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완곡 표현과 공손 표현

문서에서 한·중 완곡 표현 대조 연구 (페이지 31-34)

2. 이론적 배경

2.4. 완곡 표현과 공손 표현

완곡 표현은 금기 표현뿐 아니라 공손 표현과도 관련이 있다. 공손(politeness)은 화 자가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긍정의 태도를 표출하여 화자와 상대방의 체면을 모두 보 호하는 언어 행위로, 공손성의 실현은 사회적 요인인 참여자 요인과 상황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14). 강현석 외(2014: 219)에 따르면 공손은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적극적

14) 참여자 요인은 힘(power)과 거리(distance) 요인으로 나뉜다. 힘의 요인에는 나이, 지위, 성 등이 있고, 거리 요인에는 성별과 친소 관계 등이 있다. 한편 상황 요인은 격식성과 제3자 인물의 현장 성으로 나뉜다.

공손(positive politeness)’과 타인의 부담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행동하려는 ‘소극적 공 손(negative politeness)’으로 나뉜다. 이 연구에서는 공손을 실현하기 위하여 특수한 어 휘 요소, 피동법, 간접 화행, 부정 의문문 등의 문법 요소들이 공손 표지로 사용된다고 하였다15). 이러한 문법 요소 가운데 한국어의 경어법16)을 빼놓을 수 없다. 경어법은 의문문이나 명령문에서는 아주높임 또는 두루높임의 어미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예의를 표현하며, 평상시보다 공손성을 강하게 드러냄으로써 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 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완곡 표현으로서의 기능을 일정 부분 수행한다.

완곡 표현과 공손 표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장공귀(1996), 왕립정(1998), 허상희 (2009), 서은경(2010) 등이 있다. 장공귀(1996: 213)에서는 발화에 드러난 감정적 색채 의 유무에 따라 공손 표현과 완곡 표현의 차이점을 언급하였다. 이 연구에서 공손 표 현은 감정적 색채가 없는 말에 습관적, 인위적으로 감정적 요소를 첨가하여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화자의 겸손을 함께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는 달리 완곡 표현은 애초부터 혐오감 또는 불쾌감 등과 같은 감정적 색채를 포함하고 있어 상대방을 난처 하게 하거나 불쾌하게 만드는 직접 표현을 부드럽게 에둘러 표현하려는 의도가 내포되 어 있다는 점에서 공손 표현과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이와는 달리 왕립정(1998: 16)에 서는 완곡 표현과 공손 표현은 직접적 표현을 부드럽게 표현한다는 교차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그 교차점은 주로 존경과 겸손의 색채를 지닌 완곡 표현 또 는 완곡 표현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높임 표현으로 구별된다고 하였다.

서은경(2010: 14)에서 공손 표현은 주로 대인관계, 태도, 풍격(風格) 등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반면, 완곡 표현은 주로 사람들이 저속하거나 불결하다고 느껴 상대방에게 자극을 주거나 불쾌감을 가져다줄 수 있는 부분에서 쓰인다고 하였다. 그리고 허상희 (2009: 216)에서는 완곡 어법은 공손 표현의 일종인 경어법과 같이 강력한 구속력을 행사하지는 않지만, 지키지 않으면 화자의 사회적 체면이 손상된다고 하여 두 개념을 구분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공손 표현과 완곡 표현은 직접적인 표현을 부드럽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고 할 것이다. 다만, 공손 표현은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을 주요

15) 구체적으로 강현석 외(2014: 221)에서는 적극적 공손에서는 1인칭 복수 대명사 사용, 상대방 칭 찬하기, 소속감을 높이는 표지 사용, 상대방 의견에 동의하기 등을, 소극적 공손에서는 간접 화행 사용, 울타리 표현(hedge) 사용, 강요 회피 등을 예로 들었다.

16) 중국어에도 경어법이 있었으나, 역사적으로 중국에서 사회주의 노선을 택하면서 정치 체제가 변 화함에 따라 경어법 체계가 단일화되었다. 그리고 경어법을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대화 상황이 나 맥락에 따라 공손의 정도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경어법보다는 앞의 언어 장치가 더 보편적이라는 점에서 경어법은 완곡 표현 가운데 특수한 지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개념으로 하고 있으며, 완곡 표현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표현을 듣기 좋은 말로 대체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공손 표현은 사 회적 요인에 따라 실현 여부가 결정되지만, 완곡 표현은 사회적 요인과 관계없이 사용 될 수 있다. 물론 대화의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완곡한 표현이 정중하고 공손한 표현 이 될 수는 있다. 그러나 정중하게 표현하는 것이 꼭 완곡 표현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고, 완곡 표현은 공손 표현 외의 다른 방식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개념은 아니다 (김미형, 2000: 39).

문서에서 한·중 완곡 표현 대조 연구 (페이지 31-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