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에너지 자원 및 산업

문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페이지 47-62)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석유제품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며, 러시아에 이어 세계 2위 의 원유 생산국임.

원유 수출을 통한 수입이 국가 총 재정 수입의 80~90%를 차지하고 GDP의 4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는 원유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석유 매장

BP 자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매장량은 2010년 264.5십억 배럴로 확인되 었으며, R/P비율2)은 72.4로 나타났음.

-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매장량은 1987년 169.6십억 배럴에서 1988년 255.0십억 배럴 로 크게 증가한 이후 현재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

Oil and Gas Journal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확인매장량은 약 2,600억 배럴에 달하며, 이는 세계 원유 확인매장량의 1/5에 해당하는 규모임.

사우디아라비아는 100개 이상의 주요 원유 및 가스전을 보유하고 있지만, 확인매장량 의 절반 이상이 8개의 유전에 집중되어 있음.

- 여기에는 세계 최대 유전인 Ghawar 유전(1,260 평방마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추정 잔여매장량은 700억 배럴임.

자료: BP, Static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1.6)

자료: BP, Static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1.6)

석유 생산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생산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10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생산능력은 1,200 만 b/d에 달함.

- 2009년 Khurais, AFK(Abu Hadriya, Fadhili, Khursaniyah), Shaybah, 및 Nu’ayyim 유전에서만 생산능력이 200만 b/d 증가

EIA는 사우디아라비아의 2010년 총 석유 생산량을 평균 1,220만 b/d에 달할 것으로 추정 - 여기에는 원유, 리즈 컨덴세이트, 천연가솔린(NGLs) 및 기타 석유제품이 포함 - 이 중 840만 b/d는 원유이며, 나머지 180만 b/d는 OPEC의 할당량에 포함되지 않는

천연가솔린 및 기타 석유제품으로 생산

4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주요국 에너지 Profile - 5,

사우디아라비아

[그림 1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가채확정 매장량 추이

(단위: 십억 배럴)

구 분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석유 매장량 168.0 171.5 260.3 261.5 262.8 264.2 264.3 264.2 264.1 264.6 264.5

<표 15>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가채확정 매장량

- 사우디아라비아는 천연가솔린 생산에 있어서도 세계 최고 수준 사우디아라비아의 2010년 주요 생산 유전은 다음과 같음.

자료: EIA

자료: EIA

Ⅳ. 에너지 자원 및 산업

49 http://www.keei.re.kr

구 분 위 치 내 용

Ghawar

Safaniya

Khurais

Qatif Shaybah

Zuluf Abqaiq

육상

해상

육상

육상 육상 해상 육상

사우디아라비아 총 석유 생산능력의 절반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유전 생산되는 아랍 경질유는 500만 b/d 이상에 달하며, 이는 러시아와 미국을 제 외한 석유 생산국들의 생산량 합보다 큰 규모임.

세계 3위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최대 해상 유전 생산능력: 150만 b/d

2009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유전이었음.

아랍 경질 원유(light crude) 생산능력: 120만 b/d 아랍 중질급 원유(medium crude) 생산능력: 50만 b/d 아랍 초경질 원유(extra light crude) 생산능력: 50만 b/d 아랍 중질 원유 생산량: 약 45만 b/d

아랍 초경질 원유 생산량: 약 40만 b/d

<표 16>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유전(2010)

[그림 12]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가스전(2005)

원유 상류 부문

- 사우디아라비아는 중질유에서 초경질 원유까지 다양한 종류의 원류를 생산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의 총 석유 생산능력 중 65~70% 가량은 경질급 원유(light crude)에 속하며, 약 25%는 중질급 원유(medium crude), 나머지는 중질급 원유(heavy crude) 에 속함.

- 경질급 원유(light crude)는 대체로 육상 유전에서 생산되며, 중질 원유는 주로 해상 유전에서 생산됨.

- 사우디아라비아는 장기적으로 중질 원유의 생산 비중을 줄이고, 경질급 원유 생산을 확대할 계획임.

자료: EIA

-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원유 생산능력 증대 전략의 가장 큰 장애는 기존 유전의 생산량 감소(6~8%)이며, 이는 곧 매년 70만 b/d 이상의 생산능력을 추가해야한다는 것을 의미

- 사우디 아람코사는 노후한 유전의 생산량 자연 감소분을 보충하기 위해 기존 유전에 서의 추가 시추 계획을 발표했음.

5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주요국 에너지 Profile - 5,

사우디아라비아

구 분 내 용

Khurais

Nu’ayyim

Shaybah 확장

Khursaniyah Neutral Zone 확장

Manifa

아랍 경질 원유 120만 b/d 생산을 목표로 2009년 중순 개시 생산능력 기준으로 세계 4대 유전임.

아랍 초경질 원유(Super Light) 10만 b/d 생산을 목표로 2009년 중순 개시 아랍 초경질 원유(Extra Light) 생산능력을 50만 b/d에서 75만 b/d로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2009년 개시

아랍 경질원유 생산량 50만 b/d를 목표로 2009년 완료 2011년까지 생산능력 15만 b/d 증대 계획

아랍 중질 원유 생산능력 90만 b/d의 사업이 2013년까지 지연됨.

<표 17> 사우디 아람코의 원유 생산 확대 프로젝트

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대(Neutral Zone); 바레인(Bahrain)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는 중립지대 생산능력을 약 64만 b/d 증가시킬 계획이며, 주로 해상 유전에서 증산할 예정임.

- ChevronTexaco는 중립지대의 3개 육상 유전(Wafra, Humma, South Umm Gudair)을 60년간 운영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음.

- 이 유전들의 확인 매장량은 총 20억 배럴이며, 총 생산량은 아랍 중질 원유 26만 b/d 에 달함.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생산량 30만 b/d 규모의 Abu Safah 해상 유전을 공유하고 있음.

자료: EIA; CIA World Factbook

원유 처리

사우디아람코사는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Abqaiq에 세계 최대의 원유 처리시설과 원유 안정화 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Ⅳ. 에너지 자원 및 산업

51 http://www.keei.re.kr

[그림 13] 사우디-쿠웨이트 중립지대

- 이곳의 총 원유처리 능력은 700만 b/d 이상이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생산되는 아랍 초경질 원유 및 아랍 경질유와 천연가솔린의 대부분이 이곳에서 처리되고 있음.

- 여기에는 원유 펌프시설, 가스-석유 분리 공장(GPSPs), 수소-탈황(hydro-desulphurization) 유닛과 Ras al-Juaymah, Ras Tanura, Yanbu(NGLs)항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시설이 포함되어 있음.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

BP자료에 따르면 1965년 303천 b/d였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총 정제용량은 2005년 2,100 천 b/d로 증가한 이후 동일한 수준을 유지 중이며, 전국에 7개의 정제시설이 존재함.

- 이 중 약 110만 b/d의 정제용량을 보유하고 있는 사우디아람코사는 국내 정제능력을 300만 b/d로 증대할 계획임.

자료: BP, Static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1.6)

자료: BP, Static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1.6)

5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주요국 에너지 Profile - 5,

사우디아라비아

(단위: 천 b/d)

구 분 1965 1975 1985 1995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정제용량 303 703 1,420 1,692 2,100 2,100 2,100 2,100 2,100 2,100

<표 18> 사우디아라비아 정제 설비 용량

[그림 14] 사우디아라비아 정제 설비 용량 추이

미국 EIA에 따르면 사우디아람코의 정제시설 확장 계획은 다음과 같음.

- Jubail에서 Total사와 합작으로 40만 b/d 규모의 수출용 정제시설을 기획 중임. 2013 년 말에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며 주로 아랍 중질 원유를 처리하고 이젤 및 제트 유 생산을 극대화할 것임.

- 40만 b/d 규모의 Yanbu 정제시설 건설을 2014년 말에 착수할 계획임. 합작 파트너 인 Conoco-Phiilips가 기획 단계에 있는 Manifa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중질 원유를 처 리할 것임.

- Dow Chemical과의 석유화학 분야 합작 프로젝트를 기존의 Ras Tanura에서 Jubail 지 역으로 이동하여 진행할 계획임.

- 100억 달러 규모의 복합 정제시설 PETRORabigh Refinery 및 Sumitomo와의 석유화 학 합작 사업의 확장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 40만 b/d 규모의 Jazan 정제시설 건설 프로젝트를 재개할 예정

석유 수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제품 수출 규모는 2009년 730만 b/d, 2010년에는 750만 b/d로 추정됨. 수출은 대부분 원유 형태로 이뤄지며, 아시아 지역이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수 출의 55%를 차지함.

- 사우디아라비아는 2009년 일본으로 120만 b/d, 한국으로 85만 b/d, 중국으로 83.9만 b/d의 원유를 수출했음.

사우디아라비아는 캐나다, 멕시코, 베네수엘라에 이어 4번째로 큰 미국의 석유 수입 대 상국임.

- 2009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석유제품 수출규모는 2008년(150만 b/d)보다 감소한 100만 b/d를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 석유 수입량의 9%에 해당하는 규모임.

Ⅳ. 에너지 자원 및 산업

53 http://www.keei.re.kr

: EIA; (2009)

: EIA; (2009)

: EIA; (2009)

54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rofile - 5,

[ 15] (2009)

[ 16] (2009)

[ 17] NGL (2009)

수출항

- 사우디아라비아에는 3대 주요 석유 수출 터미널 이외에도 기타 소규모 터미널이 전 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유와 NGL을 포함한 총 수출 능력은 1,400~1,500만 b/d로 생 산능력 보다 300~400만 배럴 높은 수준임.

자료: EIA

석유 파이프라인

사우디아람코사는 국내에 총 길이 9,000 마일의 석유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있으나 국제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은 운영하고 있지 않음.

자료: EIA

Ⅳ. 에너지 자원 및 산업

55 http://www.keei.re.kr Ras Tanura 복합단지

페르시아 만의 Ras al-Ju’aymah

홍해의 Yanbu 터미널

600만 b/d 규모의 수출 시설이자 세계 최대 해상 석유 선적 시설로 250만 b/d 규모의 항구가 포함되어 있음.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수출 중 75% 이상이 이 시설을 통해 선적됨.

300~360만 b/d 규모

Ras Tanura를 통한 수출을 제외한 나머지의 25%의 대부분이 이 시설을 통해 수출됨.

선적시설 용량은 원유 450만 b/d, NGL 및 기타 석유제품 200만 b/d 현재는 최대 능력으로 가동되고 있지 않음.

<표 19> 사우디아라비아의 3대 석유 수출 터미널

East-West Crude Oil Pipeline (Petroline)

Abqaiq-Yanbu’NGL 파이프라인

총 길이 745 마일, 500만 b/d 규모의 파이프라인

1984년 Mobil사로부터 인수하여 주로 동부지역의 Abqaiq 정제시설에서 처리되는 아랍 경질 원유 및 초경질 원유를 홍해 Yanbu 터미널로 수송하 는데 사용되고 있음.

이 경로는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수출이 차단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략 적 시설임.

이 시설을 통할 경우 아시아 지역 수출 시간이 왕복 5일 이상 추가되기 때 문에 현재는 총 수출능력의 절만 이하만 사용되고 있음.

Petroline과 평행하여 설치됨.

29만 b/d 규모로 Yanbu 석유화학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 수송을 담당하고 있음.

<표 20> 사우디아람코의 석유 파이프라인

- 이외에도 1980년대 동부지역의 Dhahran과 Riyadh를 잇는 236 마일 규모의 파이프라 인과 Riyadh에서 북부 Qassim으로 연결된 220 마일 규모의 파이프라인이 설치되어 다양한 석유제품을 수송하고 있음.

사우디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국제 원유 파이프라인 시스템은 60년 이상된 4개의 해 저 파이프라인임.

- 이를 통해 Abu Saafra 및 Dammam 유전에서 바레인으로 아랍 경질 원유가 수송되고 있으며, 파이프라인의 수송능력은 20.7만~25만 b/d에 이름.

- Abqaiq와 바레인 Sitra의 정제시설을 연결하는 New Arabia 파이프라인(총 길이 71마 일, 35~45만 b/d 용량)이 건설되면 기존의 노후된 파이프라인은 폐쇄될 예정임.

천연가스 매장

BP자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8.0조 m3이며, R/P 비율은 95.5로 나타났음.

Oil and Gas Journal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은 275조 cf로 추정되며, 이는 러시아 및 이란, 카타르에 이어 세계 4위 규모임.

-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의 약 57%는 육상 유전인 Ghawar와 해상 유전인 Safaniya, Zuluf의 수반가스이며, 나머지 100조 cf의 비수반가스 중 75%에는 황이 다량 포함되 어 있거나 치밀가스3) 형태임. 따라서 개발이 용이한 전통적 천연가스전에 매장되어 있는 비율은 25%에 불과함.

56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주요국 에너지 Profile - 5,

사우디아라비아

3 가 스

3) 치밀가스(tight gas): 지층이 심부에 퇴적되어 높은 압력에 의해 공극이 매우 치밀해졌거나 점토광물에 의해 공극이 치밀해진 저류지층에 가스가 저장된 것. 치밀가스전은 퇴적규모가 매우 크나 공극이 치밀하여 인위적인 균열을 생성하지 못하면 생산이 어려움.(출처:Culnet)

문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페이지 47-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