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공감능력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 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한 결과는 <표Ⅳ-1>과 같다.

<표Ⅳ-1>공감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M SD t

상담집단 12 78.83 14.44

-.112

비교집단 12 79.58 15.74

위의 <표Ⅳ-1>의 공감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집단의 비 교결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담집단의 공감능력 평균점수는 78.83, 비교집단 은 79.58점으로 비교집단이 다소 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은 서로 공감 능력이 동질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능력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Ⅳ-2>와 같다.

<표Ⅳ-2>사회적 능력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M SD t

상담집단 12 82.42 12.01

비교집단 12 80.92 6.05 .395

위의 <표Ⅳ-2>의 사회적 능력의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 집단의 사회적 능력의 평균점수는 82.42점, 비교집단은 80.92점으로 나타났지 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은 서로 사회 적 능력이 동질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능력의 각 하위 요인에 대한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 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Ⅳ-3>과 같다.

<표Ⅳ-3>사회적 능력 하위요인의 사전 검사 비교

구분 N M SD t

유능성 상담집단 12 21.25 4.18

비교집단 12 21.17 4.17 .072

지도성 상담집단 12 17.75 4.52

비교집단 12 17.50 2.88 .225

방해성 상담집단 12 15.75 4.47

-.319

비교집단 12 16.25 4.14

교사에 대한 애정

상담집단 12 7.50 3.21

비교집단 12 7.17 2.55 .325

불안정성 상담집단 12 14.33 4.31

-.165

비교집단 12 14.67 4.14

전체 상담집단 12 82.42 12.01

비교집단 12 80.92 6.05 .395

위의 <표Ⅳ-3>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의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사회적 능력이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투입 받은 상담집단의 사회적 능력 사후검사가 프로그램을 투 입 받기 전 사회적 능력 사전검사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는 아래의 <표Ⅳ-4>와 같다.

<표Ⅳ-4>상담집단의 사회적 능력 사전-사후 검사 차이 검증

구분 N M SD t

유능성 사전 12 21.25 4.18

-5.030**

사후 12 25.50 4.15

지도성 사전 12 17.75 4.52

-2.052

사후 12 19.17 4.30

방해성 사전 12 15.75 4.47

3.233**

사후 12 11.75 3.57

교사에 대한 애정

사전 12 7.50 3.21

-3.639**

사후 12 11.42 4.19

불안정성 사전 12 14.33 4.31

2.436*

사후 12 11.83 4.34

전체

사전 12 82.42 12.01

-5.310**

사후 12 98.50 14.71

* : p<.05, ** : p<.01

<표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별 전후검 사 비교에서 사후검사가 사전 검사 보다 유능성(M=25.50), 교사에 대한 애정 (M=11.42)이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방해성은 사후 검사(M=11.75)가 사전검사(M=15.75)보다 유의하게 낮아(p<.01,) 프로그램 실 시 후 상담집단의 방해성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불안정성의 경우 에도 사후검사(M=11.83)가 사전검사(M=14.33) 보다 유의하게 낮아(p<.05) 프 로그램에 의해 상담집단의 불안정성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

으로 볼 때 상담집단의 사회적 능력은 사전검사(M=82.42) 보다 사후검사 (M=98.5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1).

프로그램을 투입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사회적 능력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는 <표Ⅳ-5>와 같다.

<표Ⅳ-5>비교집단의 사회적 능력 사전-사후 검사 차이 검증

구분 N M SD t

유능성 사전 12 21.17 4.17

-1.354

사후 12 22.17 4.09

지도성 사전 12 17.50 2.88

-.675

사후 12 18.17 4.41

방해성 사전 12 16.25 4.14

.950

사후 12 15.42 4.74

교사에 대한 애정

사전 12 7.17 2.55

.442

사후 12 6.92 2.78

불안정성 사전 12 14.67 4.14

.000

사후 12 14.67 4.52

전체 사전 12 80.92 6.05

-1.036

사후 12 83.17 9.68

<표Ⅳ-5>를 보면 비교집단의 사회적 능력 전체 사전검사 평균점수는 80.92, 사후검사 평균점수는 83.17로 이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 또 각 하위 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통제가 잘 되었음 을 의미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