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개발서비스 직업분류 기준 취업자 특성

년 기준으로 직업

2018 차원의 연구개발서비스 부문 종사자는1,726천 명으 로 전체 취업자의6.4%를 차지하고 있다. 2014년에서2018년까지 연평균 취업 자 수 증가율은 1.8%를 기록하며 전체 취업자 증가율 0.8%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개발서비스업을 산업 차원에서 정의했을 때 종사자 수는 665천 명으 로 전체 취업자의2.5%를 차지했던 것을 감안하면 직업별로 접근했을 때 종사 자 규모는 더욱 크게 파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연구개발서비스 직종 취업자

< 4-16>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서비스직종 1,610 1,650 1,660 1,662 1,726 1.8

비중

( ) (6.1) (6.2) (6.2) (6.2) (6.4)

전 직업 26,247 26,519 26,746 27,026 27,090 0.8 주: ( ) 안은 백분율로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연구개발서비스업종 취업자를 직업 대분류 차원에서 살펴보면 예상 가능 하듯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직군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리자와 사무 종사자 직군에서 10% 이내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문. 가 및 관련 종사자와 관리자의 2014년에서 2018년까지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로 증가

1.7%, 5.0% 수준을 보이고 있고 사무 종사자는 연평균 –3.3%의 감소세 를 나타냈다.

표 연구개발서비스 직종 취업자의 직업 대분류별 추이

< 4-17>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취업자 수

관리자 38 35 43 45 46 5.0

전문가 및 관

련 종사자 1,551 1,592 1,600 1,599 1,661 1.7

사무 종사자 21 24 18 19 19 -3.3

비중(%)

관리자 2.4 2.1 2.6 2.7 2.7

전문가 및 관

련 종사자 96.3 96.4 96.3 96.2 96.2

사무 종사자 1.3 1.5 1.1 1.1 1.1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학력 수준별 종사자 추이를 살펴보면 대졸자 비중이2018년 기준55.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학원 이상 > 전문대 순이었다 고졸. 이하 비중은

년 기준 수준이다 흥미로운 점은 전문대졸자의 취업자가 최근

2018 6.6% . 0.7%

의 감소세라는 점이다 고졸. 이하 종사자는 물론이고 전문대졸 종사자 또한 최근 취업자가 감소세로 나타나며 해당 직군에서 고급 인력의 증가세가 상대 적으로 좀 더 두드러진다.

표 연구개발서비스 직종 취업자의 직업 소분류별 추이

< 4-18>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 교육및법률관련관리자· 38 35 43 45 46 5.0

생명및자연과학관련전문가 54 53 47 55 66 5.5

인문및사회과학전문가 14 17 16 22 19 8.5

생명및자연과학관련시험원 14 11 13 10 8 -12.4

컴퓨터하드웨어및통신공학전문가 44 40 42 37 40 -2.4

컴퓨터시스템및소프트웨어전문가 247 268 264 285 322 6.9

데이터및네트워크관련전문가 28 31 35 33 32 3.4

건축 토목공학기술자및시험원 223 224 243 243 223 0.0

화학공학기술자및시험원 34 37 37 36 40 4.1

금속 재료공학기술자및시험원· 12 11 12 9 10 -3.5

전기 전자공학기술자및시험원· 179 179 170 164 183 0.4

기계 로봇공학기술자및시험원· 126 114 119 110 115 -2.3

환경공학 가스 에너지기술자및시험원· 31 32 32 33 31 0.3

기타공학전문가및관련종사자 101 112 111 94 101 0.1

대학교수및강사 126 120 116 127 121 -0.9

기타교육전문가 45 51 39 37 44 -1.0

인사및경영전문가 61 64 68 66 76 5.6

디자이너 212 227 233 237 229 2.0

통계관련사무원 21 24 18 19 19 -3.3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표 연구개발서비스 직종 학력

< 4-19> 수준별 취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취업자 수

고졸 이하 120 139 119 122 114 -1.2

전문대졸 207 202 204 188 201 -0.7

대졸 867 901 923 917 958 2.5

대학원 이상 416 409 415 435 453 2.1

비중(%)

고졸 이하 7.4 8.4 7.2 7.4 6.6

전문대졸 12.9 12.2 12.3 11.3 11.6

대졸 53.9 54.6 55.6 55.2 55.5

대학원 이상 25.8 24.8 25.0 26.2 26.2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전공계열별 종사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공학계열 종사자 비중이2018년 기 준59.0%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다음 인문·사회계열 > 예술·체육 계열 순이었다 모든 전공계열에서 최근 개. (5 년 취업자는 증가 추세) 로 나타났다.

표 연구개발서비스 직종 전공계열별 취업자 추이

< 4-20> ‧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취업자 수

인문·사회계열 204 217 214 219 232 3.3

예술·체육계열 182 174 169 191 183 0.1

교육 사범 계열( ) 46 43 50 48 57 5.7

자연계열 153 157 160 155 161 1.3

공학계열 886 895 927 899 951 1.8

의약계열 21 25 21 28 28 7.4

비중(%)

인문·사회계열 13.7 14.4 13.9 14.2 14.4

예술·체육계열 12.2 11.5 11 12.4 11.4

교육 사범 계열( ) 3.1 2.9 3.3 3.1 3.5

자연계열 10.2 10.4 10.4 10.0 10.0

공학계열 59.4 59.2 60.1 58.4 59.0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제 절 일자리 특성 2

1 에서는 연구개발서비스업 취업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른 취업자 추이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해당 산업은 전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 취업자 비중이 높고 전 산업보다 청년층 비중이 높은 편 이며 교육 수준별로는 전문대졸 이상이75% 이상으로 고학력자가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절. 2 에서는 연구개발서비스 종사자의 고용 형태 및 근로조건 중심으로 일자리 특성을 살펴본다.

통계청의2018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연구개발서비스업 취업 자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종사상 지위는 상용직이었다 상용직 취업자. 수는 546천 명으로 전체 연구개발서비스업 전체 취업자 665천 명 중 82.0%를 차지해 상용직 이외의 취업자 규모는 미미했다 상대적으로 상용직 이외의 종. 사상 지위 중 자영업자와 임시근로자 비중이 각각6.8%, 6.1%로 상대적으로 높 았다 전 산업 대비 연구개발서비스업 종사자가 더 나은 고용지위를 보이는 경. 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연구개발서비스업 전체 수준에서 연구개발업의 상용직 비중이 더 높아 90%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임시근로자가. 7% 내외를 차 지했다 일용직과 자영업자. 비중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 (5 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상용근로자의 경우1.5%, 임시근로자의 경우4.1%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지원업의 경우도 상용직 비중이 가장 높아 2018년 기준 상용근로 자는 전체475천 명 중78.3%를 차지하며 372천 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영업자가 44천 명으로 산업 내 비중이 9.3%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상용근로자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3.0%로 취업자 증가세를 보이 며 자영업자의 경우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 수준이2.8%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연구개발업 부문의 상용직 비중이 연구개발지원업 부문보다 높 게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더 나은 고용지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 발지원업 종사자의 고용지위가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 개발 지원업 부문의 사용근로자 비중 또한 전 산업 대비 높은 수준으로 연구 개발업 부문이 연구개발지원업 부문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연구개발서비스업 전체 종사상

< 4-21> 지위별 취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서비스업 취업자 수

( )

상용근로자 494 510 536 513 546 2.5

임시근로자 46 51 52 49 41 -2.8

일용근로자 4 2 3 2 3 -3.1

고용주 35 33 34 29 27 -6.4

자영업자 40 41 44 51 45 2.9

무급가족종사자 3 1 2 3 4 10.0

비중 (%)

상용근로자 79.6 79.9 79.9 79.2 82.0

임시근로자 7.4 8.0 7.8 7.5 6.1

일용근로자 0.6 0.4 0.4 0.3 0.5

고용주 5.6 5.2 5.0 4.5 4.0

자영업자 6.5 6.3 6.6 7.9 6.8

무급가족종사자 0.4 0.2 0.3 0.5 0.6

전산업 취업자 수

( )

상용근로자 12,397 12,916 13,144 13,509 13,859 2.8 임시근로자 5,146 5,234 5,160 5,044 4,905 -1.2 일용근로자 1,618 1,534 1,506 1,522 1,509 -1.7 고용주 1,614 1,588 1,624 1,654 1,650 0.6 자영업자 4,183 4,040 4,111 4,120 4,019 -1.0 무급가족종사자 1,289 1,207 1,200 1,178 1,148 -2.9

비중 (%)

상용근로자 47.2 48.7 49.1 50 51.2 임시근로자 19.6 19.7 19.3 18.7 18.1

일용근로자 6.2 5.8 5.6 5.6 5.6

고용주 6.1 6.0 6.1 6.1 6.1

자영업자 15.9 15.2 15.4 15.2 14.8 무급가족종사자 4.9 4.6 4.5 4.4 4.2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표 연구개발업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 4-22>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취업자 수

상용근로자 164 162 178 170 174 1.5

임시근로자 12 14 17 18 14 4.1

일용근로자 0 1 1 1 0 -25.4

고용주 1 2 2 2 1 -4.4

자영업자 1 1 0 1 1 9.8

무급가족종사자 0 0 0 0 0 -100.0

비중(%)

상용근로자 91.7 90 90.1 89.1 91.3

임시근로자 6.8 7.8 8.3 9.3 7.5

일용근로자 0.1 0.4 0.4 0.3 0

고용주 0.8 1.3 1 1.1 0.6

자영업자 0.4 0.6 0.2 0.3 0.5

무급가족종사자 0.2 0 0 0 0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표 연구개발지원업 종사상

< 4-23> 지위별 취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취업자

상용근로자 330 348 358 343 372 3.0

임시근로자 33 37 36 31 27 -5.7

일용근로자 3 2 2 2 3 -2.0

고용주 33 31 32 27 26 -6.5

자영업자 40 39 44 51 44 2.8

무급가족종사자 2 1 2 3 4 13.3

비중(%)

상용근로자 74.7 76.0 75.7 75.0 78.3 1.2

임시근로자 7.6 8.1 7.6 6.8 5.6 -7.4

일용근로자 0.8 0.4 0.4 0.4 0.7 -3.3

고용주 7.5 6.7 6.7 5.9 5.4 -7.9

자영업자 9.0 8.6 9.3 11.1 9.3 0.8

무급가족종사자 0.5 0.3 0.4 0.7 0.8 12.5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연구개발서비스업 종사자 중 임금근로자만을 대상으로 고용계약기간 정함 여부에 따른 취업자 추이를 살펴보았다 고용계약을. ‘정하지 않음’에는 정 년제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개발서비스업 전체적으로 ‘정하지 않음’ 비중이 90.1%(2018년 기준) 으로 전 산업의82.9%보다 7.2%p 높았다 특히 전체 임금근로자의 경우 고용. 계약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근로자의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연구개 발서비스업의 경우 고용계약을 정하지 않은 비중이 90% 수준에서 일정 규모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어 전 산업 근로자 대비 안정적인 근로 환경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연구개발서비스업 고용계약기간 정함 여부에 따른 취업자

< 4-24> 수 추이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서비스업 정함 54 70 53 64 58 1.9

정하지 않음 489 494 538 500 531 2.1

비중(%) 정함 (10.0) (12.4) (9.0) (11.3) (9.9) 정하지 않음 (90.0) (87.6) (91.0) (88.7) (90.1)

연구개발업 정함 21 31 22 28 24 3.1

정하지 않음 155 146 174 161 164 1.4

비중(%) 정함 (12.1) (17.7) (11.1) (14.7) (12.8) 정하지 않음 (87.9) (82.3) (88.9) (85.3) (87.2)

연구개발지원업 정함 33 38 31 36 34 1.2

정하지 않음 334 348 364 339 367 2.3

비중(%) 정함 (8.9) (9.9) (7.9) (9.6) (8.5) 정하지 않음 (91.1) (90.1) (92.1) (90.4) (1.5)

전 산업 정함 2,927 3,418 3,040 3,569 3,457 4.2

정하지 않음 16,233 16,266 16,770 16,505 16,816 0.9 비중(%) 정함 (15.3) (17.4) (15.3) (17.8) (7.1)

정하지 않음 (84.7) (82.6) (84.7) (82.2) (2.9) 주: 임금근로자 상용 임시 일용근로자 만 대상으로 하였음( , , ) .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연구개발업 내 산업소분류별 고용계약기간 정함 여부를 살펴보면 2018년 기준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부문 고용계약기간 ‘정하지 않음’에 해 당하는 취업자는148천 명으로 산업 내에서는88.2%에 달하며 인문 및 사회과 학 연구개발업 부문 취업자의 경우 같은 기간16천 명, 78.7%로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하지만 정년제가 포함. 되어 있는 ‘정하지 않음’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표 연구개발업 고용계약기간 정함 여부에 따른 취업자

< 4-25> 수 추이 산업소( )

단위 천 명 ( : , %)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 증가율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정함 17 26 16 21 20 3.8

정하지 않음 142 132 161 141 148 1.0

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정함 4 5 6 7 4 0.2

정하지 않음 13 14 13 20 16 5.4

자료 통계청: ,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각 연도.

연구개발서비스업 부문에서 ‘정하지 않음’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회 사 본부 및 경영 컨설팅 서비스업(92.7%), 전문 디자인업(92.7), 법무관련 서비 스업(92.6%) 순이다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부문은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2018년 기준53.7%로 산업 내 가장 두드러졌다 그 외 기타 전문 과학. , 및 기술 서비스업 각종 조사인력 등이 포함되어 있는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 업 부문도 고용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각각15.4%, 15.1%로 산업 내 에서 비중이 높은 편에 속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