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자료 및 분석방법

3. 연구방법

(Bias), 그리고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식 (2)와 (3) 참고).

부터 2014년까지 자료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해 48h 예측 값을 이용하여 실시하 급격한 강화(Rapid Intensification, RI)와 급격한 약화(Rapid Weakening, RW)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한반도 영향태풍에 대한 분석은 국가태풍센터에서 발간한 2013년과 2014년 태 풍분석보고서에 기술된 한반도 영향 태풍 6개(1304, 1315, 1324, 1408, 1411, 1419)에 대해 실시하였다. 태풍 진로별 강도오차 분석은 Kim et al., (2011)에서 제안하였던 Fuzzy c-Means Clustering Method (FCM)을 이용하여 태풍진로를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각 그룹별로 평가항목을 분석하였다. FCM 방법은

방법 또한 있지만(Lee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다중 앙상블 평균방법에 대해 서만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고, 다중 앙상블평균 방법인 단순평균방법(AVE)과 가 중치 평균방법(WEI)을 모두 이용하여 최적의 예측 값을 얻고자 한다.

Kotal et al., (2011)은 다중회귀방법(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한 컨 센서스 기법을 2008년, 2009년 북인도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의 진로 예측에 적용

최적의 태풍 강도 컨센서스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기간을 훈련기간과 예측기간, 즉 2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훈련기간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각 1년으로 하고 그 이듬해(1년)에 대해서 예측기간으로 두고 분석 하였다. 훈련기 간에는 앞서 분석 된 제 3장의 수치모델들의 예측성능 평가를 바탕으로 예측시 간 별(12, 24, 36, 48, 60, 72, 84, 96, 108, 120h, 총 10개)로 순위와 가중치를 산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출 된 순위와 가중치는 단순평균방법(AVE), 가중치 평균 방법(WEI)을 이용한 컨센서스 모델을 만들었다. 훈련기간은 컨센서스 방법을 검 증하기 위해 교차타당성 검사(Cross-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Williford et al.

(2003)은 교차타당성 검사를 이용하여 1998년의 TS 예측을 검증하였다. 이는 예 측 대상이 되는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를 가지고 훈련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다.

예측시간 별 가장 좋았던 컨센서스 모델을 사용한 컨센서스 기법과 모든 예측 시간에 대해 한 가지 컨센서스 모델로 고정하였을 때의 예측성능을 비교하기 위 하여, 교차타당성 검사를 통해 예측시간 별로 가장 낮은 오차를 보였던 컨센서스 방법과 사용 모델 개수를 선택하여 새로운 컨센서스 방법인 CON1과 12∼72h의 누적 오차(total errors)가 가장 낮았던 컨센서스 방법인 CON2를 제시하여 예측 기간에 발생한 태풍에 대해 예측을 실시하고 개별모델과 강도예측성능을 비교하 였다. 즉, 최적의 태풍 강도 예측을 위한 컨센서스 기법으로 ‘예측시간 별 가장 낮은 오차를 보였던 컨센서스 모델들의 조합’을 CON1와, ‘72h 누적 오차(total errors)가 가장 낮았던 컨센서스 모델’을 CON2로 제시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