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열병합발전 시스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9)

3.2 생산플랜트

3.2.7 열병합발전 시스템

열병합발전(CHP,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시스템은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와 열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종합에너지시스템으로 발전 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배열을 회수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종합이용 효

29) 박종웅, 김석완 저(2010), 『에너지학 개론』, 동화기술, pp134~136

30) 구자훈,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의 계절별 열전비 조정, 한국플랜트학회, THE PLANT JOURNAL, Vol.7 No.1 March 2011,pp 4~12

율을 높이는 것으로 단독 생산 시 대비 30 ~ 40%의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효율 에너지 이용방식이다. 그러나 열과 전기의 수요패턴의 불일치 에 따른 손실 발생가능성이 있으므로 열병합 발전시스템 적용 시에는 충분한 검토를 요한다.

가. 열병합발전의 분류

집단에너지사업은 열병합발전시스템, 보일러 및 자원회수시설 등 1개소 이상 의 집중된 에너지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열 또는 열과 전기를 다수 사용자에게 일괄 공급하는 사업으로 지역냉난방사업,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 그리고 사업 단지 집단에너지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자가 소비용 열병합이나 또는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등 특정 사용처에 적용하는 소형열병합이 있다. 지 역냉난방사업은 집중된 열생산시설에서 일정지역 내에 있는 주택과 상가 등의 건물을 대상으로 냉난방용 및 급탕용 열 또는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이 다.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CES, Community Energy System)은 제2차 집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도입되었으며 특정한 공급대상 지역에 별도의 단독 열월 을 설치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집단에너지사업으로 제3차 집단에너지기본 계획에서는 기존 지역냉난방사업에 통합되어 구별이 없어졌고 전기사업법에서 는 구역전기사업으로 규정되어 발전, 배전 및 구역 내 전기직판사업이 가능하 다. 산업단지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공정용 열 또는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방 식이다.

열병합발전시스템은 원동기를 기준으로 엔진발전시스템과 가스터빈발전시스 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원동기의 특성은 표 3.631)에 나타내었다.

엔진발전시스템에는 디젤엔진과 가스엔진발전시스템이 있는데 디젤엔진은 비상용 발전기에 주로 사용된다. 집단에너지시스템에서는 주로 가스엔진과 가

31) 이영재, 「소형가스 열병합발전의 국내외 시장 및 기술동향-특집원고」, 한국설비기술협회-설비/공조·냉동·위생 제22권 제2호 통권245호 (2005. 2), pp.34~41

스터빈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사용되며, 표 3.6에 디젤엔진, 가스엔진, 가스터 빈의 적용규모, 발전효율 및 시동시간 등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가스엔진발전 시스템은 시동시간이 15초 이내로 짧고 부하조정이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 지만 NOx 배출량이 가스터빈보다 다소 많다. 가스터빈 발전시스템은 시동시 간이 가스엔진발전시스템보다 길고 외기온도에 따라 출력에 영향을 받으며 부 하조정이 다소 어렵지만 NOx 배출량이 적고 중규모 이상의 발전규모에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발전효율은 가스엔진발전시스템이 28 ~ 42%로 21 ~ 40%보 다 높지만 종합효율은 가스터빈발전시스템이 70 ~ 80%로 65 ~ 80%로 조금 더 높다.

구 분 디젤 엔진 가스 엔진 가스 터빈

적용규모(kW) 15~10.000 1~5.000 30~100.000

발전효율(%) 36 ~ 43 28 ~ 42 21 ~ 40

종합효율(%) 60 ~ 75 65 ~ 80 70 ~ 80

연 료 등유, 경유, A중유 가스 등유, 경유, A중유,

가스

시동시간 10초 이내(비상용) 15초 이내 40초 이내(비상용)

배열온도(℃) 배가스 400 ~ 500 냉각수 70 ~ 80

배가스 350 ~ 700

냉각수 80 ~ 90 배가스 450 ~ 600

가격

발전기 세트

(USD/kW) 125 ~ 300 250 ~ 600 300~600 (일반) 500~700 (마이크로) 턴키 기준

(USD/kW) 350 ~ 500 600 ~ 1000 650~900 (일반) 1000~1300 (마이크로) 열회수기

(USD/kW) 125 ~ 300 250 ~ 600 300~600 (일반) 500~700 (마이크로) 유지보수비

(USD/kW) 5 ~ 10 7 ~ 15 3 ~ 8 (일반)

5 ~ 10 (마이크로) CO2 배출 (kg/MWh) 650 500 ~ 620 580 ~ 680 (일반)

720 (마이크로) NOx 배출 (kg/MWh) 10 0.2 ~ 10 0.3 ~ 0.5 (일반)

0.1 (마이크로) 소음 (dB) 110 (저주파) 100 (저주파) 110(고주파)

[표 3.6] 열병합발전용 원동기의 특성 비교

나. 열병합발전의 구성

열병합발전시스템은 열병합발전설비와 보일러 및 축열조(accumulator) 등 의 지역난방계통설비로 구성되며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우 배전망시설을 보유한다.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 발전설비는 가스엔진과 가스터빈 등 의 원동기 및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저부하를 담당한다. 보일러는 그 기능에 따라 첨두부하보일러(PLB, Peak Load Boiler) 또는 열전용보일러 (HOB, Heat Only Boiler) 등의 용어로 지칭된다. 연소열로 지역난방수를 직접 가열하여 지역난방열을 공급하는 열원설비로 보일러 본체, 절단기, 연료공급 및 연소설비, 배기가스 배출장치 그리고 전기 및 제어설비 등으로 이루어진다.

축열조는 열부하가 낮거나 전력판매가격이 높은 시간에 생산된 잉여열을 저장 하였다가 열부하가 높은 시간에 저장열을 방출함으로서 일일 첨두부하를 담당 하는 열저장 탱크로서 열원공급설비의 부하를 일부 경감하고 배관망에서의 온 수의 비등 방지를 위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난방수의 체적변화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난방 설비로는 지역난방펌프, 축열조펌 프 그리고 열배관망이 있으며 발전소에서 생산된 열을 수요처로 이송하여 공 급한다. 그 밖에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우에는 공급구역 내 전기를 공ㅇ 급하기 위한 배전망 시설을 갖춘다.

다. 열병합발전 조건

열병합발전소의 가동을 위한 발전조건과 관련하여 공급구역의 열 및 전기 수요와 설비의 용량과 같이 발전량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있으며 집단에 에너 지사업의 제도적 측면의 제약 조건들도 실제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열

및 전기 수요는 절기별로 부하패턴이 다르며 열병합발전의 경우 주로 열수요 에 추종하여 발전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발전기와 보일러 설비의 출력상한 및 하한값, 연료조건, 축열조의 최대용량 그리고 시간당 축방열 능력에 따라 공급 능력이 결정된다. 설비별 부하 비중은 공급능력에 따라 정해지며 원가계산을 통해 설비의 가동시간과 생산량 계획이 수립된다.

라. 소형열병합발전32)

현재 국내 소형 열병합발전기의 발전량은 국내 총 발전용량의 0.2%를 차지 하고 있으며, 정부는 에너지 절약효과가 뛰어난 이 소형 열병합발전시설을 오 는 2013년까지 총 발전용량의 3.5% 수준인 2백70만kW까지 보급하겠다고 밝 힌 바 있다.

이는 원자력발전소 3기에 해당하는 용량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건설로 소요되 는 비용문제와 지역이기주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민원 및 원자력폐기물처 리시설 문제 해소 등 여러가지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계획이기도 하다.

소형 열병합발전소를 국내 총 발전용량의 3.5% 수준까지 보급시 연간 약 8 천억원의 에너지비용 절감이 예상되며 이때까지 투자되는 총 비용은 약 8조7 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U의 경우 수십 년 전부터 이러한 시설을 도입하여 사용해 온 결과 지난 2001년도 기준으로 총 발전용량의 약 9%에 해당하는 분량을 소형 열병합발전 같은 분산형 전원장치로부터 얻고 있으며, 2010년까지 총 발전용량의 18%를 분산형 전원에서 확보할 계획이다.

미국의 소형 열병합발전량은 지난 2000년 기준으로 총 발전용량의 약 7%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는 2010년까지 총 발전용량의 20%를 소형 가스열병합시 32) 아파트관리신문,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도입과 운영 ⑥ - 열병합발전, 국가 경제적 이

익 위해서도 필요, 블로그 - 나의 인생도전 그리고 꿈의실현

(http://blog.naver.com/muckangkim?Redirect=Log&logNo=100030354322)

설로부터 얻을 계획이다.

일본도 현재 2백44만kW 규모의 소형 가스열병합발전이 보급되어 있으며 오 는 2010년까지 4백64만kW까지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전 세계적으로 소형 가스열병합발전시설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에너지 절 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첫째는 해마다 늘어나는 자연재해로 인한 전력전송시설의 파손으로 정전사 태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규모 단위로 분산형 전원장치를 설치,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함이다.

둘째는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발전소 건설을 계획할 때 지역 이기주의로 인한 부지확보의 애로사항 해소와 발전소 건설비용의 절약 효과에 있다.

셋째는 하절기에 남아도는 가스를 이용해 소형 가스열병합발전기를 가동해 전기를 공급하면 여름철 전력 부하를 충당할 수 있어서 전기와 가스의 계절별 수요관리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 수요가 많은 하절기의 피크치에 맞추어 발전소를 건설하다 보면 동절 기에는 발전소 시설이 남아돌게 되므로 무조건 여름철 전력수요에 맞추어 발 전소를 건설할 수 없다. 반면에 천연가스는 겨울철에 그 수요가 많고 여름철 에는 남아돌게 되는데 천연가스는 연간 수입량이 일정해 수요에 상관없이 연 중 일정한 양을 수입해야 하고 여름철에는 그 저장시설의 확충과 저장비용의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는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 이다. CO₂배출권거래제 등 국제환경규제가 경제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CO₂의 배출 감소효과가 기존 방식에 비해 30 ~ 40% 가량인 청정연 료 LNG를 소형 가스열병합발전의 주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이용효율 향상은 물론 배기가스 배출 감소효과로 국제환경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