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두 개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2.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600병상 이상의 3개의 병원에서 근 무하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 135명 중 연구 참여를 동의한 124명의 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Cohen 표본 추출방식에 따른 G*Power3.1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5,효과크기 .30,검정력 .93으로 설정했을 때 표본수는 124명 이었고,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124명으로 이를 충족하였다.

3.연구 도구

1)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임상 간호사들이 업무 수행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로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중 스트레스를 측정하 기 위해 수정․보완한 이명선(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총 47개 문항 8개 영역,

‘업무량 과중’10문항,‘전문직으로서의 역할 갈등’5문항,‘전문지식과 기술 부족’6 문항,‘의사와의 갈등’7문항,‘의료의 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4문항,‘부적절한 물리적 환경’4문항,‘업무상황과 관련된 갈등’6문항,‘보호자와 환자에 관련된 사항’

5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 하였으며,‘전혀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다’1점 ,

‘약간 느낀다’2점,‘보통 느낀다’3점,‘심하게 느낀다’4점,‘아주 심하게 느낀다’5점 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이명선(2012)의 연구 에서는 Cronbach'salpha= .95이었으며,본 연구에서는 Cronbach'salpha= .95이 었다.

2)간호업무성과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는 고유경,이태화,임지영(2007)이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총 17개 문항 4개 영역,‘업무수행능력’7문항,‘업무수행태 도’4문항,‘업무수준향상’3문항,‘간호과정적용’3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 하였으며,‘전혀 그렇지 않다’1점,‘약간 그렇지 않 다’2점,‘보통이다’3점,‘약간 그렇다’4점,‘매우 그렇다’5점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 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음을 의미한다.이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Cronbach'salpha

=.92이었으며,본 연구에서는 Cronbach'salpha=.94의이었다.

4.자료수집방법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9월 29일부터 10월 11일까지 총 13일간에 거쳐 자료 를 수집하였다.자료 수집은 경기도 내에 위치한 600병상 이상의 대학병원 3곳의 간호부를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동의를 구한 후 시행하였다.설문지 배부 방법은 연구자가 응급실을 방문하여 대상자에게 설문지와 감사의 표시로 볼펜을 같이 배부하였다.응답내용이 간호사 개개인에게 익명으로 처리되고 응답결과는 오직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됨을 설명하였으며,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13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주일 후 연구자가 응급실을 재방문하여 직접 13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그 중 설문 응답내용이 불충분하거 나 누락된 7부를 제외한 124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5.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2)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간호업무성과의 점수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3)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분석을 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etest를 사용하였다.

4)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6.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2012년 3월 경기도 C대학병원의 기관 생명윤리 심의위원회 (InstitutionalReview Board)의 승인(IRB No.:BD2012-050D)을 받은 후 시행하였 다.

7.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600병상 이상의 3개 대학병원의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간호사에게 일반화하 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