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열 및 신재생에너지

문서에서 2016 / 여름호KEEI 에너지수요전망 (페이지 31-36)

□ 2016년 1분기 열에너지 소비는 기온 하락 및 신규 공급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 o 분기 평균기온이 0.8°C하락하여 난방도일이 6.2% 증가함에 따라 난방 수요가 증가함

o 신규 열병합발전소(경기도 하남시, 399MW)가 2016년 상반기부터 본격 가동됨에 따라 열에너지의 신규 공급이 발생함

o 지역난방 요금은 연료비 연동제가 2015년 7월부터 도시가스 요금 기반으로 개편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9.7% 인하함

그림 1.21 기온변화 및 열에너지 소비 증가율 추이

* 기온 변화는 분기 평균 기온의 전년 동기 대비 차이

□ 2016년 1분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수력 포함)은 7.6% 감소한 반면, 신재생 최종에너지 소비는 6.7% 증가 o 수력 발전량은 1.3TWh로 전년 동기 대비 17.9% 감소하여 전기(-34.5%) 대비로는 감소세가 완화됨

- 엘리뇨 현상이 약해지면서 1분기 강수량(125.1mm)은 전년 동기 대비 37.3% 증가하여 평년(120.9mm) 수준으로 회복함

- 하지만, 지난해 가뭄의 여파에 따른 낮은 수위로 강수량 증가가 발전량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며 감소세를 유지함

o 최종소비 부문의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건물 부문이 감소(-2.2%)로 전환되었지만, 산업과 수송 부문에서 각각 8.2%, 5.3% 증가하여 증가세를 지속 중임

- 수송용 소비 증가는 신재생에너지연료의무혼합제도(RFS)에서의 바이오디젤 의무 혼합률이 상향 (2.0% → 2.5%) 조정(2015.7.31)되고 수송용 경유 소비도 견조히 증가(5.2%)했기 때문임

- 3.0 - 2.0 - 1.0 0.0 1.0 2.0 3.0 4.0 5.0

- 30.0 - 20.0 - 10.0 0.0 10.0 20.0 30.0 40.0 50.0

2011.01 2012.01 2013.01 2014.01 2015.01 2016.01

전년동기대비, % ºC

기온 변화*

열에너지

8 열 및 신재생에너지

제2장 에너지 전망

1 경제 및 산업

1. 경제 및 산업

□ 2016년 국내총생산은 내수의 완만한 증가에도 불구, 수출 부진으로 전년과 동일한 2.6% 증가 전망

o 국내총생산은 건설투자와 민간 소비가 증가하며 완만하게 성장하겠으나,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2%대 중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KDI 2016.5)

- 건설투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주거용 주택분양 호조로 공급 물량이 늘어나며 증가할 전망이나 주택거래량 감소, SOC 예산규모 축소 등으로 증가세는 제한될 것으로 보임

- 민간 소비는 정부가 작년 하반기에 추진한 소비진작 정책 등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올해 초엔 증가세가 둔화되었지만, 개별 소비세 인하 기간 연장(2016.6.30까지) 및 대규모 할인행사 정례화 등 정부의 소비 진작 대책이 다시 이어지면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 설비투자는 수출 회복세 지연과 대내외 경제 여건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낮은 제조업 가동률과 높은 재고 수준으로 인해 크게 위축될 것으로 판단됨

- 수출은 하반기로 갈수록 세계경제가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부진이 완화될 전망이지만, 보다 근본적인 수출 부진의 원인인 국제 경쟁력 약화는 지속되며 회복세가 저조할 것으로 판단됨

o 2016년 경제성장률 전제는 지난 호(2016년 봄호) 대비 0.2%p 하향 조정됨

- 한편, 광공업생산지수는 전년에 이어 상반기에도 하락하겠지만, 하반기부터 내수가 회복되면서 소폭 상승(0.7%)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어 지난 호 전망대비 0.4%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2.1 국내총생산과 광공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및 전망

- 1.0 - 0.5 0.0 0.5 1.0 1.5 2.0 2.5 3.0 3.5 4.0

2014 2015 2016

전년대비, %

광공업생산지수 국내총생산

□ 국제 유가는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약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o 2016년 국제 유가는 전년 대비 19.0% 하락한 배럴당 41.1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06)14

- 하반기 두바이유 가격은 미국 등 비OPEC 산유국 생산 감소와 석유 수요의 계절적 증가에 따라 상반기보다 높은 배럴당 45.5 달러로 전망

- 브렉시트(Brexit) 충격으로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화의 강세와 더불어 나이지리아의 생산 재개 및 리비아 수출 재개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유가 상승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음

표 2.1 국제 원유가 전망 (US$/bbl)

2013 2014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국제유가 (두바이유) 105.3 96.7 56.3 45.2 50.8 36.8 45.5 41.1 (- 3.4) (- 8.2) (- 46.5) (- 48.7) (- 47.5) (- 34.6) ( 0.5) (- 19.0)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 과거 10년의 평균 기온을15 회복할 경우 2016년 난방도일은 전년 대비 6.3% 증가, 냉방도일은 4.7% 감소 o 과거 10년 간 평균 기온은 13.1°C, 난방도일과 냉방도일은 각각 2,614.6도일과 820.3도일을 기록함 o 평균 기온을 가정할 경우 2016년 난방도일은 전년 대비 154.5도일 증가, 냉방도일은 40.8도일 감소함 o 2016년 5월까지의 실적을 반영한 냉·난방도일은 3월까지의 실적을 반영한 지난호(2016년 봄호) 대비

각각 23.3도일 증가, 70.4도일 감소함

그림 2.2 평균 기온 및 냉난방도일 변화(전년 대비)

14 에너지경제연구원 단기유가예측모형에 의한 전망

15 서울의 일평균 기온 기준

- 2.0 - 1.5 - 1.0 - 0.5 0.0 0.5 1.0 1.5

- 400 - 300 - 200 - 100 0 100 200 300

2013 2014 2015 2016

도일 ºC

난방도일 냉방도일 평균기온

문서에서 2016 / 여름호KEEI 에너지수요전망 (페이지 31-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