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먼저 단거리 이동시의 추측항법, 확장 칼만필터를 이용한 항법, 그리고 DGPS만 이용한 항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길이가 30m인 직선 경로를 설정하고 이 경로를 한번 주행하는 형태와 한 변이 10m인 정사각형 경로를 설정하고 이 경로를 1회 주행하는 방법으로 같은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Fig. 4-4와 4-5는 30m 직선 실험, Fig. 4-6과 4-7은 한 변이 10m인 정사각형 실험에서의 추측항법에 의한 결과이다.

그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30m 직선 주행결과 위치오차가 시간에 따라 크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산되는 경향임을 알 수 있다.

Fig. 4-5와 Fig. 4-7은 각각 DGPS와 칼만필터를 이용한 위치평가의 결과로서 DGPS에 의한 결과는 30m 직선 실험시 연속적으로 위치오차가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0m 정사각형 실험의 경우 주행한 경로의 정사각형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찌그러 져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DGPS자체의 최대오차가 5m 정도(시간에 따라 연속 적으로 변화)이므로 단거리 주행에 대해서는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결과는 비록 오차가 있긴 하지만 각각의 경로에 대해 서 상당히 근접한 형태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직선 실험의 경우 실제의 경로에 대한 DGPS의 최대오차는 2.8m, 확장칼만필터 방법의 최대오차는 1.15m였으며, 정사각형실험의 경우는 DGPS의 최대오차 1.74m, 확장칼만필터의 최대오차는 0.77m이었다. 따라서 DGPS 만을 이용할 경우 5m 이내의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국부적인 장애물 회피 등 위치 정확도가 더욱 요구되는 경우에는 확장칼만필터 방법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Fig. 4-8과 4-9는 실제 바다에서 탐사선의 항해 실험을 한 결과이다. 실험은 4곳의 위 치(그림에서 사각점)를 미리 설정한 다음 탐사선을 설정된 위치를 차례대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총 이동거리는 1,050m정도이다. Fig. 4-8은 추측항법만으로 운항 한 결과로서 가로 한 눈금은 37.18m, 세로 한 눈금은 44.37m 정도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슷한 경로를 3회 항해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정한 속도 명령에도 불구하고 파도 등에 의해 속도에 오차가 많이 개입되며 또 한 디지털 컴퍼스의 자세각에도 오차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Fig. 4-4 Dead reckoning

33.45297 33.45298 33.45299 33.453 33.45301 33.45302 33.45303 33.45304

126.55864 126.55872 126.5588 126.55888 126.55896 126.55904 Longitude(degree)

Latitude(degree).

DR reference

33.45297 33.45298 33.45299 33.453 33.45301 33.45302 33.45303 33.45304

Latitude(degree).

EKF DGPS reference

Fig. 4-6 Dead reckoning

33.4529 33.45294 33.45298 33.45302 33.45306

126.55886 126.5589 126.55894 126.55898 126.55902 126.55906 126.5591 Longitude(degree)

Latitude(degree).

DR reference

Fig. 4-7 Extended Kalman filter and DGPS

33.4529 33.45294 33.45298 33.45302 33.45306

126.55886 126.5589 126.55894 126.55898 126.55902 126.55906 126.5591 Longitude(degree)

Latitude(degree).

EKFDGPS reference

Fig. 4-8 Results of navigation using only dead reckoning

33.4712 33.4716 33.472 33.4724 33.4728

126.3884 126.3888 126.3892 126.3896 126.39 126.3904

Longitude(degree)

Latitude(degree)..

DR Reference

Fig. 4-9는 DGPS와 확장칼만필터를 각각 이용한 항법의 결과를 동시에 나타 낸 것이다. 그림에서 점선은 DGPS에 의한 결과이고 실선은 확장칼만필터에 의 한 결과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긴 경로 항해에서는 DGPS나 확장칼만필터 가 별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국부적으로는 확장칼만필터에 의한 결과가 DGPS의 경우보다 완만한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즉, 국부적으로는 DGPS는 5m 정도 무작위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편차가 심하지만 확장칼만필터는 DGPS와 추측항법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경로가 완만하게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Fig 4-10은 각 위치에서의 DGPS와 확장칼만필터 위치평가의 편차를 나타낸 다. 최대 편차는 3.4m였으며 편차의 경향은 원점을 중심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 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확장칼만필터 항법이 무편차 평가기구(unbiased

Fig. 4-9 Results of navigation using DGPS and EKF

33.4712 33.4716 33.472 33.4724 33.4728

126.3884 126.3888 126.3892 126.3896 126.39 126.3904

Longitude(degree)

Latitude(degree).

EKF DGPS Reference

Fig. 4-10 Position deviations between DGPS and EKF

-4 -3 -2 -1 0 1 2 3 4

-6 -5 -4 -3 -2 -1 0 1 2 3 4 5 6

Longitude(unit:m)

Latitude(unit:m).

Fig. 4-11과 4-12는 위치평가에 수반된 오차 공분산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 여지듯이 경도, 위도 모두 발산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오차가 시간경과에 따라 무한히 커지지 않고 일정 값 범위 내로 수렴함을 의미한다.

Fig. 4-11 Error covariance for longitude

0 2E-13 4E-13 6E-13 8E-13 1E-12 1.2E-12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Number of data

Longitude..

0 2E-13 4E-13 6E-13 8E-13 1E-12 1.2E-12

Latitude..

Ⅵ.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해양의 각종 물리, 화학적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무인 원격제어형 해 양 탐사선을 개발하였다. 수집된 각종정보는 무선통신 및 인터넷망을 통하여 실시간으 로 지상에서 모니터링 가능하게 설계하였으며, 자율 항해를 위하여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항법을 개발하였다.

설계된 탐사선 및 개발된 확장 칼만필터를 이용한 위치평가 방법을 실 해역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쌍동선 형태로 설계된 탐사선은 항해실험결과 부력을 파고와 바람의 세기에 따 라 조절하여 잠수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2.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지상서버와의 직접 통신과 인터넷망을 통한 통신 등 2가지 통신 방법을 동시에 채택하여 데이터 수신은 인터넷 망으로, 비상시를 포함한 탐 사선 제어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3. 개발된 시스템은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제공하므로 정보 이용의 효율 측면에서 기존방식보다 우수하다.

4. 탐사선의 위치를 평가하기 위해 확장 칼만필터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실 해역 실 험결과 일정 오차 범위 내로 위치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GPS만을 이 용한 경우보다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5. 개발된 무인탐사선은 소형이고 자율항해가 가능하며, 지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대형 탐사선이 접근하기 어려운 해역이나 위험한 지역의 탐사가 가 능하고, 해양탐사에 필요한 부대 경비가 최소화 될 수 있어 실용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Ⅶ. 참고문헌

[1] Tamaki, U., "Development of AUV 'PTEROA'," International J. of Advanced Robotics, MBARI, pp.195-200., 1990.

[2] Yuh, J., " Design and Control of Autonomous Underwater Robots," International J. of Autonomous Robots, Vol. 8, No. 1, pp. 7-24, 2000.

[3] Ishida, A., Kasino, Y., Mitsudera, H. and Kadokura, T., " Mean Structure and variability of the Equatorial Pacific Subspace Countercurrent in the JAMSTECH High-resolution OGCM," JAMSTECR, No.39, pp.117-137, 1999.

[4] 안유환, "해양환경관측 및 개선을 위한 기반기술 연구," KORDI 2000 Annual Report, 2000.

[5] 한국해양연구소, 광역 표층 해류관측을 위한 TG PS Buoy 시스템 운영지침서, 1995.

[6] Marin Tech 사, 연안 관측모형선 카탈로그, 1998.

[7] Tom Logsdon, Understanding the NAVSTAR - GPS, GIS, and IVHS, VNR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5.

[8] Cox, D. B. "Integration of GPS with Inertial Navigation System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Navigation, vol. 1, pp. 144-153., 1978.

[9] Upadhyay, T., "Autonomous GPS/INS navigation experiment for space transfer vehicle," IEEE Trans. of Aerospace & Electronic Systems, Vol. 29, No. 3, 1993.

[10] Kao, W., "Integration of GPS and Dead Reckoning Navigation Systems," Proc.

[11] 김진원, 지규인, 이장규, 이영재, “GPS와 Dead-Reckoning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설계,” 제어․자동화․시스템 공학회지., Vol. 2, No. 3, pp188-193, 1996.

[12] 박요섭, 다중 빔 음향 측심 자료 처리를 위한 해저면 맵핑 시스템, 인하대학교 자 동화 공학과 석사 학위 논문, 1996.

[13] 박대선, 실시간 OS 를 이용한 GPS/DR 결합 무인지상차량 항법시스템 개발, 건국 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석사 학위 논문, 2001.

[14] Siouris, G., Aerospace Avionics Systems, A Modern Synthesis, Academic Press Inc., San Diego,California, USA, 1993.

[15] 한국해양연구소, DGPS운용을 위한 기반 구축, BSPE 98716-00-1158-2, 1998.

[16] 유복모, 지리공간 정보론, 동명사, P.234, 1995

[17] Derrick, R. Peyton., "Using GPS and ROVs to Map the Ocean," GPS World, PP.40-44, 1992.

[18] 이영재, 지규인, 박찬식, 김일선, 이장규, 김춘식, "DGPS를 이용한 위치측정실 험," 제2차 GPS Workshop, pp.273-280, 1995.

[19] Roberts, G., Williams, A., David, L, J., Penning, D, P., Mark, S, R., "A Low-Power Postprocessed DGPS System for Logging the Locations of Sheep on Hill Pasture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Navigation Vol.42, No.2 pp.327, 1995.

[20] Lim, J, H., Kang, C, U., " Grid-based Localiz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Sonar Sensors," KSME Int. J., Vol. 6, No. 3, pp. 302-309, 2002.

[21] Bar-shalom, Tracking and Data Association, Academic Press, 198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