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결과

문서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 (페이지 39-68)

본 장에서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K-HTP에 의한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 집단별 자아존중감 검사 사전 ․ 사후 통계적 분석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집단별 자아존중감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집단별 자아존중감 사전 ․ 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실험집단(n=5) 통제집단 (n=5)

M SD M SD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 전 2.60 0.52 2.63 0.70

사 후 3.53 0.96 2.03 0.48

사회적 자아존중감 사 전 2.44 0.50 2.07 0.42

사 후 3.20 0.34 1.78 0.28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 전 2.13 0.65 2.38 0.68

사 후 3.45 0.52 2.20 0.32

학교내 자아존중감 사 전 2.18 0.48 1.93 0.47

사 후 3.48 0.32 2.08 0.21

2) 집단간의 자아존중감 검사 사전 ․ 사후 하위영역별 변화 내용

<표 Ⅳ-1>을 기초로 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 사전 ․ 사후 검사의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2>과 같다.

<표 Ⅳ-2> 자아존중감 검사의 하위영역별 변화분석

실험집단(n=5) 통제집단 (n=5)

t p

M SD M SD

총체적 자아존중감 3.53 0.96 2.03 0.48 3.128 0.021 사회적 자아존중감 3.20 0.34 1.78 0.28 7.223 0.001 가정적 자아존중감 3.45 0.52 2.20 0.32 4.557 0.002

학교내 자아존중감 3.48 0.32 2.08 0.21 8.125 0.001

<표 Ⅳ-2>는 집단미술치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의 변 화를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이다. 그 결과는 학교 내 자아존중감(t=8.125, p<0.01), 사회적 자아존중감(t=7.223, p<0.01), 가정적 자아존중감(t=4.557, p<0.01), 총체적 자아존중감(t=3.128, p<0.05) 순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집단미술치료를 시행했던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모든 요 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 집단별 사전 ․ 사후 자아존중감 변화

1 2 3 4 5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총체적 자아존중감

1 2 3 4 5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회적 자아존중감

1 2 3 4 5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가정내 자아존중감

1 2 3 4 5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학교내 자아존중감

2.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1) 집단별 정서지능 검사 사전 ․ 사후 통계적 분석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집단별 정서지능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3>과 같다.

<표 Ⅳ-3> 집단별 정서지능 사전 ․ 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실험집단(n=5) 통제집단 (n=5)

M SD M SD

정서인식 사 전 5.6 4.34 6.20 3.49

사 후 8.20 2.59 6.40 2.51

정서표현 사 전 4.8 3.27 3.60 1.52

사 후 8.20 2.59 3.60 2.07

감정이입 사 전 6.2 3.35 5.80 4.44

사 후 8.4 3.51 3.80 2.77

정서조절 사 전 10.8 6.10 10.60 6.11

사 후 16.2 5.45 11.00 4.74

정서활용 사 전 13.6 2.07 14.00 1.41

사 후 16.8 2.95 13.4 2.88

2) 집단간의 정서지능 검사 사전 ․ 사후 하위영역별 변화 내용

<표 Ⅳ-3>을 기초로 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 사전 ․ 사후 검사의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4>과 같다.

<표 Ⅳ-4> 정서지능 검사의 하위영역별 변화분석

실험집단(n=5) 통제집단 (n=5)

t p

M SD M SD

정서인식 8.20 2.59 6.40 2.51 0.964 0.421 정서표현 8.20 2.59 3.60 2.07 3.101 0.015 감정이입 8.4 3.51 3.80 2.77 2.300 0.050 정서조절 16.2 5.45 11.00 4.74 1.609 0.146 정서활용 16.8 2.95 13.4 2.88 1.844 0.102

정서지능의 경우 <표 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단미술치료 후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의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의 변화를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이다. 정 서표현(t=3.101, p< .05), 감정이입(t=2.300, p=0.05)의 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정서표현, 감정이입 영역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었다고 할 수 있다.

<표 Ⅳ-4>에서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그림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의 점수 변화가 나타난다.

<그림 2> 집단별 사전 ․ 사후 정서지능 변화

5 6 7 8 9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정서인식

3 4 5 6 7 8 9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정서표현

3 4 5 6 7 8 9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감정이입

10 11 1213 1415 16 17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정서조절

13 14 15 16 17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정서활용

3. K-HTP의 변화분석

1) A아동

사 전 사 후

<그림 3> A아동의 사전 ․ 사후 KHTP

* 내용

언덕에서 자신이 인라인을 타며 놀고 있는 모습이며 사과 나무에 있는 사 과를 따려고 한다. 집의 굴뚝에서 연기 가 많이 피어나오고 있다.

* 내용

자신이 밖에서 놀고 있는 모습인데 뛰 어넘기를 했는데 자신 모습이 커져서 기분이 좋다.

* 평가

언덕에서 집을 내려다보고 있는 모습 으로 가정이나 현재 자신의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나타내는 듯 하 다. 집의 음영이나 굴뚝의 연기는 애정 욕구와 관련된 낮은 자아존중감, 우울 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사과나무의 그림에서도 사랑과 인정을 받고 싶어함을 알 수 있다.

* 평가

사전의 그림에 비해 집의 음영부분은 많 이 생략되어 졌으나 좌측의 집 그림이 절단된 것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 현하기 어려워하는 성격이 반영되어 친 구들과의 관계가 쉽지 않음을 보여 주는 듯 하다. 사전의 굴뚝연기가 사후그림에 서 나타나지 않는 점에서 가족간의 애정 욕구와 관련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 난 듯 싶다.

2) B아동

사 전 사 후

<그림 4> B아동의 사전 ․ 사후 KHTP

* 내용

집 앞에서 수돗가에서 나무에 물을 주려 고 한다. 집은 이층집으로 가족이 모두 함께 지낸다.

* 내용

친구와 함께 오후에 탁자에 앉아 책을 보며 이야기 하고 있는 모습이다.

* 평가

나무에 물을 주려는 모습에서 자신은 사 랑 받기를 원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 대해 코가 생략되어 표현돼 분노가 있는 듯 하다.

집안의 모습이 밖으로 비춰지는 그림에 서 낮은 통제력을 보여 준다.

* 평가

사전의 그림에 비해 집안의 모습이 비춰 지는 그림은 그려지지 않았으나 자신의 모습이 작게 그려졌다. 그러나 집의 문이 사전의 그림보다 크게 그려져 다른 사람 과의 친밀한 관계에서 긍정적인 모습이 보여진다. 또한 나무의 옹이구멍의 수가 줄어 자아의 상처가 조금은 회복된 듯 하다.

3) C아동

사 전 사 후

<그림 5> C아동의 사전 ․ 사후 KHTP

* 내용

집안에서 그냥 혼자 놀고 있는 모습으 로 심심하다.

* 내용

엄마가 집에 있어서 자신이 사과를 따서 엄마와 맛있게 먹으려고 한다.

* 평가

자신은 집안에서 혼자 있는 모습에서 소 외되고 외로운 현재의 모습이 잘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자신을 집안에 포위시켜 외롭거나 억압된 분노감을 보여주며 집 에 비해 작은 문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 계 맺는 것에 대해 두렵고, 위축된 모습 을 볼 수 있다.

* 평가

집의 지붕에 음영이 그려져 자신을 통제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듯 하다. 사전 에는 엄마나 여자를 표현하지 못했는데 사후그림에서 표현되었다. 문의 크키가 사전에 비해 크게 그려져 다른 사람들과 의 관계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긍정 적인 의미를 보여준다. 자신의 그림 크기 가 커져 자아존중감은 긍정적인 모습이 보이는 듯 하다.

4) D아동

사 전 사 후

<그림 6> D아동의 사전 ․ 사후 KHTP

* 내용

친구와 함께 숨바꼭질 놀이를 하고 있는 데 자신은 숨어 있는 모습이다.

* 내용

친구와 함께 학교 앞에서 숙제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 평가

나무의 가지나 수관이 날카롭게 표현되 어 아동의 공격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듯 하다. 자신의 모습이 앉아서 숨어 있는 그림에서 자신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 과의 관계에서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는 듯 하다.

* 평가

하단의 선, 발이 땅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모습에서 아동의 불안감을 보이기도 하 나 집, 나무 그림이 사전에 비해 안전하 게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긍정적 인 변화를 볼 수는 없으나 친구와 함께 학습에 대한 열의를 표현 하였다.

5) E아동

사 전 사 후

<그림 7> E아동의 사전 ․ 사후 KHTP

* 내용

집에서 컴퓨터 게임을 하고 있는 모습이 다.

* 내용

누나와 함께 엄마의 심부름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 평가

집의 그림에서 창문이나 문을 볼 수 없 으며 사방이 절단된 모습에서 아동의 불 안감, 고립감, 위축감이 보여진다. 또한 아동의 자세가 앉아 있는 모습으로 자신 의 무능력함을 보여 주는 듯 하다.

* 평가

사전의 집 그림에서 사방이 절단된 모습 이 보여졌으나 사후에는 좌측과 아래부 분만 절단 되어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조금 향상된 듯 하다. 또한 아동 의 모습이 땅에 서 있는 모습으로 자신 의 욕구를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을 보여 준다. 사후 그림에서 나무 그림의 크기가 커진 것으로 보아 자신의 성장 및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현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듯 하 다.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과정의 회기별 내용 분석

본 장에서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이루어진 초기단계부터 미술치료 진행과정 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1) 초기단계(1회 ~ 5회)

초기단계에서는 아동들과 연구자의 관계가 아직은 어색하였으며 아동 A와 C는 프로그램 시간에 늦게 오는 경우가 많았다. 1회기의 별칭짓지의 재료인 색모래나 2회기의 난화그리기의 작업은 아동들이 처음 접해보는 것이라 관심이 많았으며 5 회기의 사포그림을 그리게 함으로써 협동작업에 대한 경험을 하게 하였다.

새로운 매체와 작업을 통해 아동들이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1회기-별칭만들기

오리엔테이션을 하고 집단원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별 칭 만들기를 하였다.

집단원 각자에게 12가지 색 모래를 하나씩 나누어 주고 친구들이 부르는 자신의 별명이나 하고 싶은 별명을 색모래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글로 표현하게 하 였다.

아동A는 색 모래를 받은 후 선 뜻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거 뜯어서 해도 되 요?” 라고 물은 후 작업을 하기 시작하였다. 옆 친구가 똑같이 하자 “또 해도 되 요?” 라고 물은 후 재미있다며 노란색 모래로 표창을 그렸다.

아동B는 모래를 조금씩 부어서 조심스럽게 도화지를 기울여서 돌려가며 '황금'을 표현하였다. 별칭을 황금으로 한 이유를 묻자 비싸고 빛나니깐 그렇게 불러지고 싶 다고 하였다.

아동C는 치료자의 말이 끝나자 바로 풀을 계속 칠하고 하늘 색, 노란 색, 빨강, 검 정 순으로 표현하였다. 작업을 하면서 자신의 작품에만 신경을 써서 옆 친구의 모 래통을 쏟아버리기도 했다. 자신이 원하는 데로 잘 안되지만 재미있다고 하였다.

문서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 (페이지 39-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