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틀

이 연구는 군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 고,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식도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 연구로 연구 설계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의 틀

연구의 틀은 크게 설문지 및 교육 방법의 개발, 설문지 측정, 그리고 평가로 이루어지며, 설문지 및 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되 었다. 이 연구에서 흥미변수는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환자안전

인식도(지식, 태도, 지식+태도)의 차이이며, 국군 수도병원에 입원한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는 환자안전 교육을 실시한 그룹과 실시하지 않은 그룹에 대한 총 점수의 차이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환자안전 교육 전·후 동일한 대상자의 인식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2. 연구대상 및 자료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2015년 12월 11일부터 2016년 1월 22일까지 국군수도병원 내·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를 대상으로 했으며, 그림 2와 같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군 수도병원 내 공지를 통해 자발적으로 신청하도록 하고, 연구방법 및 목적에 대 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 후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자가 기입식 설문도구 를 사용하여 직접 배부 후 수거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과정 중 연구대상자가 원 하는 경우 언제라도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렸다.

1차 인식도 조사는 교육 미실시자 총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환자안 전 교육 시행 후 2차 인식도 조사를 교육 실시자 총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다. 이 중 응답이 불명확하거나 부정확하게 작성된 결측치 14명을 제외한 연 구 참여자는 1차, 2차 모두 합하여 579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48명은 1차와 2차 모두 응답한 타당도 측정 대상자로 최종 연구 참여자는 531명이었다.

그림 2. 설문지 조사

2)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

환자중심의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은 환자안전 인식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표 1과 같이 국외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은 입원 환자의 환자안전 인식도 향상을 위해 환자의 권리,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의 역할, 안전한 치료 환경 만들기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환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안전한 치료 환경을 위한 한 명의 구성원으로서의 환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의료기관 인증 평가 직후, 환자안전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병원에서 근무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시행되어졌다는 점에서도 기존의 다른 교육 프로그램들과 구별되

는 특성이 있다.

- JCAHO :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 NPSF :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질문으로 실시한 교육 만족도 조사에서 많은 환자들이 환자의 권리로서 환자안 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육 종료 후에도 전단지를 보면서 반복적인 자가 학습을 할 수 있었고, 다른 환자들과 함께 환자안전에 대해 논의했던 경험 을 통해 긍정적인 강화를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표 2. 교육 프로그램 구성

구성 시간 내용

소개하기 5분 · 교육자 소개 및 교육 목적 설명 동영상 시청 5분 · 환자의 권리

강의 10분 ·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의 역할

· 안전한 치료 환경 만들기

마무리하기 10분 · 전단지 제공 및 설명하며 종료하기

교육 시행 전부터 내․외과 병동 근무자들을 통해 환자안전 교육에 대해 홍보 하고, 교육 시행 당일 공지를 통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석할 수 있도록 했다.

중환자 및 당일 수술 환자, 거동 불가 환자 등 교육을 원하지만 이동이 불가능 한 환자들은 사전 교육을 받은 병동 근무자가 환자 교육용 전단지를 제공하며 설명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3) 환자안전 인식도 설문지 개발

문헌 고찰(김주영, 2006; 오영아, 2007; 최진우와 박찬식, 2007; 장해나, 2013;

이순교, 2015; Colla et al., 2005; Sexton et al., 2006; Kerfoot et al., 2007; Health Foundation, 2013; Gabrani, 2015)을 통해 개발된 환자안전 인식도 설문지는 환자 의 환자안전 인식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환자안전과 관련된 지식을 묻는 10개

문항과 환자안전과 관련된 태도를 묻는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환자안전 지

Providers are encouraged to report any patient safety concerns they may have.

The proper channels to direct questions regarding patient safety in this office are made clear.

다)로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1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환자안전 지식 50점 만점과 환자안전 태도 50점 만점으로 총 100점 만점 점수로 분석하였다. 이 중 부정적인 문항은 의미의 일관성을 기하기 위해 역코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태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환자안전 인식도 설문지는 1차적으로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환자안전 전문가 2인과 환자안전에 대한 실무 경험과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간호대학 교수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의뢰하여 설문지를 수정하였다. 또한 도 구의 구성 타당도를 위해 환자안전 교육 자료 문항 그대로 사용하였다. 2차적으 로 국군수도병원 일개 병동 입원 환자 20명에게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설문지 문항을 확정하였고, 본조 사시 예비조사 대상자는 포함하지 않았다.

3. 연구 변수

1) 종속변수

종속변수로 사용된 환자안전 인식도는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된 설문지를 사 용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총 20개로 환자안전 지식과 관련된 10개의 문항과 환자안전 태도와 관련된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 에 해당되는 세부적인 평균값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문항의 응답범주에 ‘1=전 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점수 를 부여하여 항목별 점수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태도의 점수의 합을 환자안전 인식도로 정의하였으며, 세부적인 설문지 내용은

표4와 같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환자안전 인식도를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태도로 구분하여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유·무에 따른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태 도의 차이를 평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환자안전 인식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 독립변수

이 연구에서 환자안전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과 임상 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세부 내용은 표 5와 같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계급, 군별, 건강 관련 정보 관 심도가 고려되었다. 결혼 상태로는 미혼 또는 독신과 기혼 또는 동거의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와 대학교 재학 또는 대 학교 졸업 이상의 두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계급은 이병 이하와, 일병, 상병, 병장, 장교 또는 부사관 또는 군무원의 다섯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별은 육군, 공군, 해군 또는 해병대의 세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건강 관련 정보 관 심도는 ‘건강 관련 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별로 없음’ 또는 ‘전혀 없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적음’으로 분류하였으며, ‘매우 많음’ 또는 ‘약간 있음’ 또는 ‘보통’으로 응답한 대상자는 ‘많음’으로 두 개 그룹 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적 특성으로는 입원과, 재원일수, 수술 시행 여부, 입원 전 1년 이내 다른 군 병원이나 민간 병원 입원 경험 유무, 낙상 위험도, 욕창 위험도가 고려되었 다. 입원과는 내과, 신경과, 피부과, 재활의학과를 내과계로, 정형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일반외과, 성형외과, 안과, 이비인후과를 외과계로 두 개 그룹으로 분 류하였다. 수술 시행 여부는 수술을 이미 받은 경우와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

변수 정의

개인적 특성 연령 만 나이

결혼 상태 독신/미혼, 기혼/동거 최종학력 고졸이하, 대재/대졸 이상

계급 이병 이하, 일병, 상병, 병장, 장교/부사관 /군무원

군별 육군, 공군, 해군/해병대 건강관련 정보 관심도 많음, 적음

임상적 특성 진료과 내과계, 외과계

재원일수 재원일수

입원 경험 타 병원 입원 경험 유무 입원 중증도 높음, 낮음

낙상 위험도 높음, 낮음

두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낙상 위험도는 낙상위험 사정도구(Morse Fall Scale) 25점 이상의 ‘위험성 높음’ 또는 ‘위험성 낮음’으로 ‘높음’으로, 낙상위험 사정도 구 24점 이하의 ‘위험성 거의 없음’을 ‘낮음’으로 두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욕창 위험도는 욕창 사정도구(Braden Scale) 14점 이하의 최고위험군, 고위험군, 중위험군을 ‘높음’으로, 욕창 사정도구 15점 이상의 저위험군을 ‘낮음’으로 두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표 5. 연구 변수

4. 분석방법

이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AS version 9.4(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에 대한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이 환자안전 인 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 유·무에 따른 환 자안전 인식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특성이 환자안 전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을 통해 응답자가 일관성 있게 조사에 응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의 설문을 통해 응답자가 일관성 있게 조사에 응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