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5)

1. 조사 대상자 일반적 사항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을 실시하였다

Analysis)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 <표 18>과 같다.

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18>

빈도 %

성별 남자 3 12.5%

여자 21 87.5%

합계 24 100.0%

나이 60대 1 4.2%

70 3 12.5%

80 17 70.8%

90 3 12.5%

합계 24 100.0%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남자, 3 (12.5%),명 여자 21 (87.5%)명 로 나타 났다. 나이의 경우에 60대 1 (4.2%), 70명 대 3 (12.5%), 80명 대 17 (70.8%), 90명 대 3 명(12.5%)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24명이 표집 되었다.

2.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 (KGDS) 하위변인 분석에 따른 노인 우 울증의 변화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KGDS) 하위변인 분석에 따른 노인의 사전 사후 우울증 변 -화로 사전결과와 사후결과를 알기위해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표 19>와 같다.

1)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

표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19>

평균 빈도 평균차 t p

사전 4.29 24

1.333 4.211*** .001

사후 2.96 24

* p<.05, **p<.01, *** p<.0017) (p<.001)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의 p값을 보면 .001로 통계적으로 음악 활동 전과 후에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들의 무력감이 음악활동 전. , 4.29점 보다 음악활동 후 2.96점으로 1.333점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로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t=4.211, p=.001 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 p<.001)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1]과 같다.

7) p<.05는 일반적으로 조사결과에서 유의확률이 지정된 유의수준 .05로 나타나면 조사 결과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 p<.05일때는 95%는 신뢰가능한데 5%는 신뢰할 수 없다는 의미이며, p<.01은 99%는 신뢰가능한데 1%는 신뢰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p<.001은 99.9%는 신뢰가능한데 0.1%는 신뢰할 수 없다는 의미로서 유의수준의 범위가 작아질수록 더 세밀하게 검 증할 수 있다.

그림 우울감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변화도 [ 1]

4.29

2.96

0 1 2 3 4 5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 4.29 ,점 사후 2.96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으로 무력감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t=4.211, p=.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무력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2)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차이 , ,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 - <표 20>과 같다.

표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20> , ,

평균 빈도 평균차 t p

사전 3.79 24

1.042 3.650*** .001

사후 2.75 24

* p<.05,** p<.01, *** p<.001 (p<.001)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의, , p값을 보면 .001로 통계적으로 음악 활동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들의 근심 걱정 초조감이 음악. , , ,

활동 전 3.79점 보다 음악활동 후 2.75점으로 1.042점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로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 , t=3.650,

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p=.001(*** p<.001)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2]와 같다.

그림 우울감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변화도

[ 2] , ,

3.79

2.75

0 1 2 3 4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울 하위변인 근심 걱정 초조감 시기별 차이가 통계, ,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 3.79 ,점 사후 2.75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 으로 근심 걱정 초조감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 (t=3.650, p=.001) 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근심 걱정 초조감에, ,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3)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차이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표 21>과 같다

표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21>

평균 빈도 평균차 t p

사전 4.33 24

1.875 5.100*** .001

사후 2.46 24

* p<.05,** p<.01, *** p<.001 (p<.001)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의 p값을 보면 .001로 통계적으로 음악 활동 전과 후에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들의 불행감이 음악활동 전. , 4.33점 보다 음악활동 후 2.46으로 1.875점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로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t=5.100, p=.001 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 p<.001)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3]과 같다.

그림 우울감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변화도 [ 3]

4.33

2.46

0 12 3 45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울 하위변인 불행감 시기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 4.33 ,점 사후 2.46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으로 불행감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t=5.10, p=.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 러한 결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불행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4)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차이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표 22>와 같다.

표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22>

평균 빈도 t p

사전 5.17 24

5.189*** .001

사후 2.96 24

* p<.05,** p<.01, *** p<.001 (p<.001)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의 p값을 보면 .001로 통계적으로 음악 활동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들의 인지적 저하가 음악활동 전. ,

점에서 음악활동 후 으로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5.17 2.96 .

결과로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t=5.189, 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p=.001 (*** p<.001)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4]와 같다.

그림 우울감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변화도 [ 4]

5.17

2.96

0 2 4 6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울 하위변인 인지적 저하 시기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 5.17 ,점 사후 2.96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으로 인, 지적저하가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t=5.18, p=.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인지적 저하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 (p<.001).

을 알 수 있다.

5) 우울감 시기별 차이

우울감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표 23>과 같다.

표 우울감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23>

평균 빈도 평균차 t p

사전 17.88 24

6.792 7.787*** .001

사후 11.08 24

* p<.05,** p<.01, *** p<.001 (p<.001)

우울감 시기별 차이의 p값을 보면 .001로 통계적으로 음악 활동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들의 우울감이 음악활동 전. , 17.88에서 음악 활동 후 11.08점으로 6.792로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로 우울감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t=7.787, p=.001 (*** p<.001)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5]와 같다.

그림 우울감 시기별 변화도 [ 5]

17.88

11.08

0 5 10 15 20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울감 시기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사전. 17.88 ,점 사후 11.08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으로 우울감이 낮게 나타, 났음을 알 수 있다(t=7.787, p=.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 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우울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3. 자아 존중감 척도 (SES) 하위변인 분석에 따른 노인 자아 존 중감의 변화

자아 존중감 시기별 차이 사전 사후 결과는 다음- <표 24>와 같다. 표 자아 존중감 시기별 차이와 평균차 신뢰도

< 24>

평균 빈도 평균차 t p

사전 31.88 24

-5.45 -7.147*** .001 사후 37.33 24

* p<.05,** p<.01, *** p<.001 (p<.001)

자아 존중감의 p값을 보면 .001로 음악활동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인의 자아 존중감이 음악활동 전. , 31.88점에서 음악활동 후 37.33으 로 -5.45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과로 우울 하위변인 무력감 시기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t=-7.147, 으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p=.001(*** p<.001)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 6]과 같다.

그림 자아 존중감 시기별 변화도 [ 6]

31.88

37.33

28 30 32 34 36 38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자아 존중감 시기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 31.88 ,점 사후 37.33점으로 나타나 사후에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t=-7.14, p=.000)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과는 음악 활동이 노인들의 자아 존중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