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유아기 자녀와의 관계

Ⅱ. 이론적 배경

3.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유아기 자녀와의 관계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는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환경으로 유 아의 성격형성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는 자녀 성격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특히 어머니는 유아와 가장 많 은 접촉을 통하여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녀의 자기 인식 형성에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일찍이 Cooley(1902), Mead(1934) 등은 자아의 발달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이영, 박상미, 2000, 재인용).

정원식(1970)은 인생초기의 몇 년간은 유아가 자기 자신에 대한 의 견을 형성함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시기이며, 부모는 유아의 자아개 념 형성에 최초로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김재은(1996)은 인간의 성격 형성은 아주 어린 시기부터 이루어지는 데 어릴 때 경험을 전적으로 좌우하는 곳은 가정이라 하였다. 인간이 태어나 처음 접하는 가정은 개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단원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라 유아의 발달은 달라진다. 자아의 발 달과 자아능력 지각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에서 특히 어머니가 자녀 와 가장 많은 시간을 접촉하므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기 자녀의 자아지각 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곽용, 1986; 권순명, 1995; 김 세나, 2003; 박미옥, 1994; 서신영, 2003; 원영희, 1991; 윤경화, 1992; 이 계숙 2003; 한국유아교육학회, 1999; Turner & Harris, 1984).

유아의 성장발달에 있어서 어머니가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어머니의 역할은 강조될 수밖에 없다(박성욱, 2005; 이진화, 1993). 유아에 대한 발달과 적응에 있어 어머니의 심리적ㆍ정신적 건강 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들이 많 이 이루어졌다(강차연, 1995; 서영숙, 2000; 남재임, 2005). Belsky는 자 녀교육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요인 중에 유아의 특성이나 부모가 처 해있는 사회․경제적 환경뿐만 아니라 부모 개개인의 심리적인 특성도 중 요한 요인이라 주장했으며, Grossman 등도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가 장 많이 주는 요인은 심리적 특성이라고 지적했다(진영희, 2001, 재인용).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중 자아실현성의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이정숙(1983)에 의하면 자아실현성이 높은 주부는 가족 간의 갈등 이 적고 적극적인 가정관리를 수행하며, 비교적 자신의 능력에 따른 성 취동기도 강하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강기연(1988)은 주부의 자아실현성과 부부간 의사결정 유형간의 관

계를 연구한바 있는데, 주부의 자아실현성이 높을수록 부인의 참여와 부부공동참여가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특히 주부의 자아실현성은 부부 공동참여와 상관이 높았다. 즉, 자아실현성이 높은 주부일수록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남편과 타협적이고 공동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때 문으로 보여 진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아실현성과 공동참여는 학 력과 결혼만족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인의 취업 유 무가 자아실현성 및 부인의 참여 그리고 부부공동참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홍진영(2003)은 어머니의 취업이 자아실현의 중요한 통로가 될 수는 있으나 자아실현의 전부가 아닐 수 있음을 보여주며, 자아실현의 영역이 학문적, 예술적, 가정․사회적 공 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김성희(1989)의 연구에서도 남편과 부인을 중심으로 자아실현 성과 공동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남편과 부인의 공동의사결 정은 상황변수와 자아실현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 령이 낮고 자녀수가 적으며 가족생활주기가 학령 전 유아기이거나 자 녀가 독립기일수록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으며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리고 가정 내의 의사 결정 시 부부 공동의 의사결정 정도가 높을수록 가정생활의 만족도가 증가하며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김영순(1992)은 주부들의 부부역할 태도 및 자아실현에 대한 연구를 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자아실현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자아실현정도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 록 자아실현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수준에 따라서는 유의 미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반면 진보적 태도 유형 집단은 보수적 태도 유형 집단보다 자아실현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학력이 낮더라도 진보적인 역할태도를 가진 주부가 자아실현정도가 더 높다고 하였다.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가정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강

은영(1995)은 자아실현이 높을수록 자기개발활동과 가정지향활동의 참 여도가 높았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가정환경변인과 여가활동 참여도 및 자아실현성이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결과를 살펴보면, 남편이 자신의 직업에 만족할수록, 가정지향활동, 소일활동, 종교ㆍ사회 참여활동, 자기개발의 여가활동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건강할수록, 자아 실현성이 높을수록 주부의 가정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에서는 도시 주부의 자아실현성의 정도는 주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 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건강한 주부일수록 자아실현성 이 높다고 하였다.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자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양경화 (1999)는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어버이 -자녀관계, 부모의 성격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성격 과 자아실현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혜선 (1993)은 어머니의 자아실현점수가 높을수록 딸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홍진영(2003)의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자아실 현성은 유아기 자녀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남재임(2005)의 의하면,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아동의 자아존 중감의 관계에서 자아실현성이 높을수록 아동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을 가진다고 하였다.

Maslow는 자아실현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어 결정을 하고 그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독창성, 창조성을 갖는다 고 하였다(남재임, 2005, 재인용).

특히, 어머니는 주위의 다른 사람 누구보다도 유아의 행동에 최초의 모델이 되며, 가장 빈번한 접촉과 많은 시간 동안 긴밀한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초기의 자아개념 형성에는 어머니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서영숙, 2000). 따라서 유아기 자녀는 어머니라는 모델을 통해 자신의 모든 행동과 인격의 바탕이 되는 자아개념을 형성하면서 자아지각을

형성한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어머니의 자아실현성은 어머니 자신의 삶의 뜻과 의지를 실현할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남편과 자녀와의 관계 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