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업 관찰결과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9)

실험 전-후 간에 행복수준 및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t-검증과는 별 도로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보다 직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관찰 자료를 수 집하였다. 주요 관찰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재 진행 중 관찰 자료에 대한 코딩이 가능한 ‘손 흔들기’와 ‘고개 흔들기’기만 체계적인 관찰을 수행하 였다.

1) 흥분표시로 큰소리치기

실험 횟수 20회 동안 관찰한 결과 강00B 학생만 수업이 끝났음에도 불구하 고 계속하겠다며 고집을 부리고 큰소리를 치며 음악실에 10분간 남아 있었 다. 나머지 학생들은 흥분한 상태였지만 큰소리를 내지 않았다.

2) 얼굴에 미소

실험 전에 대부분 학생들이 무표정하였나, 팀 앞에서 계속 웃으면서 시범 을 보이고 설명을 해준 결과, 밝고 신나는 표정으로 나타활동에 참여하였다.

얼굴에선 난타를 배우고 싶다는 표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개인별 자신감 표시

실험 전 학생들은 개개인마다 자신감이 없어보였으나, 실험이 계속될수록 자신감이 증가했다. 마지막 날에 발표회를 가진 결과, 자신감이 최고조로 올 랐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발표회를 통해 해냈다는 성취감을 느끼는 모습이었 다.

4) 제자리에서 뛰기

실험 횟수 20회 동안 이00B 학생은 난타북을 두드릴 때마다 계속하여 제자 리 뛰기를 하며 북을 쳤다. 강00B 학생은 가끔씩 뛰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제자리 뛰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

5) 눈 마주치기

수업 중 자세히 기록할 수 없었으나 처음 난타활동 때보다 마지막 활동시 간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생님과 눈을 계속 마주쳤다. 눈을 마주치면서 돌발행동이 줄어들고, 난타활동에 더욱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옆 친구 보면서 좋아하기

처음엔 다소 친구들과 대화도 없고, 어색해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 라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친구를 보면서 좋아하는 표정이 나타났다. 옆 친 구에게 관심을 보이고, 난타활동에 같이 참여하면서 동질감이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7) 목소리 크기가 높아짐

처음 난타활동 때 구음으로 소리내어 리듬을 읽는 부분에서는 다소 작은 목소리로 소리를 냈다. 난타활동에 대한 횟수가 증가하면서 점차 목소리가 커져서 교실 안에 학생들 목소리가 우렁차게 들렸다. 자기의 제 목소리를 크 게 내면서 자신감이 점점 향상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강00A -이00A 3 3 3 3 2 3 2 4 2 3 2 2 4 3 2 3 2 2 2 2 양00 김00A 고00A -박00 김00B -강00B 4 5 4 3 2 1 0 0 0 0 4 3 2 3 3 2 1 2 2 1 오00A -이00B 6 6 6 5 4 6 4 5 3 2 2 2 3 2 3 2 2 1 2 1 고00B 강00C 오00B -8) 걸음속도가 빨라짐

걸음 속도는 모르겠으나 동작은 실험전과 비교하면 훨씬 빨라지고 적극적 이 되었다. 학생들이 호응도가 높아지면서 즐겁고 흥겨운 표정이 얼굴에 나 타났다.

9) 손 흔들기

손 흔들기를 관찰한 결과 이00A, 강00B, 이00B학생의 경우 반응이 있었으 며 횟수마다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학생들이 횟수가 거듭함에 따라 횟수가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 다. 이러한 현상은 처음 난타를 접할 때는 좋아서 평소에 기쁜 모습 표현을 그대로 취하다가 서서히 적응하면서 줄어들긴 하였지만 그 기쁨이 정도는 있 어서 지속적으로 손 흔들기를 했다고 사료된다.

<표Ⅳ-3> 손 흔들기 관찰표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강00A -이00A 6 4 5 5 5 6 4 4 4 3 5 5 3 4 3 3 3 3 4 3 양00 김00A 고00A -박00 김00B -강00B 7 8 8 6 7 5 5 6 6 5 4 5 2 3 4 4 5 3 3 2 오00A -이00B 13 11 11 14 12 10 12 11 11 8 8 8 9 7 6 6 7 7 6 6 고00B 강00C 오00B -10) 고개 흔들기

고개 흔들기에 대한 관찰에서도 이00A, 강00B, 이00B 학생들이 반응을 보 였으며, 실험횟수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세 명 모두 실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횟수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처음 접할 때는 아주 좋아하고 신기롭다고 생각하다가 횟수가 지 나면서 서서히 적응하여 그 표현들이 작아진 것이라 해석할 수 있겠다.

<표Ⅳ-4> 고개 흔들기 관찰표

관찰결과를 묘사해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흥분표시로 큰 소리치기’에서는 난타에 참여하면서 대부분의 학생들 이 긍정적인 흥분이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표현은 조용한 흥분 에서 계속하겠다고 고집피우는 흥분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둘째, ‘얼굴에 미소’부분에서는 실험에 들어가면 지속적으로 밝은 미소를 보 였다.

셋째, ‘개인별 자신감 표시’에서는 지속적으로 고조되는 곡선을 나타내는 모

습이었다. 마지막 날 발표회에서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모습이었다.

넷째, ‘제자리에서 뛰기’부분에서는 좋아서 뛰는 경우는 많지 않았지만 평소 에 기쁨을 제자리 뛰기로 보여주는 두 명의 학생은 가끔 뛰는 모습을 보였 다.

다섯째, ‘눈 마주치기’부분에서는 실험횟수가 증가하면서 더욱 많아지고 집 중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여섯째, ‘옆 친구 보면서 좋아하기’부분에서는 실험집단을 처음 구성할 때는 모두 어색해했지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친구에게 관심을 가지고, 동질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목소리 크기가 높아짐’ 부분에서는 처음 활동 때에는 작은 목소리 로 접근을 하다가 실험 횟수가 증가하면서 목소리도 커지고 자신감도 강하게 표현하게 되었다.

여덟째, ‘걸음속도가 빨라짐’부분에서는 걸음속도부분만을 관찰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행동들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응도가 높아 지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아홉째, ‘손 흔들기’ 부분에서는 처음에는 아주 좋아하면서 평소의 모습대로 손 흔들기를 하다가 서서히 모든 면에 익숙해지면서 그 횟수가 다소 줄어드 는 모습이었다.

열 번째, ‘고개 흔들기’ 부분에서는 손 흔들기와 비슷하게 처음에는 즐거운 반응을 적극적으로 보이다가 적응하면서 서서히 줄어드는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