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연구도구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대한 8문항, 환자중심 간호의 질 38문항, 통증 1문항, 불안 7문항, 자기효능감 27문항으로

총 8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

문헌 고찰을 통해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을 파악하였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직업 유무,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평가한 경제상태, 종교 유무를 포함하고 질병 관련 특성에는 진단명을 포함하였다.

2) 암 환자가 인식한 간호의 질

Radwin 등(2003)이 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개발한‘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OPPQNCS)’를 강지영 등(2016)이 번안, 수정한 한국어판 OPPQNCS 도구로 측정하였다. 도구 사용에 대해서는 저자의 허락을 받았다. 총 38문항으로 6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6점까지 측정할 수 있고, 총점은 38점에서 228점까지 분포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선택된 간호활동이 높고 간호의 질도 높음을 의미한다. 개별성 18문항, 능숙함 10문항, 민감성은 7문항, 조화는 3문항으로 강지영 등(201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6, 개별성은 .96, 능숙함은 .91, 민감성은 .89, 조화는 .80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98, 개별성은 .96, 능숙함은 .96, 민감성은 .97, 조화는 .92이었다.

3) 암 수술 후 통증

암 수술 환자가 수술 후 느끼는 통증을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양한 통증 측정방법 중에서 주관적 통증 보고인 Visual Analogue Scale(VAS)은 개인이 받아들인 자극에 대한 특성이나 태도를 쉽고 직접적으로 수치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Crichton, 2001). 또한 통증 사정이 간편하고 일관성과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으며 측정된 자료의 통계처리가 가능하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Duncan et al., 2006).

대상자가 조사 당시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0부터 10사이의 척도에 표시하게 하여 0: 통증이 전혀 없다, 5: 보통 아프다, 10: 휴식시에도 매우 괴로울 정도로 심하다로 산정함으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4) 암 수술 환자의 불안

Zigmond와 Snaith(1983)가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불안, 우울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병원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불안과 우울 측면에 제한하여 개발한 병원 불안-우울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를 오세만 등(1999)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DS는 자가 보고식 측정도구이며, 홀수 문항 7개가 불안에 관한 척도이다. 각각의 문항은 ‘없음’ 0점에서

‘심함’ 3점까지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가능한 점수 범위는 0~2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이 높음을 의미한다. Zigmond 등(1983)은 불안의 절단점을 8점으로 제시하였으며 점수가 8점 이상이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불안을 나타낸다. 오세만 등(1999)의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83이었다.

5) 암 환자의 자기효능감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신감과 관련된 17문항의 척도를 김유정(2009)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도구와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10문항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도구 사용에 대해서는 저자의 허락을 받았다. 구체적 자기효능감 도구는 본 연구 전 pilot test를 시행하였고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김유정(2009)의 연구에서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7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7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8이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