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트 맵(Art Map) 표현형식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10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ive Types of Art Map and Users‘ knowledge-building process

본 연구는 아트 맵과 사용자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아트 맵 (Art map)을 정의하고, 국외사례 수집을 통해 발견한 아트 맵 표현형식을 활용 하여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지도는 3차원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2차원적 형식으로 시각화시킨 결과물 이다. 최근, 여행 수요의 증가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를 색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의 관광지도가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관광지도는 사용자의 정보수용과정에 부합되지 못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너무 복잡한 관광지도는 이해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인지적 오류를 유발시킨다.

또 평이한 관광지도는 사용자의 기억 인출에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아트 맵(Art Map)은 ‘회화적 표현을 통해 제작되는 지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광의적으로는, 회화적 표현방식을 활용하여 제작자의 관점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감성적으로 함께 공유하는 예술작품 형 태의 지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트 맵의 본질적인 용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는 아트 맵(Art map)과 사용자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아트 맵을 정의하고, 국외사례 수집을 통해 발견한 아트 맵 표현형식을 활 용하여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국내외사례 수집을 통해 대표적인 아트 맵 표현형식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기초 로 국내 사례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4가지 타입(라인드로잉, 형상화, 패턴화, 발 묵)의 아트 맵을 제작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맵을 통한 사용자의 지식습 득 행위(PODMA 전개)는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파악하 였다. 설문조사와 피험자 인터뷰를 통해서, 사례로 제시된 4가지 아트 맵 유형 과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의 세부 단계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각각 의 아트 맵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맵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처리 과정이 PODMA 단계와 밀접하게 관 련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트 맵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사용 자에게 지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 지식적 대상임을 의미한다.

둘째, 라인드로잉, 형상화, 패턴화, 발묵 중에서 ‘라인드로잉’ 형식이 다섯 단계 로 구성된 PODMA 전개 과정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었다. 이는 앞서 4가지 아트 맵 유형 중에서 ‘라인드로잉’ 형식이 사용자의 지식 습득 과정에 가장 효 과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4가지 아트 맵 유형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라인드 로잉’ 유형은 의미적 자극, 동선의 흐름 파악, 흥미 유발, 길 찾기, 절차적 기억, 길 찾기 연상, 이미지 연상 부분에 도움을 준다. ‘형상화’ 유형은 시각적 자극, 의미적 자극, 길 찾기 연상, 이미지 연상 부분에 도움을 준다. ‘패턴화’ 유형은 규모 파악, 이미지 연상에 효과적이었다. ‘발묵’ 유형은 동선의 흐름 파악, 절차 적 기억에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용자의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과 4가지 유형의 아트 맵 사이의 관 련성 정도가 파악되었다. ‘형상화’ 유형은 흥미도와 매력성 부문에서 높은 평가 를 받았다. 하지만 주제적합성 부문에서는 ‘라인드로잉’ 유형이 높은 점수를 받 았다. ‘패턴화’와 ‘번지기’ 유형은 흥미도, 매력성, 주제 적합성의 모든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아트 맵 제작 시에 ‘라인드로잉’ 유 형을 채택하는 것이 사용자의 지식이해과정에 대체적으로 효과적이라 할 수 있 다. 하지만, 규모가 큰 대단위 지역에 대한 아트 맵 제작 시에는 ‘패턴화’ 유형 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해당 지역의 규모를 파악하고 이미지를 연상시 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관광지라면 ‘형상화’ 유 형을 채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형상화’ 유형은 복잡한 길 찾기에 효과적 이지 못하지만, 관광지를 다녀간 이후에 오랫동안 해당 지역을 사용자가 이미지 형태로 연상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행자들에게 자연스럽 게 동선의 흐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경우라면 ‘발묵’ 유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아트 맵 표현 형식과 사용자 지식이해과정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것의 의미는 관광지 아트 맵 제작 시에 목적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아트 맵 유 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금후에는 이를 토대로 국내 아트 맵(Art Map)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학술적 연 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 아트 맵, 회화적 표현형식, 지식이해과정, PODMA 단계

아트 맵 표현형식별 피험자 응답 및 설문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10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