seoul, Korea.

[22] Kim KT. A study on th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management of correction officer. The Police Science Journal.

2019;14(3):61-80.

[23] Fire Service Bureau. Operating plan of 2015 firefighter’s counseling center. Seoul: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24] Kim SH.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police officers.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2018;27(2):69-90.

[25] Ha BY, Jung EJ, Choi SY. Effects of resilienc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83-91.

[26] Moon YM.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middle-aged police’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elf concept and career adapt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2018, Jeju, Korea.

[27] Lee CA, Choi JM.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maritime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engagement. Korean Association for Organizational Studies. 2019;16(1):69-99.

[28] Yang KH. An analysis of post traumatic growth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2014, Seoul, Korea.

[29] Lee SH, Kim DH. The relation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police officers who worked in local patrol divis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2017;16(3):281-310.

[30] Kim YK.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mong employe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8, Gwangju, Korea.

[31] Yoon S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ingle people time use and leisure behavior : A comparison of single people an unmarried group and a married group.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lation. 2002;20(6):209-217.

[32] Choi YH, Chae JH.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eating and mental psychological state among adolescents : based on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1):7321-7328.

[33] Joo AR.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dual earner coupl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221-229.

disorder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2009;116(6):777-784.

[35] Cho HM.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 traumatic growth in stomach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5, Seoul, Korea.

[36] Kang HA. Impact of post traumatic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 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9, Seoul, Korea.

[37] Tedeschi RG, Calhoun LG. Post 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38] Kim J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orea coast guar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unsan University 2014, Gunsan, Korea.

<부록>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저는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서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문성모입니다.

본 설문조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선생님께서 응답해주신 이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되며 저의 연구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절 대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편한 마음으로 각 문항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 쁘신 가운데도 불구하고 설문에 응해주신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도교수 : 최성우(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연 구 자 : 문성모(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연 락 처 : 010-8899-0119 IRB연락처: 061-740-7289 E-mail : smmoon82@hanmail.net

Ⅰ.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이 경험한 외상사건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변화에 관한 내용입 니다. 외상사건 이후 본인의 변화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V” 표시 해 주십시오.

문항

전 혀 경 험 못 함

매 우 적 게 경 험

조 금

경 험 보 통

경 험 많 이

경 험 매 우 많 이 경 험

1 나는 인생에서 무엇이 중요한 지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2 나는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3 영적 ․ 정신적 세계에 대한 이해가 더 커졌다.

4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다른 사람들에게도

의지할 수 있게 되었다.

5 내 삶에 대한 새로운 계획이 생겼다.

6 나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더 큰 친밀감을

느끼게 되었다

7 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8 나는 내 삶을 통해 더 가치 있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되었다.

9

내 삶에서 경험하게 되는 것들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

10 나는 매일 매일에 대해 더 감사하게 되었다.

11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정이 더 깊어지게

되었다.

12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정성을 기울이게

되었다.

13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은 단지 생각으로만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게 되었다.

14 나는 종교적인 믿음이 더 깊어졌다.

15 나는 생각했던 것보다 내 자신이 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6 나는 이웃의 필요성을 이전보다 더 인정하게

되었다.

Ⅱ. 평소 본인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것에 “V” 표시 해 주십시오.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

1 나는 문제가 생기면 여러 가지 가능한 해결방안에 대해

먼저 생각한 후에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2 나는 감사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

3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

4 나는 내 삶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들은

다 갖고 있다.

5 나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에 대한 적절한

문구나 단어를 잘 찾아낸다.

6 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문제의 원인을 잘 알고

있다고 믿는다.

7 나는 분위기나 대화 상대에 따라 대화를 잘

이끌어 갈 수 있다.

8 나는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감정을 통제할 수 있다.

9 나는 재치 있는 농담을 잘 한다.

10 나와 정기적으로 만나는 사람들은 대부분 나를

싫어하게 된다.

11 내 인생의 여러 가지 조건들은 만족스럽다.

12 내가 고맙게 여기는 것들 모두 적는다면,

아주 긴 목록이 될 것이다.

13 내가 무슨 생각을 하면, 그 생각이 내 기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잘 알아챈다.

14 나는 당장 해야 할 일이 있으면 어떠한 유혹이나

방해도 잘 이겨낼 수 있다.

15 나는 동료가 화를 낼 경우 그 이유를

꽤 잘 아는 편이다.

맞든 아니든,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계 속)

문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

17 나는 사람들의 얼굴표정을 보면 어떤 감정인지

알 수 있다.

18 나는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친구가 별로 없는 편이다.

19 나는 서로 마음을 터놓고 얘기할 수 있는 친구가

거의 없다.

20 세상을 둘러볼 때, 내가 고마워 할 것이 별로 없다.

21 슬퍼하거나 화를 내거나 당황하는 사람을 보면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잘 알 수 있다.

22 아무리 당황스럽고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나는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 잘 안다.

23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나는 모든 일이 다

잘 해결될 거라고 확신한다.

24 어려운 일이 생기면 그 원인이 무엇 인지

신중하게 생각한 후에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25 열심히 일하면 언제나 보답이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26 이슈가 되는 문제를 가족이나 친구들과 토론할 때

감정을 잘 통제할 수 있다.

27 나는 일이 생각대로 잘 안 풀리면 쉽게 포기하는

편이다.

Ⅲ.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당시에 주위사람들(가족, 친척, 친구, 애인, 선후배, 동료경찰관 등)이 귀하에게 어느 정도로 도움을 주었다고 느꼈는지 해당되는 것에 “V” 표시 해 주십시오.

문항 거 의

아 님 약 간 보 통 많 이 매 우 많 이 1 내가 사랑과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었다.

2 나의 문제를 기꺼이 들어주었다.

3 함께 있으면 친밀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4 그들은 내가 마음 놓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고

생각한다.

5 나를 인격적으로 존중해주었다.

6 항상 나의 일에 관심을 갖고 걱정해 주었다.

7 나의 의견을 존중해주고 대체로 받아들여 주었다.

8 내가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나의 기분을 전환시키려고

노력하였다.

9 그들은 직접 도움을 줄 수 있을 때는 다른 사람을

보내서라도 도왔다.

10 그들은 배울 점이 많은 사람들이다.

11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해주었다.

12 의논한 문제가 생길 때마다 나를 도와주었다.

13 내가 몰랐던 사실을 일깨워주고 확실하게 해주었다.

14 내가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일 때 결단할 수 있는

용기를 주었다.

15 나의 문제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었다.

16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할 때 합리적인 결정을 하도록

조언해주었다.

17 내가 필요하다고 하면 아무리 큰 돈도 마련해 주었다.

18 그들은 무슨 일이든 대가를 바라지 않고 최선을 다해

나를 도와주었다.

19 내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언제라도 빌려주었다.

20 내가 몸져 누워있을 때 나의 일을 대신해 주었다.

21 내가 취한 행동의 옳고 그름을 공정하게 평가해 주었

다.

22 내가 가치 있는 존재임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다.

23 그들은 내가 하고 있는 일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정해주었다.

24 내가 잘했을 때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잘 적응하도록 건전한 충고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