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주도산 양서류의 종류가 학술적으로 알려진 것은 모리(森爲三)(1928)가

‘OnAmphibiansandReptilesofQuelpaertIsl.’라는 논문에서 다음 2목 6과 7종 을 기재하면서 부터였다.

제주도롱뇽(Hynobiusleechiiquelpartensis) -백록담(채집)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제주읍 부근(채집) 맹꽁이(Cacopidestornieri) -제주읍 부근(채집) 두꺼비(Bufobufoasiaticus) -제주읍 부근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한라산(채집)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제주읍 부근(채집) 옴개구리(Ranarugosa) -제주읍 부근

Okada(1928)-산개구리(Ranatemporaria)

Okada(1928)-금개구리(Rananigromaculatacoreana)

강과 윤(1968),박(1982),백 등(1985)은 “그 후 Sannon(1956)과 Webb(1962)이 한국산 양서류,파충류에 관한 논문에서 7종의 산지가 본도인 것을 밝히고 있 다.”고 했으나 논문을 조사한 결과 샤논(Sannon)은 ‘The Reptiles and AmphibiansofKorea’란 논문에서 전국조사의 일환으로 제주도가 아닌 추자도를 조사했으며,추자도에서 무당개구리,맹꽁이,옴개구리 3종만 확인했다.또한 맹 꽁이와 두꺼비, 산개구리, 금개구리의 학명을 수정했다. 웹(Webb)은 ‘Some Reptilesand Amphibiansfrom Korea’라는 논문에서 역시 전국조사의 일환으로 제주도에서 다음 4종을 보고하였다.

도롱뇽(Hynobiusleechii) -서귀리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모슬포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서귀리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서귀리

강과 윤(1968)은 ‘한라산 학술조사보고서’를 통해 다음 2목 6과 8종을 발표하였다.

도롱뇽(Hynobiusleechii) -이전 연구논문 정리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이전 연구논문 정리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이전 연구논문 정리 두꺼비(Bufobufoasiaticus) -이전 연구논문 정리 맹꽁이(Kaloulaborealis) -이전 연구논문 정리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옴개구리(Ranarugos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산개구리 (Ranatemporari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이 후 양과 류(1978)는 ‘한국산 양서류의 분포목록’에서 제주도산 양서류에 금 개구리를 포함시켜 2목 6과 9종으로 기록하였으며,도롱뇽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 한 문제를 제기 하였다.

도롱뇽(Hynobiusleechii) -백록담,수장교,장수교 두꺼비(Bufobufogargarizans) -제주도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백록담 맹꽁이(Kaloulabomrealis) -추자군도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제주도 금개구리(Ranaplanchyichosenica) -제주도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제주도 산개구리 (Ranadybowskii) -백록담

옴개구리(Ranarugosa) -제주도

박행신(1982)은 ‘제주도지’에 ‘척추동물’을 발표하면서 다음의 6종을 기재하였 다.

제주도롱뇽(Hynobiusleechiiquelpaertensis) -1,500m 이상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1,000m 까지,1500m 이상 맹꽁이(Kaloulatornieri) -500m 이하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500m 이하,1,000m 까지 금개구리(Ranaplanchichosenica) -500m 이하

산개구리(Ranatemporariadybowskii) -1,000m 까지,1,500m 이상

그 후 백 등(1985)은 한라산에서 다음의 2목 6과 9종을 채집하여 ‘한라산천연 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에 기록하였다.

제주도롱뇽(Hynobiusleechiiquelpaertensis) -백록담,1100고지,성판교 두꺼비(Bufobufogargarizans) -관음사,제주대 버스정류장 부근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백록담,어리목,성판교 맹꽁이(Kaloulaborealis) -제주시 이도동 부근(청문)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관음사,천지연폭포 부근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구린굴,성판교,어리목 금개구리(Ranaplancyichosenica) -채집 못함

산개구리(Ranadybowskii) -어리목,1100고지,구린굴 옴개구리(Ranarugosa) -천지연폭포 아래 개천

백남극(1990)은 ‘90년 자연생태계 전국조사’에서 1985년에 조사한 기록도 참고 하여 제주도의 양서류 2목 6과 9종을 기재하였다.

제주도롱뇽(Hynobiusleechiiquelpaertensis) -어리목 습원,논고교,영실등산로 두꺼비(Bufobufogargarizans) -제주대학교 정문 앞 풀밭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저지대에서 백록담까지

청개구리(Hylajaponica) -청문,울음소리 청취(용담1동) 맹꽁이(Kaloulaborealis) -관음사,천지연,신흥리 귀몰동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각 계곡(물이고인 곳) 금개구리(Ranaplancyichosenica) -관찰기록 없음

산개구리(Ranadybowskii) -관찰기록 없음

옴개구리(Ranarugosa) -신흥리 귀몰동,천지연폭포 수로

그 후 백남극(1993)은 ‘생물과학 심포지움’에서 ‘제주도의 척추동물상과 진화’

를 발표하면서 제주도의 양서류 2목 6과 9종을 기재하였다.

제주도롱뇽(Hynobiusleechiiquelpaertensis) -이전 연구논문 정리 두꺼비(Bufobufogargarizans) -이전 연구논문 정리 무당개구리(Bombinaorientalis) -이전 연구논문 정리 맹꽁이(Kaloulaborealis) -이전 연구논문 정리 청개구리(Hylaarboreajaponic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참개구리(Rananigromaculata) -이전 연구논문 정리 금개구리(Ranaplancyichosenic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산개구리(Ranadybowskii) -이전 연구논문 정리 옴개구리(Ranarugosa) -이전 연구논문 정리

선행연구에서 Mori(1928)가 발표한 보고서에 두꺼비와 옴개구리의 채집에 관 한 언급이 없고,그 이후에도 채집기록이 없다가 백 등(1985)이 ‘한라산천연보호 구역 학술조사보고서’에,그리고 백남극(1990)이 ‘90년 자연생태계 전국조사’에서 만 두꺼비는 관음사 부근과 제주대 버스정류장에서 관찰하였고,옴개구리는 서귀 포 천지연폭포 하류 쪽과 한림읍 신흥리 귀몰동에서 관찰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금개구리는 채집되거나 관찰된 기록이 없다.

Scientific name Mori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