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양평군 군유림의 경영 방안

Ⅳ. 결과 및 고찰

2. 양평군 군유림의 경영 방안

⑴ 군유림의 지형 분석

지형분석은 양평군 군유림의 경영 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군유림 전체에 대하여 임상구분에 따른 지형분

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소 경영단위인 소반별 지형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얻었다. 군유림에 대한 지형분석은 앞의 양평군 전체의 지형분석과 마찬가 지로 해발고도, 경사, 그리고 방위의 3가지 항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 군유림의 임상별 지형분석

표 14는 임상별 평균 해발고도와 경사도를 요약한 결과이다. 군유림의 평균 해발고도는 294.8m로 양평군 전체의 평균 해발고도에 비하여 약 50m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균 경사도의 경우에도 군 전체 지역의 평균 경사 13.7°보다 큰 15.2°로 나타났다.

임상별 해발고도를 보면 침엽수림 중에서는 잣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비 교적 낮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낙엽송의 분포지역은 해발 221~541m 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효림의 경우 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분포하고 잇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활엽수 림은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는 침엽수의 경우 대 부분 인공적으로 식재하여 조성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지역 에 분포하지만, 천연 활엽수는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주로 분포하여 왔고 일부 낮은 지역은 침엽수로 수종갱신에 의해 면적이 줄어든 결과라고 해석 할 수 있다(표 14).

이러한 경향은 임상별 경사에서도 확인되는데 침엽수 중에서 낙엽송을 제외하고는 평균 경사도가 11~13°로 비교적 완만한 지역에 분포하는데 이는 인공식재가 용이한 지역을 선택한 결과로 보인다. 반면에 활엽수림과

T able 14. Elev ation and slope distribut ion of county forest

Lar ch 363.3 221.5 541.4 72.8 17.2 33.2 17.2 6.2 Kor ean

Pine 220.5 162.7 303.6 33.5 13.6 27.0 13.6 6.9 Pit ch pine 233.1 145.9 296.3 41.2 11.8 23.2 11.8 5.1

Japanese

Red Pine 262.1 188.1 355.7 45.8 11.2 20.7 11.2 4.8 Decidiou s

for est 427.7 37.2 651.8 135.5 18.7 38.5 18.7 7.5 Mix ed

for est 262.1 188.1 355.7 109.8 18.8 41.5 18.8 8.2

혼효림의 경우에는 평균경사가 약 19°정도로 대부분의 침엽수에 비하여는

가장 많고 남서사면이 그 뒤를 있고 있으며 서사면에도 비교적 많이 분포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 able 15. A spect distribution of county for est of Yangpyung .

A spect

T able 16. Elev ation and slope distribution for 35 subcom partm ent s of

Elevation (m ) Slope (。) Mean Min . Max . S .D . Mean Min . Max . S .D . Kangha 24- 가 317.0 210.2 381.0 47.0 23.7 9.87 28.1 4.7 25- 가 235.7 194.4 303.6 30.1 18.6 10.2 27.0 4.0 Yang

-seo

29- 가 434.0 382.2 470.1 22.6 17.8 2.02 33.9 8.9 31- 가 88.3 37.2 183.6 46.9 15.8 6.1 23.6 4.5 Okchon 36- 가 363.5 234.1 520.5 73.4 19.1 4.5 34.2 6.5 36- 나 428.0 266.0 555.9 65.1 17.8 2.0 32.5 7.3 S eojong 40- 다 538.5 520.0 569.3 19.9 29.0 14.0 38.5 10.1

Dan

T able 16. (Continued).

표 17은 소반별 방위별 면적분포를 8방위에 대하여 비율로 나타낸 것이 다. 소반별 임상과 사면의 분포는 수종의 내음성과 관련하여 적지적수의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할 점으로 판단된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반별 방위의 분포는 그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수종별 분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양수인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임분인 63임반의 나소반과 다소반, 80임 반 가소반, 그리고 87임반 다소반은 남서 또는 남동사면의 비율이 상대적 으로 많아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양수인 낙엽송으로 구성된 17임반 다소반과 52임반 나소반은 남사 면 또는 동사면의 비율이 높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종선택과 조림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대부분 혼효림으로 이루어진 강상면과 개군면에 속한 소반들은 거 의 대부분이 남동에서 북서사면까지 분포되어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활엽수림이 분포하고 있는 양서면, 옥천면, 그리고 서종면의 5개 소반 은 방위별 분포에서 어떤 일정한 경향이 없이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는 데, 천연 활엽수림의 경우에는 다양한 수종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침엽수림 보다는 방위가 입지조건에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T able 17. A spect distribution for 35 subcom partm ent s of Yangpyung

T able 17. (Continued).

1) 1992년 임분 현황

1992년도 영림계획서의 근거자료가 된 산림조사부의 내용 중에서 임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소반별 평균 흉고직경, 평균 수고, ㏊당 본수, 흉고단면적, 재적 등에 대한 임분통계량을 요약하였다. 소반별 임분구조나 앞으로의 경영방안은 임상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35개 소반 을 임상별로 묶어서 비교하였다.

표 18은 침엽수림인 8개 소반에 대한 1992년 당시의 임분통계량을 나타 낸 것이다.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임분이 각각 2개씩의 소 반을 구성하고 있는데, 임령은 잣나무림이 II영급으로 가장 낮고 80임반 가 소반의 소나무림만 IV영급이고 나머지는 모두 III영급이다. 침엽수림 중에 서 특징적인 것은 낙엽송림이 다른 소반과 비슷한 평균 흉고직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수고가 월등히 크기 때문에 ha당 재적이 많은 것 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나머지 침엽수림은 비슷한 임분통계량을 보이고 있는데 평균 수고가 5~7m의 범위로 수고생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IV영급의 소나무림인 80임반 가소반의 경우에는 평균 흉고직경 이 20cm이고 본수도 가장 많은 임분이지만 평균 수고가 6m에 불과하여 낙엽송 임분에 비하여 재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평군 군유림 중에서 활엽수림은 8개 소반으로 1992년 현재 각 소반의 임분 현황은 표 19와 같다. 8개 전체 소반의 평균 흉고직경은 10.5㎝, 평균

T able 18. Pine st and st atistics of 8 subcom partm ent s survey ed Kang sag 17- 다 Japanese

Lar ch

22 12.0 11.0 1326 14.9 71.2 Chungwun 52- 나 23 14.0 11.0 1280 14.5 85.8

Kangha 25- 가 Korean Pine

15 8.0 5.0 810 9.1 39.6 Gije 70- 가 18 10.0 5.0 1330 10.4 31.0 Yangdong 63- 다 Pit ch

Pine

23 12.0 7.0 1450 16.4 53.7 Yongmun 87- 다 22 10.0 7.0 1060 8.3 32.4 Yangdong 63- 나 Japanese

Red Pine

20 10.0 5.0 702 5.5 16.2 Gije 80- 가 35 20.0 6.0 1780 55.8 66.2

T able 19. Hardw ood st and st atistics of 8 subcom partm ent s surv ey ed in 1992.

수고는 6.5m로 침엽수림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당 본수는 약 867본으로 침엽수림에 비하여 다소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당 흉고 단면적과 재적의 평균값도 각각 7.6㎡, 30.8㎥로 침엽수림에 비하여 적었다.

1992년 현재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임령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결과는 인공적으로 식재된 침엽수림이 천연 활엽수림에 비하여 더 잘 관리되어 왔기 때문에 임분 상태나 구조가 더 우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20은 19개 군유림 소반에 대한 임분 현황을 요약한 자료이다.

1992년의 산림조사부에 의하면 혼효림 19개 소반은 III 영급 이상이 14개 소반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흉고직경은 모두 10cm 이하이고 평균 수고는 4~8.7m로 생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소 반은 ha 당 축적이 30m3 이하로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침엽수 림이나 활엽수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불량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19 개 혼효림 소반의 입지조건 및 생장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임분구조 를 개선하고 생장을 촉진하여 임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경 영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2000년 임분 현황

군유림에 속한 35개 소반의 임령은 대부분 왕성한 생장을 하는 II영급과 III영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난 8년간 상당한 임분구조의 변화와 함께 임목축적의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T able 20. T he mix ed st and st atistics of 19 subcompartm ent s

경우이다. 하지만 두 자료간의 표본조사 방법의 차이와 1992년도 산림조사 부의 불확실성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금년도 임 분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의 분석에 근거한 임분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 로의 임분 변화를 예측하였다.

표 21은 2000년 현재의 8개 침엽수 소반의 임분 현황과 각 소반의 직경 생장율을 요약한 자료이다. 침엽수림은 수종에 따라 임분구조에 상당한 차 이를 보이고 있다. 낙엽송 임분의 2개 소반은 본수는 적지만 평균 흉고직 경과 수고 및 재적 등에서 다른 침엽수림에 비하여 우수한 임분현황을 나 타내고 있다. 하지만 직경생장율은 2개 소반간에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데, 17임반 다소반은 1.4%로 침엽수림 중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상태를 유 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잣나무림과 소나무림은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축적을 보이고 있는데 이 는 잣나무림은 다른 소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임령이 적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소나무림은 천연림으로서 다른 침엽수림에 비하 여 관리측면에서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잣나무림과 소나무림은 직경생장율에서는 평균적으로 3.7%와 3% 정도를 보여 앞으로 빠른 속도로 임분조건이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리기다소나 무림은 낙엽송림 다음으로 양호한 축적을 보유하고 있지만 직경생장율이 2.1%에 불과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 히 리기다소나무림은 이미 IV영급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벌채계획 등과 같 은 조치가 필요하다.

T able 21. Pine st and st atistics of 8 subcom partm ent s survey ed

22.8 14.4 574 25.2 145.1 1.4

52 나 17.7 14.4 957 24.2 139.3 3.6

16.6 9.1 1324 30.5 110.0 2.1

87 다 15.3 10.4 999 20.0 83.2 2.2

T able 22. Hardw ood st and st atistics of 8 subcom partm ent s surv ey ed

T able 23. Mix ed st and st atist ics of 19 subcompartm ent s surveyed

나 활엽수림에 비교하여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생장율이다. 결과적으 로 각 소반의 임분현황과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경영방안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⑶ 군유림의 경영 방안

제한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의 경영방안을 수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양평군 35개 소반을 대상으로 2000년 현재의 임분 현황과 직경생장율을 추정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 여 앞으로 임분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근거한 경영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는 몇 가지 가정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한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의 경영방안을 수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양평군 35개 소반을 대상으로 2000년 현재의 임분 현황과 직경생장율을 추정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 여 앞으로 임분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근거한 경영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는 몇 가지 가정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