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5)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남에 거주하는 여자중학생 423명을 편의 표집 하여 실시되었 다. 이 중에서 28명의 여학생들이 이중응답, 무응답, 그리고 기타 불성실한 응답자로 판단됨에 따라 395명의 설문지가 자료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학생들의 나이는 12세에서 15세까지의 범위로 분포하며, 전체 평균 나이는 13.23세(표준편차=1.04)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여자 중학생들의 학년, 표현활동 선호도 및 표현활동 경험 수준에 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사 례 수 %

학년 1학년 184 46.6

2학년 49 12.4

3학년 162 41.0

표현활동 선호도 좋아하지 않음 18 4.6

보통 230 58.2

좋아함 147 37.3

표현활동 경험수준 낮은 집단 151 38.2

높은 집단 244 61.8

표 1.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N=395)

2. 조사도구

1) 자아탄력성 질문지

김미향과 김성희(2010)가 남녀 중학생용으로 개발한 한국형 자아탄력성 질 문지가 사용되었다. 이 질문지는 긍정적 사고 10문항(내가 노력하면 좋은 결 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문제해결 9문항(나는 어떤 일의 원인과 결과를 잘 찾아낼 수 있다.), 친밀행동 7문항(나는 다른 사람들과 잘 사귄다.), 감정 조절 6문항(나는 누가 화나게 해도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다), 자율행동 7문 항(나는 내 자신에게 필요해져야만 일을 시작한다.)을 측정하는 5요인 39문 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Likert 형으로 응답하며, 자율행동을 측정하는 7문항은 모두 역산하여 처리되었다.

각 문항의 평균점수가 높으면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한국형 자아탄력성 질문지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 로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기 때문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에서는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도 검증이 필요하지 않지만, 본 연구에 서 수집된 전체 자료로 최대우도방식을 이용하는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 었다. 그 결과 전반적인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435.65,

df

=720,

p

=.001, TLI=.903, CFI=.908, RMSEA=.078, RMR=.147, GFI= .838).

2) 사회적 지지 질문지

노충래와 김설희(2012)가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제작한 사회적 지지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이 질문지는 부모와의 관계를 묻는 3문항(부모님과

나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또래와의 관계를 묻는 3문항(나는 친구들과 오랫동안 친구로 지내고 싶다),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 를 묻는 3문항(나는 선생님께 내 고민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다)을 포 함하여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표현활동 수업과 관련된 교사와 또래의 사회적 지지 의 조절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지지를 제외하고 6문항이 이용되었다.

각 문항은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매우 그렇다"까지로 반응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와 교사와의 관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집된 전체 자료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최대우도방식)을 실시한 결 과, 6문항의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96.231,

df

=8,

p

=.001, TLI=.872, CFI=.908, RMSEA=.081, RMR=.101, GFI=.926으로 기준치를 초과한 RMR을 제외하고 대체로 수용할 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

류정희와 이명자(2007)가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의 국문판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Ryff, 1989))가 사용되었다. 국문판 질문지는 자아수용 6문항(나 자신에 대해 자부심과 자신감을 갖고 있다), 긍정적 대인 관계 7문항(가족이나 친구들과 친밀한 대화를 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자율 성 6문항(나는 무슨 일을 결정할 때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받지 않는 편이 다), 환경에 대한 통제 3문항(내가 해야 할 일들이 힘겹게 느껴질 때가 있 다), 삶의 목적 3문항, 개인적 성장 3문항(이제껏 살아온 삶의 방식을 뒤늦 게 바꿀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을 포함하여 총 28문항 6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17개의 부정문항은 역산하여 처리되었다.

학생들은 각 문항에 대하여 "1=전혀 아니다"부터 "6=매우 그렇다"까지의 6점 Likert형으로 응답하며,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

은 것으로 해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질문지는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검증되 었지만, 수집된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최대우도방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 형의 적합도는 =1228.55,

df

=335,

p

=.001, TLI=.889, CFI=.9913, RMSEA= .082, RMR=.177, GFI=.773으로 RMR과 GFI를 제외한 주요 지수 가 수용할 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연구절차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설문조사가 가능한 2개 중학교를 선정하고, 학교별로 방과 후 예술(무용)강사에게 개별적으로 이번 연구의 취지와 목적, 그리고 설문지 작성요령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설문조사 일정을 협의한 후, 본 연구자와 예술(무용)강사들이 학생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 그리고 설문지 작성요령 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 후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솔직하게 응답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는 본인이 원하지 않을 경우에 설문지를 작성했더라도 이를 철회할 수 있음 도 설명되었다.

설문조사는 표현활동 수업이 끝나기 직전 15분 전 무용실에서 일괄적으로 실시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지는 현장에서 모두 회수되어 전산 처리 되었다. 설문지 작성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10분에서 15분 정 도 소요되었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IBM SPSS 21과 AMOS 2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되었다.

첫째, 수집된 자료의 정상분포와 다중공선성 가정을 평가하기 위해 기술통 계와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최대우도방식의 확인적 요 인분석이 실시되었다.

둘째, 각 질문지의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로 추정하는 문항 내적 일관성 분석이 실시되고, 측정변인 간의 관 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셋째, 표현활동 수업에 참가하는 중학생의 표현활동 경험수준에 따른 자아 탄력성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 다변량 분석(One-way MANOVA)이 실시되었다.

넷째, 중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structural equation analysis)이 실시되었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기본적으 로 와 표본크기에 덜 민감하면서 모형의 간명성을 나타내는 TLI (≥.90)와 RMSEA(≤.80), 비교지수인 CFI(≥.90) 외에도 RMR (≤.05)과 GFI(≥.90) 지수를 이용해 평가되었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ɑ

=.05로 설정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