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은 <표 1>과 같다.

전체대상자는 112명으로 여성이 과반수 이상(63.4%)이었으며, 이들의 평 균 연령은 71.71±8.28세로서, 75세 미만이 58.9%(66명)이었고 75세 이상이 41.1%(46명)이었다.

대상자의 가족구성 형태는 독거세대가 37.5%(4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가족세대(32.1%), 노인부부세대(30.3%)순이었으며, 과반수 정도의 대 상자가 배우자가 없고(58%), 경제상태가 중간수준(67.8%)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의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인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45.5%), 그 다음이 중졸(29.5%), 고졸이상(25.0%)순이었으며, 대부분의 대상자가(76.8%) 당뇨 유병 기간이 15년 이상이었으며, 당뇨교육 경험이 없고(60.7%), 저혈당 경험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78.6%).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B.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의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가족구성 형태, 경제상태 변수에 따라 서는 자가간호역량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교육수준과 배우자 유무 에 따라 자가간호역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 졸이상인 대상자가 초졸 이하인 대상자보다(F=5.45, p<.01),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자가간호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42, P<.01).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인 당뇨유병기간, 저혈당 경험, 자가 혈당측정 빈도 변수에 따라서는 자가간호역량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당뇨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자가간호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89, p<.01).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 과는 <표 4>와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가족구성 형태, 경제상태와 질병관련 특성인 당뇨교육경험, 저혈당경험, 자가 혈당측정 빈도에 따른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병기간에 따라 삶의 질 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병기간이 15년 이상인 대상자가 15년 미만인 대상자보다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t=-2.00, P<.04).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D.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단변량분석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된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당뇨교육경험, 연령, 경 제상태, 저혈당 경험, 유병기간을 통제한 후 두 변수간의 편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5>과 같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4개 하위영역별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삶의 질(r=0.630, p<.01)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 음이 심리적 영역 삶의 질(r=0.418, p<.01), 환경적 영역 삶의 질(r=0.312, p<.01), 사회적 영역 삶의 질(r=0.279, p<.01)순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 가간호역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N=112)

삶의 질

사회적 영역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 신체적 영역

자가간호역량 .279** .418** .312** .630**

*p < .05, **p < .01

Ⅴ. 논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에서 생활습관 및 행동수정을 위한 중재 없이 지식

라는 신체적 문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삶의 질에 영향을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신의 질병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노인은 건강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 의료인으로 부터 질 병관리를 받고 있는 특성을 갖고 있는 당뇨병 대상자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