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중립적 외교로 인한 정치 안정화와 동시에 전략적 위치로 주변국 수출에 용이

◦ 비(非)석유 부문 산업 육성으로 산업 다각화 정책 유지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전략적 위치로 물류허브 역할

⚬ 오만은 지리적으로 아라비아해와 인도양의 교차지점에 있어 해상무역에 유리

- 북쪽 무산담(Musandam)에서 남동쪽 아라비아해까지 약 3,165km에 이르는 해안선 보유 - 사우디, UAE, 예멘 3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이란・파키스탄・인도

등과 면해 있음. 유럽, 아프리카로의 수출이 용이

- GCC 내 물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철도・도로・항만 등 대형 교통인프라 확충 사업 발주 전망

제9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으로 탈석유 경제 다각화 추진

⚬ 오만 ‘Vision 2020’의 마지막 단계

- 연평균 GDP 성장률 3% 달성, 비석유 GDP 기여도 4.3% 성장 등이 목표

- 중소기업 육성과 더불어 비즈니스 환경을 지속 개선하고, 민영화 제도 도입 정책을 중점으로 실행하여 일자리 창출 유도

- 5개 주요 산업인 제조업, 교통 및 물류업, 관광, 수산업, 광업에 역점을 두어 경제 다변화 추진, 동 분야 일자리 창출 및 자국민 고용률 향상

- 교육・보건・비즈니스 환경・공공서비스・통신・IT 등 부문에서 성공이 전망되며, 부문별 평균 성장률 예상치는 식품 공급 5.3%, 수산업 6.5%, 제조업 및 광업 각각 6%

- 오만의 비석유 부문 수출은 2003년 이후 매년 30~40% 성장

나. 교역

수출

⚬ 2018년 오만의 수출은 417억 달러, 이 중 석유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65.3%

- 2018년 오만의 주요 원유 및 콘덴세이트 수출대상국 : ① 중국(83.1%) ② 인도(7.6%) ③ 일본 (5.8%) ④ 한국(0.3%)

주 : 환율 1달러=0.3845OMR 기준 자료 : 오만 통계청

수입

⚬ 2018년 오만의 수입은 268억 달러 기록

- 2018년 오만의 주요 수입대상국 : ① UAE(45.9%) ② 중국(5.9%) ③ 인도(4.4%) 한국(1.8%)은 11위를 기록.

2018년 오만의 주요 수입국

(단위 : 천 달러, %)

구분 국가 금액 비율

1 UAE 11,822,619 45.88

2 중국 1,520,390 5.90

3 인도 1,130,738 4.39

4 사우디아라비아 910,884 3.53

5 카타르 826,751 3.21

6 미국 825,266 3.20

7 독일 626,013 2.43

8 브라질 602,000 2.34

9 이란 585,526 2.27

10 이탈리아 584,645 2.27

11 한국 452,660 1.76

주 : 환율 1달러=0.3845OMR 기준(고정환율) 자료 : 오만통계청

⚬ (참고 1) 2017년 오만의 수입은 275억 달러 기록

- 2018년 오만의 주요 수입대상국 : ① UAE(41.8%) ② 중국(6%) ③ 인도(5.3%) 한국(2.2%)은 10위를 기록

다. 투자

신용등급 하락에도 불구, 외국인 투자금액 꾸준히 증가

⚬ 2013~2017 Foreign Investment Bulletin of Oman(오만통계청, 2019년 4월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대(對)오만 외국인투자 잠정금액은 약 424억 5,200만 달러(누계)로 이는 2016년 401억 달러에서 5.9% 증가

7 예멘 501,381 3.6

8 파키스탄 495,808 3.6

9 남아공 360,458 2.6

10 미국 351,893 2.6

2015년 2016년 2017년 2016/2017년 증감액 2016/2017년

2016년 2017년 증감률

석유 및 가스 10,725.6 13,698.8 15,931.1 2,973.2 2,232.2 16.3

금융 10,903.5 12,541.2 12,483.5 1,637.7 (57.7) -0.46

제조 8,078.0 7,669.2 7,485.6 (408.8) (183.6) -2.4

부동산 1,546.2 1,759.7 1,805.2 213.5 45.5 2.6

물류 1,582.8 1,719.9 1,617.9 137.1 (102.0) -5.9

무역 1,024.4 943.8 1,015.1 (80.6) 71.3 7.55

전기 및 수도 478.8 480.9 686.3 2.1 205.5 42.6

건설 680.4 568.8 635.9 (111.6) 67.1 11.8

호텔 및 요식 441.9 530.0 517.6 88.2 (12.5) -12.4

기타 755.3 193.8 274.4 (561.5) 80.6 41.2

총계 36,216.9 40,106.1 42,452.5 3,889.2 2,346.4 5.9

주 : 환율 1달러=0.3845OMR 기준

자료 : 오만 통계청, 2013~2017 Foreign Investment Bulletin of Oman

국가별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2015년 2016년 2017년 16/17 증감액 2016/2017년

2016년 2017년 증감률

영국 6,687.6 9,098.6 11,116.3 2,410.9 2,017.7 22.2

UAE 2,200.3 2,565.4 2,618.5 365.1 53.1 2.1

미국 664.2 636.7 1,736.0 (27.6) 1,099.3 172.5

쿠웨이트 1,008.1 1,070.2 1,120.2 62.2 49.9 4.7

카타르 950.8 1,018.5 1,004.2 67.6 (14.3) -1.4

바레인 811.7 904.6 731.3 92.8 (173.2) -19.1

스위스 748.0 711.8 637.2 (36.2) (74.6) -10.5

인도 731.6 621.6 621.3 (110.0) (0.3) -0.1

네덜란드 660.1 646.3 610.1 (13.8) (36.2) -5.6

기타 3,455.4 3,738.4 3,735.0 283.0 (3.4) -0.1

총계 17,917.8 21,012.0 23,930.0 3,094.1 2,918.1 13.9

주 : 환율 1달러=0.3845OMR 기준

자료 : 오만 통계청, 2013~2017 Foreign Investment Bulletin of Oman

⚬ 외국인 자본투자법 개정안 발효 시 투자금액 증가 전망

- 오만의 경우 특기할 만한 투자 제한제도가 없으며 자유로운 회수 자본금, 수익금 및 로열티 송금 등 자본 유출입과 태환, 외환거래 가능

- 2019년 7월 외국인 자본투자법 개정안이 논의되었으며 2020년 초 적용 예정

- 이전 자유무역지대 및 특별경제구역에서만 허용됐던 100% 외국인 자본 소유 규제 완화 전망

비즈니스 환경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