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있는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직무만족 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8개, 서울에 소재한 2개의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213부(96%)를 회수하였으며 미응답 항목이 많아 분 석하기 곤란한 10부를 제외하고 총 20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수를 설정한 근거는 G power 3.1version프로그램을 이용해 유 의수준 .05, 효과크기 .30, 검정력 .95로 하였을 때 산출된 표본 수는 134명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수는 절적한 것으로 생각된다.

3. 연구도구 1) 감정노동

감정노동의 측정도구는 Morris와 Feldman(1996)이 개발한 감정노동 도구를 김민 주(1998)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감정노동의 빈도, 감정 표현에 대한 주의 정도, 감정의 부조화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총 9개 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 Likert 척도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높음을 의미한다. 김민주(1998)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86이었고,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82이였다.

2) 소진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최혜윤(2002)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소진의 양상에 따라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및 자아성취감 저하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서적 고갈 9문항, 비인간화 5문항, 자아성취감 저하 8문항의 총 22문항이다.

7점의 Likert 척도로써 ‘전혀 없음’, 0점에서 ‘매일’ 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음을 의미한다. 최혜윤(2002)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6이었 고,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89이였다.

3)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의 측정도구는 Slavitt, Stamps, Piedmont와 Hasse(1978)가 개발하고, 박성애와 윤순녕(1992)이 번역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으며 본 도구는 보 수, 자율성, 전문직업적 수준, 업무요구, 상호작용, 의사·간호사와의 관계, 행정부분 의 7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0문항이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박성애와 윤순녕(1992)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91이었고,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87이였다.

4.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진행은 먼저 A병원 의학연구 윤리심의 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 결과 심의승인(AJIRB-MED-SUR-12-265)을 받았다. 자료수집기간 은 2012년 10월 18일부터 2012년 10월 25일까지로 경기도에 소재한 8개, 서울에 소 재한 2개의 노인요양병원의 간호부에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간호부 파트장의 도움을 얻어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본 설문지는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 목적과 진행과정, 사생활 보장 및 비밀유지,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 참여 및 철회에 대한 안내문을 함께 제공하였 으며 자가보고 형식으로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 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각 병원에서 직접 회수하였다.

5.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for Window 18.0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 편차 로 구하였다.

2) 대상자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 만족도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3) 대상자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도 차이검증은 t-test와 one-way ANOVA로, 사후검증은 Scheffe로 분석하였다.

6.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경기도에 소재한 8개, 서울에 소재한 2개의 노인 요양병원에 국한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확대 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