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펀딩 주체 및 데이터 관리 이해 당사자들 사이의 연합 역할

­ 지원 시스템 데이터 관리 변환 시스템: ,

­ 데이터 관리에 대한 이해관계에 대해 연구자들 교육

­ 데이터 관리 및 장기 보존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지원

○ 연구비 지원기관 담당자 대학의 관련 담당자 및 개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광범, 위한 자문 상담 훈련 및 연구 서비스 제공, ,

○ ①디지털 큐레이션과 데이터 분석 기능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 지원②

○ 디지털 큐레이션 및 데이터 관리 정책 수립 적용 사례 발굴

□ 데이터 리포지토리

○ 기관 주제 분야별 각종 데이터 리포지토리는 이미 구축되었기 때문에 데이터의, 통합과 공유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주안을 두고 있음

­ 영국 국내만을 대상으로 국한하지 않고 유럽 및 국제적인 데이터 저장소의 활용

 예) Registry of Research Data Repository (re3data.org), Research Data Alliance

시사점 3.3.

□ 국가 중심의 통일된 체계가 완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FOI Act의 기본적인 법제 하에 분야별 연구회 중심의 데이터정책 공동원칙을 수립하고 오랜 기간 운영되어 온 분야별 데이터 센터 등 연구 기관의 분명한 역할 정의와 최근 국가 차원의 정책 수립 및 등의 지원 기관의 역할을 통해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유

DMP DCC

체계를 수립하고 있음

□ 국가 차원에서 공공 정보 관련 법 및 권리 보호와 관련한 법제를 기본법으로 정의 하고 과학데이터 관리에 해당하는 세부 사항은 관련 지침으로 제공하여 연구데이, 터 공유에 대한 일관된 정책 및 지원 시스템 제공

□ DMP 정책은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유 체계의 유효한 수단으로, RCUK산하 개의6 에서 연구수행 전반에 걸쳐 데이터 관리 및 공유에 대한 정책 시행

RC DMP

는 심사효과 때문에 시행하지는 않지만 의 순기능에 대해 인정

(EPSRC DMP )

□ 정책의 일방적인 시행하는 대신 충분한 실태 파악 후 대학과 연구자들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조치

□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성과관리 차원이 아닌 온전한 연구수행의 과정으로 정착시 키기 위해 노력

□ 연구비 지원기관 대학 담당자 연구자 간에 상당 기간에 걸쳐 공감대 형성, , (JISC 의 Simon Hodson이 약 년 동안 5 human network 구축 현재, UK Open Research Data Forum)

□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관련 정책입안자 담당 업무 사서 관련 기관 전문가, , 모두 이 영역은 이제 걸음마 단계라고 평가 실질적인 데이터 공유 성과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음

□ RC의 데이터 관련 정책은 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수행하는 연구에서 생산되는 데 이터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 EPSRC는 대학을 통해 정책을 수립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머지 , RC는 개별 연구자 수준에서 정책을 적용하고 있음

□ 영국의 경우 국가연구소가 RC 에 소속되어 있어 RC의 데이터 관련 정책이 국가 연구소 대학에 일관되게 적용됨,

□ 데이터 관리의 목적은 연구 신뢰성 향상과 데이터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연구 성과의 평가를 위한 정책 수립은 미온적임

□ 과거 논문 및 보고서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데이터를 활용하던 관점을 확대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데이터의 공개 및 접근 가능 여부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데이터의 유용성 재사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장기 보관 가치를 평가함/

□ 데이터 관리의 실제적 가치는 아직 구체적으로 평가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데이, 터 수집 및 보존에만 집중하고 가치 생산을 위한 활용은 향후 과제로 두고 있음

□ 향후 데이터의 가치 추정에 따른 보존 대상 selection & appraisal 비교 방법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음

□ 대부분의 국가연구소를 지원하는 RC (NERC, ESRC )등 에 의해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는 데이터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분야별 연구데이터 수집 메타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공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인력의 확보 및 지원을 수행함

□ 연구 분야별 데이터 센터와 달리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리파지토리의 경 우 데이터 검중 기능이 생략된 단순 아카이빙 기능 수행

□ 대학 도서관 등 기관별 데이터 관련 기능 주도 조직 중심으로 데이터 관리 및 공 유 활용을 위한 정책 및 절차에 대한 로드맵을 구축하고 정부는 JISC의 프로젝트 로 조직된 DCC를 통해 정책지원 컨설팅뿐만 아니라 필요한 지침서 개발 인력, , 훈련을 포함한 시스템 지원 수행

□ JISC는 National Research Data (Metadata) Repository & Discovery 프로토타 입 구축 계획 중(2015년 현재)

1 ) CKAN30)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포탈과 국가 주도의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인 오 스트레일리아의 ANDS31)와 같이 supreme 주체를 중심으로 종합 관리 체제 구축

안 형태의 통합 네트워크 구축

2 ) Linked Data

□ 데이터 자체 및 데이터 공유의 기술적 사항은 비교적 간단하며 이보다 데이터 공, 유를 위한 분야 연구자들 및 데이터 관리 주체 간의 협력(collaboration)은 훨씬 더 복잡한 과정이므로 데이터 센터 및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 데이터 관리 계획(DMP) 적용에 따른 효과는 수집 공유 접근되는 데이터 양의 증, , 가 및 데이터 질의 향상 등 정성적인 가치의 향상이며 정량적이고 가시적인 효과, 는 아직 부족하므로(2015년 현재 향후 ) DMP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정 책 보완이 필요함

□ 데이터의 오픈액세스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연구 커뮤니티 내 개별 연구자들 사이 에 이미 상식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관리의 효과적 방안 및 연, 구 커뮤니티가 데이터 개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둠

□ 데이터 개방을 펀딩의 필수 요건으로 강제적(negative) 요구 방안과 데이터 개방 및 질을 다음 펀딩 지원 시 고려 조건으로 반영하거나 데이터 저널 등으로 인용 크레딧(credit) 부여 및 연구 커뮤니티 내 데이터 재사용에 대한 공헌을 인정하는 긍정적(positive) 활성화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 정보가 상업적 자산이거나 상업적 가치가 있는 경우 지적 재산 권리를 통해 공개 된 정보를 보호하고 연구 내용에 따라 필요 시 공개 금지 기간 등의 다양한 옵션, 을 통한 연구 주체의 권익 보호 방안 마련

30) The Comprehensive Knowledge Archive Network (CKAN), http://ckan.org

31)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http://www.ands.org.au

호주 과학데이터 관리 및 공유 체계

문서에서 해외 과학데이터 관리 체계 조사 (페이지 48-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