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 론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 교육에서 감상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능력 정 도에 대해 알아보고, 바람직한 감상 교육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초적 이해로 써 미술감상의 의의및 개념과 그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초등학교 미술과 감상교육 의 올바른 접근 방향을 찾기 위해 7차 교육과정 중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사항과 감상지도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초등학교 감상교육의 특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감상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설문조사를 통하여 감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지도력의 실태에 대하여 알 아본 후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감상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의 효과적인 감상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

본 조사의 대상은 제주도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담임교사 및 미술 전담 교사 중 284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빈도(명) 백분율(%)

성 별 남 55 19.4

여 229 80.6

연 령

29세 이하 54 19.0

30∼35세 62 21.8

36∼40세 66 23.3

41세 이상 102 35.9

학교 소재 지역

시지구 218 76.8

읍․면지구 66 23.2

학교 규모

7학급 미만 25 8.8

7∼24학급 미만 89 31.3

24학급 이상 170 59.9

직 위 교 사 281 98.9

미술전담교사 3 1.1

담당학년

1학년 54 19.0

2학년 41 14.5

3학년 58 20.4

4학년 45 15.8

5학년 46 16.2

6학년 40 14.1

계 284 100.0

먼저 성별은 여자가 80.6%로 남자 19.4%보다 더 높은 분포를 보였다. 연령은 41세 이상 이 3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6∼40세 23.3%, 30∼35세 21.8%, 29세 이하 19.0% 순 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는 시지구가 76.8%로 읍․면지구 23.2%보다 더 많았다.

학교규모는 24학급 이상이 59.9%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다음으로 7∼24학급 미만 31.3%, 7학급 미만 8.8%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별로는 일반교사가 98.9%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고, 미술전담교사는 1.1%로 매우 적었다. 담당학년은 3학년이 20.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학년 19.0%, 5학년 16.2%, 4학년 15.8%, 2학년 14.5%, 6학년 14.1% 순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은 연구대상의 분포결과를 통하여보면 예상외의 결과를 볼 수 있었는데 본 연구자는 젊은 교사보다 학습지도 경험이 많은 40대 이후의 교사들이 미술감상교육에 대 한 애로점이 많음을 알고 관심을 더 보이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2) 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프로그램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3) 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의 연령, 학교 소재지역, 담당학년에 따라 미술 감상 지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χ2검 증:Chi-square)4) 검증과 t-검증(test)5) 그리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6)을 실 시하였다.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3) SAS 프로그램 : 통계처리 프로그램.

@ 변수의 종류

① 독립변수 : 독립변수은 그것이 변화할 때에 다른 변수(종속변수)의 변화를 야기시키는 변수 이다.

② 종속변수 : 종속변수은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변수(독립변인)의 값(value)이 변화하는 결과 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이다.

4) 교차분석 (χ2 : Chi-Square) : 두 개 이상의 범주형 변수들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할 때 이용된다. 교차분석에서 이용되는 통계량은 χ2(Chi-Square)로서 이는 기대빈도와 실제빈도 간 의 차이에 의해서 계산되는데 이 때문에 일명 ‘χ2(Chi-Square)분석’이라고도 한다.

5) t검정(t-test) : 두 집단(ex: 저학년, 고학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할 때 사용하는 통계기법이며 이는 t분포에 의하여 검증된다.

6)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 ANOVA) : 세 집단(ex: 29세 이상, 30∼35세, 36∼40세, 41세 이 상) 이상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할 때 사용하는 통계기 법이며 이는 F분포에 의하여 검증된다.

1) 본 조사의 대상은 제주도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담임교사 및 미술전담교사를

Ⅱ. 이론적 배경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