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의 특성

III. 결 과

3.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의 특성

가 . 알 코 올 의 존 환 자 군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소주가 담긴 소주잔 과 같이 주로 술에 대한 '정 물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즉, 회식장면 같이 복잡한 장면이 아닌 술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단순한 사진에서 갈망을 가장 많이

1

2

3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

그림 1. 각 군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감을 많이 일으키는 시각자극들

느꼈다.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반응은 술잔을 가리는 손조차도 싫다. 그냥 술 이면 된다. , 주로 혼자 술을 마시므로 따라 주거나 잔을 부딪히는 것도 싫고 , 안주가 있는 것도 싫다. , 복잡한 건 싫다. 술병만 있을 때 더 충 동이 느껴진다. , 마시고 싶다. 술이 따라져 있는 것을 보니까 꼭 손이 갈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와 같이 술마시는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아닌 술 자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나 . 알 코 올 사 용 장 애 고 위 험 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은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는 달리 회식장면 과 같이 음주에 대한 상황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즉, 술 에 대한 정물 사진이 아닌 술을 마시면서 사람들이 어울리는 복잡한 장면 에서 갈망을 가장 많이 느꼈다.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의 반응은 분위기가 좋아 보인다. 마시면 같이 즐거울 것 같다. , 안주가 푸짐해 보이고 맛갈스럽다. 친한 사람들 과 같이 한잔 하면 좋을 것 같다. , 화기애애한 분위기 같다. 어울려서 같이 마시면 즐거울 것 같다. 와 같이 술 자체보다는 술자리의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음주 욕구를 자극하는 것처럼 보였다.

다 . 정 상 대 조 군

정상 대조군에서는 알코올 갈망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이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즉,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자극에 일관된 특성을 보이

지 않았다. 우연히도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유발하는 자극으로 선택된 3가지 자극에 모두 안주가 들어가 있는데, 이는 정상 대조군에서 알코올 갈망 보다는 음식에 대한 욕구(식욕)가 알코올 갈망으로 표현되었을 가능 성을 시사한다.

정상 대조군의 반응은 안주가 맛있어 보여서 좋다. , 맛보고 싶은 호 기심이 들었다. , 맥주 거품과 색이 마음에 든다. , 그림이 멋지다. 마 시면 맛있을 것 같다. 술이라는 느낌보다는 음료수 같다. 와 같이 술 보다 는 음식, 그리고 멋진 그림에 더 관심을 보였다.

IV . 고 찰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이 서로 다른 특 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알코올 의존 환자군에서는 술이라는 대상 자체가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으나, 다른 두 군에서는 술 자체보다는 술 마시는 분위기, 즉 음주상황에 대한 기대가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였다. 다시 말하면 알코올 의존 환자군 에서는 술이라는 대상 자체가 반사적으로 음주 욕구를 자극하였으나, 다른 두 군에서는 술 마시는 분위기와 같이 술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가 생기고 이에 의해 알코올 갈망이 생긴 것이다.

알코올 갈망에 대한 고전적 조건화 이론에서는 알코올 갈망을 술에 대 한 기본적인 동기(fundamental m otiv e)가 작용하여 생기는 생물학적으로 보다 일차원적이며(prim al) 동질적인(hom ogenou s ) 상태로 본다9. 이에 반 해 알코올 갈망의 인지적 모델에 의하면 알코올 갈망이란 원시적인 욕구상

태(primitiv e driv e state)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는 (Conditioned Stim uli)에 대해 반사적으로 알코올 효과(Unconditioned Respon se)와 유사한 조건화 반응(Conditioned Respon se)이 일어나고 이것 이 조건화된 동기 상태(Conditioned Motivational State)가 되어 알코올 갈 망을 일으킨다는 것이다16. 본 실험에서 많은 알코올 의존 환자들이 알코올

의지핵(nucleu s accumben s ), 기저핵(Basal Ganglia), 편도체(Amygdala)와 (nucleus accum ben s ), 기저핵(Basal Ganglia ), 편도체(Am ygdala ), 띠이랑 (Cingulat e gyru s ), 전전두엽(Prefr ont al cort ex ) 등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부위인 중격의지핵(nucleu s accumben s ), 기저핵(Basal Ganglia), 편도체 (Am ygdala )가 알코올 갈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는 알코올 의존 환자들이

라 알코올 갈망이 생긴다고 주장하는 인지적 모델의 대표적인 이론인 결과 시상전부(anterior thalamu s )가 정서와 욕구행동(appetitiv e behavior )을 조 절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연구와도 일맥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면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은 마치 식욕이나 성욕과 같은 생존

수 있는 표준화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이 존재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코카인 및 아편 중독 환자를 대상으로 한 Childres s 등2 7의 연구에 의하면 표준화된 시청각 자극을 제시했을 때 보다 개개인이 갈망을 유발한다고 선 택한 자극을 제시했을 때 갈망을 더 많이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알코올 의존이 단일 질환이 아닌 다양한 증상과 징후로 이루어진 질환이라고 볼 때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에 대한 반응도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어 어떤 사 람에게는 단지 약한 갈망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모든 알코올 의 존 환자에게 갈망을 일으키지는 못하더라도 강력하게 알코올 갈망을 유발 하고 신뢰도가 높은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의 개발은 알코올 갈망 연구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부분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앞으로의 알코올 갈망 실험에서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보편 적으로 알코올 갈망을 유발한다고 본 연구에서 밝혀진 알코올 관련 시각자 극 중, 환자 개개인별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유발하는 사진을 골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있는 실험이 될 것이다.

V .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실험실 내에서 가 장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개발하 고,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에서의 알 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비교하여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 으키는 시각 자극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에서는 소주가 담긴 소주잔 , 알코 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회식장면 II : 술잔 부딪히는 장면 , 정상 대

조군에서는 맥주잔, 병, 안주 를 각각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일으키는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각 군의 시각자극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알 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에 대한 '정물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고 나머지 군에서는 음주에 대한 상황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이상의 결과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는 고전적 조건화 과정을 통해 술 관련 자극에 대해 알코올 갈망을 느끼고, 사회적 음주자의 경우는 음주 상 황에 대한 기대 또는 기억에 의해 알코올 갈망을 일으킴을 보여준다. 이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기전이 사회적 음주자와 신 경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참 고 문 헌

1 . 보 건 복 지 부 . 음주인구비율(20세이상). 1995년도 보건복지통계연보

1997:143: 59- 61.

2 . 이 호 영 , 남 궁 기 , 이 만 홍 , 민 성 길 , 김 수 영 , 송 동 호 등 . 강화도 정신과 역 학연구(III); 주요 정신질환의 평생 유병율. 신경정신의학 1989;28(6):984- 999.

3 . N am k o o n g K , L e e H Y , L e e M H , L e e B Y , L e e D G . Cr oss - cultural study of alcoholism ; comparison bet w een Kangwha, Korea and Yanbian, China . Yon sei Medical Journal 1991;32(4):319- 325.

4 . 도 로 교 통 안 전 협 회 . 1996년도판 교통사고 통계분석. 1996.

5 . 노 인 철 , 서 문 희 , 김 영 래 . 음주의 경제 사회적 비용과 정책과제.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서울; 1997.

6 . M a rl a t t GA , Go rdo n JR . Relapse prev ention ; Maint enance strat egies in the tr eatm ent of addictiv e behavior s . New York ; Guilfor d Pr ess ; 1985.

7 . W ilk e r A . Recent pr ogr ess in resear ch on the neur ophy siological ba sis of m orphine addiction . Am J P sychiatry 1948;105:328- 338.

8 . Je llin e k E M , Is b e ll H , L u n dqu i s t G , T i e b o u t H M , D o c h e n e H , M a re do n e s J e t a l . T he "cr aving " for alcohol. Quart 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955;16:34- 66.

9 . L u dw i g A M , W ik le r A , S t ark L H . T he fir st drink ; P sychobiological aspect s of craving . Ar ch Gen P sychiatry 1994;30:539- 547.

10 . L u dw i g A M , W ik l e r A . "Cr aving " and r elapse t o drink . Quart erly Journal of St udies on Alcoholism 1974;35:108- 130.

1 1 . W e in s t e in A , L in g f o rd - H u g h e s A , M art in e z - R a g a J , M a rs h a ll J . What m akes alcohol- dependent individuals early in abstinence cr av e for alcohol; exposure t o the drink , im ages of drinking , or r em embr ance of drink s past ? Alcohol Clin Exp Res 1998;22:1376- 1381.

12 . S in h a R , K ri s h n a n - S arin S , O 'M a ll e y S . Str ess r espon se and str ess - induced cr aving in alcohol dependent individuals (abstract ).

Alcohol Clin Res 1997;21(suppl):96.

13 . S t o rm ark K M , L a b e rg JC , B j e rla n d T , N o rdb y H , H u g da h l K . Aut onom ic cued reactivity in alcoholics ; the effect of olfact ory stim uli.

Addict Behav 1995;20:571- 584.

14 . E rik s e n L , Go t e s t a m K G . Conditioned abst inence in alcoholics ; A controlled experim ent . Int ernational Journal of t he A ddictions 1984;19(3):287- 294.

15 . Ca s s i s i JE , D e l e h a n t M , T s o u t s o u ri s JS , L e v in J . P sychophy siological r eact ivity t o alcohol advertising in light and m oderat e social drinker s . Addictiv e Behavior s 1998;23(2):267- 274.

16 . T if f a n y S T . Cognitiv e concept s of craving . Alcohol r esearch &

health 1999;23(3):215- 223.

17 . Ch il dre s s A R , M o z l e y P D , M c E lg in W , F it z g e ra l d J , R e iv i c h M , O 'B ri e n CP . Limbic act iv ation during cue- induced cocaine cr aving . Am J P sychiatry 1999;156:11- 18.

18 . Gra n t S , L o n do n E D , N e w lin D B , V ill e m a g n e V L , L iu X ,

Co n t e re g g i C e t a l . Activ ation of m em ory cir cuit s during cue- elicit ed cocaine craving . Proc Natl A cad S ci USA 1996;93:12040- 12045.

19 . W a n g GJ , V o lk o w N D , F o w l e r JS , Ce rv a n y P , H it z e m a n n R J , P a ppa s N R e t al . Regional brain m et abolic act iv ation during craving elicit ed by recall of previous drug experiences . Life Sci 1999;64:775- 784.

2 0 . M o de ll JG , M o u n t z JM . F ocal cerebral blood flow change during cr aving for alcohol m easur ed by SPECT . J Neur opsy chiat ry Clin Neurosci 1995;7:15- 22.

2 1 . Ge o rg e M S , A n t o n RF , B l o o m e r C , T e n e b a c k C , D ro b e s D J , L o rb e rb a u m JP e t a l . A ctivation of prefr ont al cort ex and ant erior thalamu s in alcoholic subj ect s on exposur e t o alcohol- specific cues . Ar ch Gen P sy chiatry 2001;58(4):345- 52.

2 2 . S c h n e i de r F , H a b e l U , W a g n e r M , F ran k e P , S a ll o u m JB , S h a h N J e t a l . Subcortical correlat es of cr aving in recent ly ab stinent alcoholic patient s . Am J P sy chiatry 2001;158(7):1075- 83.

2 3 . R ay m o n d F A . What is cr aving ? ; Models and implicat ion for tr eatm ent . Alcohol r esearch & health 1999;23(3):165- 173.

24 . S c h u l z e D , Jo n e s B T . T he effect s of alcohol cues and an alcohol priming dose on a multi- fact orial m ea sure of subj ective cue- reactivity

in social drinker s . P sy chopharm acology 1999;145:452- 454.

25 . Cart e r B L , T if f a n y S T . Met a - analy sis of cue- r eact ivity in addiction resear ch . Addiction 1999;94:327- 340.

26 . T if f a n y S T , Ca rt e r B L , S in g l e t o n E G . Challenges in the m anipulation , as ses sm ent and int erpret ation of cr aving r elev ant v ariables . Addiction 2000;95:Suppl2:177- 187.

27 . Ch il dre s s A R , M c l e ll an A T , E h rm a n R , O 'B ri e n CP . Cla ssically conditioned respon ses in opioid and cocaine dependence; A r ole in relapse? In : Ray BA (Ed.), Learning fact or s in subst ance abu se . NIDA Resear ch Monogr aph Number 84, W a shingt on DC; NIDA ; 1988.

A b s t ra c t

D e v elopm e n t of th e A l c oh ol - re alt e d V i s u al S tim u li In du c in g A lc oh ol Crav in g

Ch o o n g H e o n L e e

D ep artm ent of M ed icine

T he Graduate S chool, Y ons ei Univ ers ity

(Dir ect ed by Profes sor Man Hong Lee)

Cr aving is the subj ectively experienced m otiv at ional st at es inducing ongoing drug u se in addict s . It also pr oceedes or precipit at es relapse episode in drug addict s . Alcohol craving m ay be triggered by exposure t o an object , envir onm ent , or em ot ion that a per son ha s com e t o as sociat e with alcohol con sumption . Such stimuli are called alcohol- relat ed cues and alcohol- relat ed visual stimuli ar e sim ple and relaible m ethod in inducing alcohol cr aving .

T he obj ect of this study is t o dev elop alcohol- realt ed visual stimuli which induce alcohol cr aving r eliably and t o investigat e the char act eristics of alcohol- r ealt ed visual st im uli in alcoholics .

F ir st , the author dev eloped 27 alcohol and drinking color phot os a s candidat e st im uli. T hen , 3 phot os w hich induce alcohol cr aving m ost w ere chosen as alcohol- r elat ed visual stimuli respectively by alcoholics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