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뮬레이션 및 결과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6)

2038 2064 2103 2190 2223

244 257 279 302 356

0 500 1000 1500 2000 2500

1 2 3 4 5

Number of ACK

Error rate (%)

TEEM TEEM BA

그림 18. TEEM 프로토콜과 제안하는 프로토콜과의 ACK 전송량 비교.

2010 2049 2074 2046 2115

238 261 291 311 342

0 500 1000 1500 2000 2500

1 2 3 4 5

Number of ACK

Error rate (%)

INS INS BA

그림 19. INS 프로토콜과 제안하는 프로토콜과의 ACK 전송량 비교.

2. End to End Delay

관련연구에서 언급하였듯이,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데이터 지연 문제 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역시 데이터 지연 문제가 발생한다. 두 번 째 실험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은 ACK패킷의 사용을 최소화 하였을 때 전송 시간이 얼마만큼 변하는가이다.

첫 번째 실험과 동일 한 조건에서 에러율과 데이터 조각 수를 변경해가며 실험하였 다. 그림 20는 에러 발생 확률이 0%일 때, 5조각부터 15조각 까지 데이터를 나누어 전송한 실험 결과 값이다.

2300 2400 2500 2600 2700 2800 2900 3000 3100 3200

5 6 7 8 9 10 11 12 13 14 15

End to end delay (ms)

Number of fragment per traffic

SMAC SMAC-BA TEEM

TEEM-BA INS INS BA

그림 20. 조각 수의 증가에 따른 전송 지연 시간. 에러율 0%.

데이터가 목적지 노드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원래의 프로토콜과 제안하는 프로토콜 을 비교해 보면 조각 수가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을 눈으로 확 인 할 수 있다. 표 4를 보면 durData값과 durCtr값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과 제어 패킷이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각 각 43ms, 11ms로 설정되어있다. 따라

서 조각 전송과 함께 ACK의 전송도 같이 이루어 S-MAC 프로토콜의 경우 조각 하 나의 증가 할 때 마다 54ms 씩 증가하는 셈이다. 반면에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몇 개 의 조각이 증가하더라도 하나의 ACK 만이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 조각이 증가 할 때마다 43ms 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S-MAC과 TEEM 프로토콜보다 (전체 조각 수 -1) * 11(ms) 의 시간만큼 전송이 빨리 끝나게 된다.

그림 21은 에러 발생 확률이 5% 일 때의 실험 결과이다. 에러에 의해 재전송이 이 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래프의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지만 조각 수가 증가함에 따라 넓어지는 기울기 값의 차이는 제안하는 프로토콜의 성능이 원래의 프로토콜보다 전송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방식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TEEM 프로토콜이 S-MAC 프로토콜에 비하여 전송 시간이 짧은 이유는 S-MAC 보다 짧은 listen 구간 을 갖기 때문이다.

2400 2500 2600 2700 2800 2900 3000 3100 3200 3300 3400

5 6 7 8 9 10 11 12 13 14 15

End to end delay (ms)

Number of fragment per traffic

SMAC SMAC-BA TEEM

TEEM-BA INS INS BA

그림 21. 조각 수의 증가에 따른 전송 지연 시간. 에러율 5%

3. Energy consumption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논문의 제안 목적은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설계 하는 것에 있다. 에너지 소비량 측정은 두 번째 실험에서 각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한 것이다.

그림 22의 실험 결과는 송신노드의 에너지 소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그래프를 보 면 제안하는 프로토콜이나 원래의 프로토콜들 간에 에너지 소비량의 차이가 거의 없 다. 송신노드는 제어 패킷을 보내지 않고 받기만 한다. ACK를 수신 하는 시간에는 프 로토콜 간에 차이가 있지만 idle 상태에서의 에너지 소비량과 데이터를 수신 할 때의 에너지 소비량은 동일하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 증가는 조각의 수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그림 22. 송신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그림 23는 중간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송신 노드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의 경우에 S-MAC과 TEEM 보다 훨씬 완만한 기울기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송신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측정 결 과에서처럼 데이터 조각의 전송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변화 차이는 거의 발생하지 않 기 때문에 이러한 기울기의 차이는 ACK의 전송에 의해서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림 23. 중간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그림 24은 목적지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한 것이다. S-MAC과 TEEM의 경우 에 조각 수의 증가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지만 제안하는 프로토콜의 경우에 에너지 소비량이 조각 수에 거의 동일한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수신 받는 조각의 수가 증가 하더라고 전송하는 ACK의 수는 한 개로 동일하기 때문 이다. 반대로 수신 받는 조각마다 ACK를 전송하는 S-MAC과 TEEM은 수신 받는 조 각의 수가 증가 할 때마다 ACK의 전송 횟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15조각일 때 제안하는 프로토콜에서 에너지 소비가 7% 감소하였다.

그림 25은 세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 전의 실험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림 24. 목적지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그림 25. 세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 평균 값.

V.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맥 프로 토콜을 제안하였다. 최근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이 온도·습도·조도 등과 같은 소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음성과 같은 데이터 역시 수집하 는 형태로 변화 되어 가고 있다. 특히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배터리로 동작하기 때문 에 에너지의 소비에 민감하며 가장 많은 에너지 소비 요인은 노드간의 통신이다. 따라 서 얼마나 효율적인 맥 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노드의 생존 시간이 달라진다.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맥 프로토콜은 사이즈가 큰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적 합하지 않게 설계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전송 기법은 데이터를 조각화하고 이 를 블록 응답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제어패킷으로 인한 오버헤드와 효율적인 재전송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실험 결과에서처럼 에러가 없는 환경에서 15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였을 때 세 노드의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기존의 프로토콜 대비 약 3.15%의 에너지 감소를 달성하였다. 또한 제어 패킷의 최소화 하여 조각화 전송 시 한 조각 당 11ms의 전송 시간을 단축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여러 맥 프로토콜에 제안하는 아이디어가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아이디어는 기존의 맥 프로토콜처럼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 만을 전송하는 응용에서도 사용가능하고 영상과 이미지 음성 등을 사용하는 응용에서 또한 가능하다.

계층 구조를 갖는 프로토콜은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위 계층 및 하위 계층의 정보를 바탕으로 좀 더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만들기 위한 cross layer 방식으로 전환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S-MAC 프로토콜 같은 경우는 이미 실제 상용 센서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있다. 향후 연구 과제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토콜을 실제 의 센서 노드에서 구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1] S. Plancoulaine, A. Bachir and D. Barthel, "WSN Node Energy Dissipation,"

France Telecom R&D, internal report, July 2006.

[2] R. Alesii, F. Graziosi, L. Pomante and C. Rinaldi, "Exploiting WSN for Audio Surveillance Applications: the VoWSN Approach," 11th EUROMICRO CONFERENCE on DIGITAL SYSTEM DESIGN Architectures, Methods and Tools(DSD 08), 2008, pp.520-524.

[3] Quan Zhou, Yongjun Xu and Xiaowei Li, "HTSMAC: High Throughput Sensor MAC for Wireless Video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Mobile Computing, pp.2428-2431, 2007.

[4] V. Jelicic, V. Bilas,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Image Transmission over IEEE 802.15.4/ZigBee Sensor Network,"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Technology Conference (I2MTC), pp.1211-1215, 2010.

[5] I.F. Akyildiz, T. Melodia, and K.R. Chowdury,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A survey,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vol.14, pp.32-39, 2007.

[6] 한백전자기술연구소,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시그템,” 2006.5 [7] 전자신문사, “훤히 보이는 RFID/USN" 2008.6

[8] 김지은, 김세한, 정운철, 김내수, "USN 센서 노드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 3호, 2007.6

[9] LAN MAN Standards Committee of the IEEE Computer Society,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IEEE Std 802.11-1999.

[10] W. Ye, J. Heidemann, and D. Estrin," An energy-efficient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IEEE INFOCOM 2002, vol.3, pp.1567-1576, June 2002,

[11] W. Ye, J. Heidemann, and D.Estrin, "Medium access control with coordinated, adaptive sleep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June 2004.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