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자 자신에 관한 표현 활동이 개인화 이론에서 출발한 연구임으로 이와 관련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학습자 중심 교육과 개인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개인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이론적 배경

고경희(2006)는 언어학습에 있어서 배우는 내용은 학습자와 관련이 있어야 하 며 학습자에게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학습자 중심 외국어 교육과정의 중요성 이 1970년대 후반 이래 꾸준히 강조되어왔음을 언급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 화를 학습자 자신이나 주변의 사람․사물과 관련된 경험, 생각, 느낌, 기호 등을 학습 내용․방법의 계획 및 학습활동에 반영하여, 학습자 자신에게는 유의미한 언어 학습․사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 상호 간에는 실질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교수·학습 방안으로 정의했다. 또한 2008개정 영어과 교육과 정에서는 초등학교 영어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습 소재 를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친숙한 일반적인 화제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관심을 가 지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되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탐구 능 력, 문제해결 능력 및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교육과학기술부, 2008, p.23)으로 선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개인화는 언어 학습에 있어 학습자가 배우는 내용은 학습자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학습자에게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 그 뜻을 같이 한 다(고경희, 2006). Tutor(1996)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학습과정 및 학습방법의 선택과 결정에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학습 방법이 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인화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관은 2008개 정 영어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8, p. 9)이 추구하는 초등영어는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에 부합하는 학습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지식 전달 및 반복, 암기 위주의 교육활동은 초등영어 교

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화는 학습의 장에서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의미 있는 언어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여러 학자들은 주장 한다. 학습자 자신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강조한 여러 학자 가운데 Boor(1991) 은 아동들은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목표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런 실제적인 언어 사용 과정을 통하여 외국어 학습이 이 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는 아무리 기초적인 단 계의 학습자라 하더라도 목표어로 상호작용을 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하였다. 박약우(1999)는 초등영어 말하기 지도에서는 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의사소통 기능을 익혀서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의 방법도 언어 형태 암기를 위한 기계 적인 반복 연습보다는 학습자 자신과 관련 있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경험 제공 을 통한 연습이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이완기(2000)는 실제성이 있는 학습 활 동을 강조하고 실제적 학습 활동을 “학생의 흥미와 관심, 생활, 주변 사회와 직 접적으로 관련이 깊은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Widdowson(1978)은 영어를 효 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자가 의 식적 학습의 결과로 얻은 영어에 대한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 의사소통의 도구 로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연습을 제안하며 언어학습의 실제적 활동이 필요함 을 강조하였다. Tomlison(1998)은 언어자료(Learning Materials)의 기능에 관하 여 가장 중요한 언어 기능은 학습자가 교실안의 학습 경험을 교실 밖에 있는 학습자의 생활과 연결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Paul(2003)은 유의미한 학 습내용에 관해 개인화된 언어(personalizing language)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학 습자가 배우는 내용이 학습자 자신이나 주변과 관련된 유의미적 학습내용을 배 워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2. 선행연구

초등학교 영어교과 목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 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외국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여 우리 문화 를 발전시키고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등영 어교과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이 되려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언어 연습을 지 양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성뢰(2002)의 연구에서 제7차 초등영어 교과서에서 의사소통 기능의 체계성 을 분석한 결과 단순한 사실만을 붇고 확인하는 내용이 편중되어 있다고 언급 하며 학생들이 배우고자 하는 표현 항목은 무엇인지 수렴하여 학습자의 요구 및 필요를 반영할 수 있는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 초등학교 3~6학년의 학습 내용 요구에 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김지연(2002)은 제7차 초등영어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말하 기와 듣기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말하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를 적극 반영하고 있으나 내운 내용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활동은 극히 적고 말 하기 활동은 기계적 연습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진정한 의미 의 의사소통 활동을 할 수 있는 자유로운 대화의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백홍실(2003)은 초등영어 교과서에 자유 발화 유형이 통제 연습 유형 보다 적 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으며 게임의 목적에 따라 게임을 분류한 결과 단순 반복 연습 게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의사소통 게임은 매우 부족함을 지적하며 영 어 시간에 자유로운 발화 언어 표현을 구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한 편,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 방법의 일환 으로 개인화에 주목한 연구들이 있었다. 고경희(2006)는 학습자들 자신과 자신 의 주변 인물이나 사물에 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하는 개인화가 최근 교재개발 이나 교재내용의 재구성에 있어 외국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교육 방침 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나아가 학습자 중심 교육, 언어 사용의 실

교육과정의 학년과 단계별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해서도 개인화는 초등 영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