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파종량(15, 20, 25, 30, 35, 40 kg/ha) 및 파종기(3월 27일, 4월 6 일, 4월 16일, 4월 26일, 5월 6일, 5월 16일)에 따른 피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등을 분석하여 적정 파종량과 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Ⅰ. 파종량에 따른 제주피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1. 초장은 15 kg/ha 파종구에서 155.5 cm였으나,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 차적으로 길어져, 35 kg/ha 파종구에서 초장은 162 cm였고, 그 이상의 40 kg/ha 파종구에서는 152.7 cm로 작아졌다.

2.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개체당 무게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3. 생초수량은 15 kg/ha 파종구에서 61.0 MT/ha, 건물수량은 11.9 MT/ha, 조 단백질수량은 0.9 MT/ha, TDN수량은 6.1 MT/ha였으나, 파종량이 증가할 수록 35 kg/ha 파종구에서는 생초수량은 73.0 MT/ha, 건물수량은 16.9 MT/ha, 조단백질수량은 1.6 MT/ha, TDN수량은 9.7 MT/ha로 증가하여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상 파종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조성분 변화는 파종량이 15 kg/ha에서 40 kg/ha로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 질함량은 7.4%에서 10.4%로, 조지방함량은 3.3%에서 5.2%로, 가용무질소 물함량은 46.4%에서 47.8%로, TDN함량은 52.1%에서 60.4%로 높아졌으 나, 조섬유함량은 30.3%에서 27.6%로, 조회분함량은 12.7%에서 9.0%로 낮 아지는 경향이었다.

시험 Ⅱ. 파종기에 따른 제주피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1. 초장은 3월 27일 파종에서 141.1 cm이었고, 4월 6일 파종에서 143.2 cm로 가장 컸으나,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는 점차적으로 작아져, 5월 16일 파종 에서는 119.2 cm였다.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체당 무게 등의 형질도 초장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2. 생초수량은 3월 27일 파종에서 59.7 MT/ha, 건물수량은 12.7 MT/ha, 조단 백질수량은 1.0 MT/ha, TDN수량은 6.8 MT/ha였고, 4월 6일 파종에서는 62.5 MT/ha, 건물수량은 13.9 MT/ha, 조단백질수량은 1.1 MT/ha, TDN 수량은 7.6 MT/ha로 가장 높았으나, 그 이후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여 5월 16일 파종에서는 생초수량이 38.2 MT/ha, 건물수량이 6.2 MT/ha, 조단백질수량이 0.7 MT/ha, TDN수량이 3.7 MT/ha였다.

3. 3월 27일 파종에서 5월 16일 파종으로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7.9%에서 10.8%로, 조지방 함량은 4.6%에서 6.0%로, 가용물질소물 함량은 45.1%에서 46.5%로, TDN 함량은 54.2%에서 60.8%로 높아졌으나, 조섬유함량은 28.9%에서 25.6%로, 조회분 함량은 13.5%에서 11.2%로 낮 아지는 경향이었다.

참고문헌

Beuerlein, J. E., H. A. Fribourg, and F. F. Bell. 1968. Effect of environment and cutting on regrowth of a sorghum-sudangrass hybrid. Crop Sci. 8:152-155.

Cherrey, J. H., and G. C. Marten. 1982. Small grain crop forage potential:

I. Biological and chemical determinants of quality and yield. Crop Sci.

22:227-231.

조남기, 강영길, 김인식, 조영일, 오은경. 2001. 제주조의 재식밀도에 따른 주 요형질,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한초지 21(2):53-58.

조남기, 강영길, 부창훈. 2001. 질소분시가 청예피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 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2):253-258.

조남기, 부창훈, 강영길, 조영일. 2001a. 질소시비량이 청예피의 생육특성, 수 량 및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2):259-266.

조남기, 송창길, 김인식, 조영일, 오은경. 2001b. 제주메조의 주당 본수에 따른 주요형질,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967-972.

조남기, 송창길, 송승운, 조영일, 오은경. 2001c.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귀리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4):

561-568.

Christensen, N. B., J. C. Palmer, H. A. Praeger, Jr., W. D. Stegmeier, and R. L. Vanderlip. 1984. Pearl millet, a potential crop for Kans. Agr.

Exp. Station up with Res 77.

Christensen, N. B., R. L. Vanderlip, and G. A. Milliken. 1987. Response of

pearl millet to grain sorghum environments. Field Crops Res.

16:337-338.

전병태, 이상무, 신동운, 문상호, 김운식. 1992. 파종량과 재식양식이 수수-수 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 초지 12(1):49-58.

최동윤, 이종, 윤창범, 고종언, 양창범, 고서봉, 이희석. 1995. 제주지역 봄 재 배 귀리의 파종기별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 농업논문집 37(1):481-486.

Creel, R. J., and H. A. Fribourg. 1981. Interactions between forage sorghum cultivars and defoliation management. Agron. J. 73:463-469.

Donald, C. M. 1963. Competition among crop and pasture plants. Adv.

Agron. 5. N. Y. and London.

George, J. R. 1981. Grain crop production in the North Central United States. 3rd print.

지영린. 1979. 재배학범론. 향문사. pp.470-471.

지영식. 1987. 귀리개량을 위한 실용형질의 선택지수에 관한 연구. 제주대 석 사학위논문.

Grogan, C. O., M. S. Zuber, N. Brown, D. C. Peters, and H. E. Brown.

1959. Date of planting studies with corn. Mo. Agr. Expt. Sta. Bul.

706.

한건준, 김동암. 1992.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사료가 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1):59-66.

한인규, 김동암, 조무한, 한건준. 1995. 최대 청예사료 생산을 위한 수단그라스 계 잡종호밀 2모작 작부체계에서의 적정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 한축 지 37(6):661-668.

Han, I. K., Park, S. H., and Kim, K. I. 1971a. Studies on the nutritive values of the native grasses and legumes in Korea. II. Location and family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Korean native herbage plants. Korean J. Anim. Sci. 13(2):107-115.

Han, I. K., Park, S. H., Lee, Y. S., Kim, K. I., and Ahn, B. H. 1971b.

Studies on the nutritive values of the native grasses and legumes in Korea. I. Seasopal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Korean native herbage plants. Korean J. Anim. Sci. 13(1):3-16.

Herbek, J. H., L. W. Mardock, and R. L. Blevins. 1986. Tillage system and date of planting effects on yield of corn on soils with restricted drainage. Agron. J. 78:824-826.

Hicks, D. R., and R. E. Stucker. 1976. Selecting a corn hybrid. Univ. of Minnesota Agric. Ext. Serv. Agron. Fact Sheet No. 22.

Hicks, D. R., and R. H. Peterson. 1978. Date of planting corn. Univ. of Minnesota Agric. Ext. Serv. Agron. Fact Sheet No. 23.

Lee, H. W., and D. A. Kim. 1980. Effect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chem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of Japanese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Korean J. Anim. Sci. 22(1):83-92.

김창호, 채제천. 1991. 파종량이 답리작 호밀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 향. 한작지 36(6):513-520.

김동암. 1983.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서울. pp.257-270.

김동암, 성경일, 권찬호. 1986.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월 동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3): 164-168.

김동암, 이광녕, 신동은, 김종덕, 한건준. 1996.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 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4):

327-337.

강동주. 1988. 남부지방에서 맥류재배조건이 월동전 청예 및 종실수량에 미치 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Kira, T., H. Ogawa, and N. Sakazaki. 1953. Interspecific composition

among higher plants. 1. Competition yield density interrelationship in regularly dispersed population. J. 1nst. Polytech. Osaka City Univ. D.

4.

강광희, 유황욱, 1987. 호밀 통․만파시 종자성숙정도 및 파종량이 청예와 종 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22(3):287-293.

권순기, 김충수, 이인덕, 조동삼. 1984. 최신사료작물. 선진문화사. p.293.

김원호, 김원영, 김영진, 한학석, 김준식, 김맹중. 1998. 중부 평야지에서 사일 리지용 옥수수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 파종시기가 사일리지용 옥수수 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축지 40(1):97-102.

김원호, 서 성, 정광화, 최순호, 김맹중, 이성철. 1999. 중산간지에서 춘계 파종 및 수확시기가 연맥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41(2):215-220.

고영주, 문영식, 곽종영. 1986. 호맥의 생육시기별 수량 및 성분변화. 한초지 6(1):19-23.

이병훈, 권순유. 1993. 예취시기가 Sorghum류 품종의 건물 및 양분수량에 미 치는 영향. 한초지 13(2):132-138.

이석순, 박근용, 정승근. 1981. 파종기가 종실 및 사일리지 옥수수의 생육기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26:337-343.

이석순, 최상집, 홍승범. 1991. 파종량에 따른 수수와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사 료생산성. 한초지 11(2):116-120.

이효원. 1981. 사초용 피의 생산에 관한 연구. 한축지 23(3):264-269.

이효원, 김동암. 1980. 파종량과 질소비료의 시비수준이 피의 건물수량에 미치 는 영향. 한축지 22(1):83-92

Masaoka, Y. K., and N. B. Takano. 1980. Studies on the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I. Effect of plant density on the feeding value of a sorghum-sudangrass hybrid. J. Japan Grassl. Sci. 26(2):179-184).

Miller. D. A. 1984. Forage crops. McGraw-hill Book Co., p.495.

Middleton, G. K., T. T. Herbert, and C. F. Murpy. 1964. Effect of seeding rate and row width on yield and on components of yield in winter barley. Agron. J. 56:307-308.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분석법. pp.1-20.

박호기, 김영두, 서석기, 좌재석, 채제석, 김종태, 신만균. 1988. 재배환경에 따 른 청예용 수수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1. 파종기 이동이 수수의 생육, 건물축적 및 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30(1):54-62.

박형수, 김동암, 김종덕. 1999. 호밀의 사초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9(2):105-114.

박상구, 이석순, 이종훈, 이광석, 최대웅, 이차수, 최원필. 1990. 질소시비량 및

파종량에 따른 호밀과 Triticale의 청예사료 생산성. 농시논문집 32(1):15-23.

Schadlich. F. 1986. Effect of sowing date and rate camposan on culm stability of winter rye. Field Crop Abs. 39(11):955.

손창기, 박상구, 최부술. 1997. 단수수 파종기별 적정 예취 회수와 예취 수량.

축산논문집 39(2):63-67.

송영주, 오남기, 황창주. 1996. 남부 평야지 벼 건답직파 재배시 파종기 이동 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농업논문집 38(2):20-31.

Simmons. S. R., D C. Rasmusson, and J. V. Wiersma. 1982. Tilling in barley Genotype, row spacing and seeding rate effects. Crop Sci.

22:801-805.

Tasuke, Y., and K. Yasuo. 1975.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Japanese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OHWI et YABUNO) as soiling crop. 1.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J. Japan Grassl. Sci. 21(1):34-41.

Wardeh, M. F. 1981. Models for estimating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for feed. Ph. D. diss. Utag State Univ., Logan, Utah, USA.

York, J. O., R. L. Shepherd, and C. J. Nettles. 1961.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the performance of corn hybrids of three maturity groups. Ark. Agr. Expt. Sta. Rpt. series. 102.

윤승길, A. Ataku, k. 1998. 파종기 및 질소 시비량이 도입 Triticale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2):113-122.

윤용범. 정순영. 이주심. 1994. 파종시기가 Pearl millet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4(2):125-13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