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제주도 제주시 N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실시하는 1학년 2학기에 남, 여 각각 1개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학생 학급은 5인 기준 6개의 모둠과 4 인 기준 1개의 모둠, 여학생 학급은 5인 기준 5개의 모둠, 4인 기준 2개의 모둠 으로 각 학급당 7개의 모둠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인 과제를 진행하거나, 모 둠별 발표를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좌석배치는 그 대로 유지 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서 도형 영역과 관련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취지와 기본방향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스스로 꿈과 끼를 찾고,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 색·고민·설계하는 경험을 통해 지속적인 자기성찰 및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고, 지식과 경쟁 중심 교육을 자기주도 창의학습 및 미래지향적 역량(창의 성, 인성, 사회성 등) 함양이 가능한 교육으로 전환, 공교육 변화 및 신뢰회복을 통해 학생이 행복한 학교생활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자료가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2015 개정교육과정 1학년 도형영역 및 내용 체계를 근거로 한다. 아래 <표 4>는 2015 개정교육과정 1학년 도형 역의 내용이다.

<표 4> 2015 개정교육과정 도형영역 내용

인 기준 2개의 모둠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원은 1학기 수학 성적을 기준으로 골 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모둠 구성 후 모둠별로 탭을 하나씩 나누어 주고 제주 건축물 관련 사진을 보여준 후 모둠별로 자유롭게 ‘아름답고 만들어 보고 싶은 건축물’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모둠별 건축물 선택이 끝난 후 모둠별 로 건축물에 대한 설명과 선택 이유와 과정에 대해 발표해 보도록 하였다.

2∼3차시에는 수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블록(BLOCK) 타임제 를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1차시에 선택한 건축물에 대해 평면도를 그려보도록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진으로만 봤던 건물에 대해 모든 부분이 보여 지는 것이 아니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해 모둠별로 창의적으로 생각해 보도록 하였으 며 4∼5차시에 레고를 이용해서 건축할 부분까지 생각하여 단순화하여 평면도를 그리도록 지도하였다. 또한 평면도를 그리는 과정에서 수업시간에 배운 기본적인 작도법을 활용하여 그려보도록 하였으며, 건축 설계사에 대해 설명을 덧붙여 학 생들이 진로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3차시에 평면도 작 성이 끝난 후 모둠별로 작성한 평면도를 바탕으로 수학적 요소를 찾아 발표해 보도록 하였다.

4∼5차시에도 블록(BLOCK) 타임제를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2∼3차시에 작성 한 평면도를 기준으로 각 모둠별로 레고를 제공하여 건축물을 만들어 보도록 하 였다. 이 과정에서 평면도 또는 계획을 수정할 학생들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수정 할 수 있도록 하였다.

6차시에는 모둠별로 만든 산출물을 제출하고, 산출물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6 차시의 수업 간에 모둠별로 어려웠던 점과 느낀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였 다. 발표가 마무리 된 후 학생별로 수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며 수업을 마 무리 하였다.

4. 검사도구

개발한 자료를 적용할 남, 여 각 1개 학급 학생들을 선정하여 2016년 11월 마지 막 주에서부터 12월 초까지 총 6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진행되

는 기간에 수업에 직접 참관하여 학생들의 수업의 과정을 지켜보고, 수업 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업이 마무리 되는 6차시에는 개발한 수업 자료를 통해 수업을 받 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대상인 1학년 학생들의 경우 3월 진단 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른 제주시 학교들과 비교하여 수학 기초 미달 학생이 적은 편이나 수학에 대해 관심과 흥미가 높지 않은 편이다. 이에 따라 신 뢰도를 높이기 위해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와 상담을 통해 1학기 수학 성적과 수 업 분위기를 고려하여 남학생 한 학급, 여학생 한 학급만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 하여 개발한 수업 자료를 적용하여 관찰 일지, 설문 및 학생과의 면담 자료, 활 동지 및 평가지를 활용하여 수업 자료에 대한 분석 및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분 석하였다. 본 검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