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분석 방법

2.1 시료 전처리

TSP 필터 시료를 US EPA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In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1999)' Method IO-3: Chemical Species Analysis of Filter-Collecte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Fig 4와 Fig 5에서는 EPA IO-3의 방법의 순서를 간략히 소개하고 마이크로파 분 해 시스템(Milestone, START D, Italy)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EPA IO-3의 방 법으로 우선 TSP 에어로졸 필터를 시료가 채취된 부분을 원형으로 잘라낸 뒤 여 러 번 잘게 잘랐다. 잘린 TSP 에어로졸 필터를 10 ml의 산 용액(5.55% HNO3/

16.75% HCl)과 함께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장착되어있는 PFA (perfluoroalkoxy) 테 플론 용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내부와 외부의 물질들과 혼합되지 않게 밀봉하고 마이크로파는 1000 W와 온도 180℃로 상승시킨 후 이 온도에서 15분간 유지하고 서서히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마이크로파 산분해를 거친 용액은 주시기 필터 (Whatman, PVDF syringe filter, 0.45 g/ml)를 사용하여 녹아 나왔고, 이를 초순수와 5 ml 산 용액(3% HNO3/8% HCl)을 용량플라스크 25 ml가 되도록 희석 및 clean 작 업(테플론 용기 내부 다시 세척)을 하여 분석용 시료로 이용하였다.

18

Fig 4. Flow chart for separation of TSP Aerosol filter(EPA IO-3).

Fig 5. Microwave digestion system(Milestone, START D, Italy).

19

20

Fig 6. Standard calibration curve for 238U solution of MSU-100PPM.

Fig 7. Standard calibration curve for 232Th solution of MSTH-100PPM.

21

Fig 8. Multi-element calibration standard 3 calibration curve for 39K.

22

23

식(2.1)에서 계산된 핵종 i (39K, 238U, 232Th)의 측정농도( )로부터 식(2.2)를 이용 하여 핵종 i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 )를 산출하기 위해 각 핵종의 반감기 (s) ; 40K ( ), 238U ( ), 232Th ( )와 핵종의 원자량 ( ) ; 40K (39.964), 238U (238.05), 232Th (232.038)을 적용하였다. 39K에 대한 40K의 방 사능 계산을 위해 질량수 39, 40, 41인 칼륨 핵종 중에서 40K의 자연 존재비율(me)

0.0117%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238U, 232Th의 자연존재비율(me)을 각각 99.27%, 100%

로 계산하였다(Michael Berglund, 2011). 다음과 같이 식(2.2)에는 PTFE 필터 내의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 계산 식을 나타내었다.

(2.2)

: 핵종 i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Bq/m3) : 핵종 i (238U, 232Th, 39K)의 농도(pg/m3)

me : 자연 존재비율(%)

: 반감기(s)

:

핵종의 원자량(g/mol)

N : 아보가드로 수(6.022 1023 mol-1)

24

2.4 연간 유효 선량 산출

본 연구에서는 TSP 필터 시료에서 측정된 천연방사성핵종 40K, 238U, 232Th 농도 의 결과를 얻음과 동시에 호흡으로 인한 연간 유효 선량( )을 계산하기 위해

UNXCEAR 2000 보고서에 작성된 식(2.3)을 참고하였다.

(2.3)

: 연간 유효선량(Sv/y)

: 핵종 i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Bq/m3) B : 연령별 숙면과 활동들을 고려한 호흡률(m3/day)

: 호흡으로 인한 방사능당 유효선량 환산계수(Sv/Bq) : 실내와 실외의 거주 인자

: 내부와 외부 공기 농도의 비율(0.3)

식(2.3)은 호흡으로 인한 연간 유효선량은 1개월, 1살, 5살, 10살, 15살과 성인으 로 ICRP에서 확인된 6개 그룹으로 계산하였다. 각각의 연령에 대한 실내와 실외 의 거주 인자(F0)는 Table 1, 연령별 숙면과 활동들을 고려한 호흡률(B)은 Table 2, 공기역학적 평균 활동 직경(Activity Median Aerodynamic Diameter: AMAD) 1 으 로 결정된 일반인에 대한 핵종마다 섭취한 방사능 당 유효선량 환산계수

Table 3에 나타내었다(ICRP 2002; ICRP 2012; A. Zytoon, 2014). 내부와 외부에 대한 공기 농도의 비율( )은 0.3으로 가정하였다(UNSCEAR2000).

25

Table 1 Reference values for daily time budgets for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Location

26 exercise level for members of the public at various ages

Exercise level 3 months 1 year 5 years

Exercise level 10 years 15 years (male) 15 years (female) h m3/h m3 h m3/h m3 h m3/h m3

Exercise level Adult (male) Adult (female) h m3/h m3 h m3/h m3

27

공기역학적 평균 활동 직경(AMAD)이 1 으로 결정된 일반인에 대한 핵종마 다 섭취한 방사능 당 유효선량( )을 Table 3에 나타냈다. 섭취유형에 따라서 F,

M, S type으로 구분하고 연령대별 핵종마다 섭취한 방사능 당 유효선량을 보여준 다. F type(fast rate of absorption)은 호흡 기관으로부터 혈액에 순조롭게 흡수될 때 녹아 붙는 물질들의 유형, M type(moderate rate of absorption)은 호흡 기관으로부터 혈액에 중간 단계로 흡수될 때 녹아 붙는 물질들의 유형, S type(slow rate of absorption)은 호흡 기관에서 비교적 용해되지 않았을 때 녹아 붙는 물질들의 유 형을 의미한다.

Table 3 Effective dose coefficients e for inhalation (AMAD= 1μm) of radionuclides for members of the public

Nuclide Type Infant (Sv/Bq)

(Sv/Bq) 1year 1year 5years 10years 15years Adult K-40 1.28E9 y F 1.00 2.4E-08 1.0 1.7E-08 7.5E-09 4.5E-09 2.5E-09 2.1E-09 U-238 4.468E9 y F 0.04 1.9E-06 0.02 1.3E-06 8.2E-07 7.3E-07 7.4E-07 5.0E-07 M 0.04 1.2E-05 0.02 9.4E-06 5.9E-06 4.0E-06 3.4E-06 2.9E-06 S 0.02 2.9E-05 0.002 2.5E-05 1.6E-05 1.0E-05 8.7E-06 8.0E-06 Th-232 1.405E1 y F 0.005 2.3E-04 0.0005 2.2E-04 1.6E-04 1.3E-04 1.2E-04 1.1E-04 M 0.005 8.3E-05 0.0005 8.1E-05 6.3E-05 5.0E-05 4.7E-05 4.5E-05 S 0.005 5.4E-05 0.0005 5.0E-05 3.7E-05 2.6E-05 2.5E-05 2.5E-05 Ra-226 1600 y F 0.6 2.6E-06 0.3 9.4E-07 5.5E-07 7.2E-07 1.3E-06 3.6E-07 M 0.2 1.5E-05 0.1 1.1E-05 7.0E-06 4.9E-06 4.5E-06 3.5E-06 S 0.02 3.4E-05 0.01 2.9E-05 1.9E-05 1.2E-05 1.0E-05 9.5E-06 Type F materials : Deposited materials that are readily absorbed into blood from the respiratory tract (fast rate of absorption)

Type M materials : Deposited materials that have intermediate rates of absorption into blood from the respiratory tract (moderate rate of absorption) Type S materials : Deposited materials that are relatively insoluble in the respiratory tract (slow rate of absorption)

f1 : Absorbed fraction to body fluid

29 Administration) 에서 제공하는 HYSPLIT4 (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모델을 이용하였다. 또한, 역 궤적 분석에 사용된 풍향, 풍속 자료는

30

Fig 9. The HYSPLIT4 program in the NOAA web site screen.

31 2011; Huda Al-Sulaiti, 2012; A. Zytoon, 2014; S Mohapatra, 2015).

32 었으며 상대표준 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라고도 한다(Jung-Sub Lee, 2008).

39K, 238U, 232Th의 기기검출한계(IDL)는 각각 27.12 , 11.38 , 11.60 으로 측정하는 원소에 대해서 작은 농도 범위까지 수치 확인을 하였다. 또한, 5% 이하의 변동계수를 산출함으로써 평균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실험이 진행되 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4 Instrumental Detection Limit(IDL) and Variation of Coefficient(CV) for ICP-DRC-MS (n=7)

Species 39K ( ) 238U ( ) 232Th ( )

IDL 27.12 11.38 11.60

CV(%) 2.24 1.38 1.48

33

2. 에어로졸 중

40

K,

238

U,

232

Th 의 측정 결과

2.1 에어로졸 중

40

K,

238

U,

232

Th 의 방사능 농도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배경 지역인 제주도 고산지역 TSP 에어로졸 중의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를 산출한 후 제주지역 에어로졸 조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 도 고산측정소에서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총 29개의 TSP 에어로졸을 채 집한 PTFE 필터 시료를 US EPA Method IO-3의 방법으로 화학처리를 진행하였고 ICP-DRC-MS를 이용하여 39K, 238U, 232Th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식(2.1), (2.2)를 통해서 40K, 238U, 232Th의 농도 와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 ) 를 Table 5에서 7에 나타내었다.

Table 5에서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TSP 에어로졸 채취기간 중 40K, 238U, 232Th의 방 사능 농도는 각각 1.341 ~ 46.483 (mean: 14.188 11.451 ), 0.006 ~ 1.032 (mean: 0.263 0.226 ), 0.001 ~ 2.579 (mean: 0.226 0.282 )의 범위로 관측되었다.

34

Table 5 The associated 40K activity concentrations at the twenty-nine samples at Gosan in Jeju island, Korea

35

36

37

2.2 핵종 간의 상관관계

40K의 방사능 농도를 기준으로 238U과 232Th의 방사능 농도의 비율은 Fig 10에 나타 냈다. Fig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40K의 방사능 농도와 238U의 방사능 농도 비율은

0.022(R2=0.9802), 40K의 방사능 농도와 232Th의 방사능 농도 비율은 0.022(R2=0.7939)으 로 확인됐다. 238U의 방사능 농도와 232Th의 방사능 농도의 비율은 Fig 11에 나타냈다.

Fig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38U의 방사능 농도와 232Th의 방사능 농도 비율은 1.01(R2=0.9012)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238U과 232Th의 비율은 UNSCEAR 2000 에 보고된 세계 평균치와 근접한 값으로(UNSCEAR 2000) 238U과 232Th의 근원은 주로 지각(crust)에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238U과 232Th의 핵종과 40K의 상관비 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40K은 지각 이외의 다른 요인도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8

40K Activity Concentration (Bq/m3)

y=0.022x - 0.051

40K Activity Concentration (Bq/m3)

y=0.022x - 0.087 R2=0.7939

Fig 10. Correlation between 40K, 238Uand 232Th in TSP aerosols.

39

0.0 0.2 0.4 0.6 0.8 1.0 1.2

0.0 0.2 0.4 0.6 0.8 1.0 1.2

y=1.01x - 0.04 R2=0.9012

238U Activity Concentration (Bq/m3)

232 Th Activity Concentration (Bq/m3 )

Fig 11. Correlation between 238U and 232Th in TSP aerosols.

40

41

3월 4일, 3월 19일, 4월 9일에는 황사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 기간에 40K, 238U, 232Th 의 평균 방사능 농도는 22.097~46.483 (mean: 33.221 12.333 ), 0.515

~ 1.032 (mean: 0.788 0.260 ), 0.711 ~ 1.156 (mean: 0.865 0.252 ) 범위로 비현상일일 보다 각각 3.59, 5.51, 7.86배 높게 관측되었다.

29개 시료의 40K, 238U, 232Th의 평균 방사능 농도는 황사일 및 연무일 때가 박무일 및 비현상일에 비해 약 3 ~7배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황사와 연무 발생일에는 박 무일과 비현상일에 비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 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8 Airborne 40K, 238U and 232Th activity concentrations by atmospheric phenomenon in the Gosan location, Jeju Island

Event No

40K 238U 232Th

NE 21 9.246 5.963 0.143 0.099 0.110 0.081 FM 3 19.970 15.824 0.371 0.374 0.329 0.451 HA 3 34.729 10.792 0.730 0.261 0.608 0.475 AD 3 33.221 12.333 0.788 0.260 0.865 0.252 NE(Non-Event), HA(Haze), FM(Fog-Mist), AD(Asian Dust)

42

43

, 5.76 ~ 30.22 범위로 관측되었다. 여성이 M type으로 결정될 때 238U,

232Th의 연간 유효선량은 각각 1.13 ~ 2.70 , 5.76 ~ 24.31 범위로 관측되었 다.

S type으로 결정된 남성과 여성의 연간 유효선량을 Fig 14에서 보여준다. 연구 기간 중 남성이 S type으로 결정될 때 238U, 232Th의 연간 유효선량은 각각 2.50 ~ 7.11 , 3.74 ~ 16.40 범위로 관측되었다. 여성이 F type으로 결정될 때 238U, 232Th의 연 간 유효선량은 각각 2.50 ~ 6.22 , 3.74 ~ 13.45 범위로 관측되었다.

44

Fig 12. Annual effective dose to various age groups in Jeju island from inhalation 40K,

238U, and 232Th in TSP aerosols : (a) F type Male, (b) F type Female.

45

Fig 13. Annual effective dose to various age groups in Jeju island from inhalation 40K,

238U, and 232Th in TSP aerosols : (a) M type Male, (b) M type Female.

46

Fig 14. Annual effective dose to various age groups in Jeju island from inhalation 40K,

238U, and 232Th in TSP aerosols : (a) S type Male, (b) S type Female.

47

48

Fig 15. Intercomparison of the annual average effective dose between Jeddah city, Saudi Arabia with Jeju, Korea : (a) Jeddah city, Saudi Arabia (b) Jeju, Korea.

49

50

Fig 16. The annual average effective dose by atmospheric phenomenon in the Gosan location, Jeju island from in halation of 40K, 238U, and 232Th (each vertical bar graph

denotes the range of effective dose).

51

4. 라듐 등가 지수 산정

시료 내의 방사능 중 라듐 등가 지수(radium equivalent index. Raeq)는 널리 사용되는 방사선 위험 지수이다. 이것은 226Ra(238U), 232Th, 40K의 서로 다른 농도를 함유하는 시 료의 특정한 활동들을 비교하기 편리한 지표이다. 라듐 등가 지수는 226Ra 의 10

Bq/kg에서 232Th, 40K이 각각 7 Bq/kg과 130 Bq/kg의 같은 감마 선량률을 생성한다는 가정아래에 정의된 것이다.

본 연구 기간에 채취된 29 개의 샘플들의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는 각각 1.341 ~ 46.483 (mean: 14.188 11.451 ), 0.006 ~ 1.032 (mean:

0.263 0.226 ), 0.001 ~ 2.579 (mean: 0.226 0.282 ) 범위로 산출한 결과를 식 (2.4)를 이용하여 라듐 등가 지수(Raeq)를 Table 9에 나타냈다. Table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0.111 ~ 6.263 (mean: 1.679 1.516 ) 범위로 관측되었다. 또한, 2009년 사우디아라비아(Jeddah city)에서 수행한 라듐 등가 지수는

1.650 ~ 4.345 (mean: 2.452 2.306 ) 범위로 확인되었다. 양국간의 라 듐 등가 지수의 차이는 그 지역의 건조한 토양의 특성과 잦은 먼지 폭풍으로 인한 대기 환경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52

53

대기 현상에 따른 40K, 238U, 232Th의 평균 방사능 농도를 식(2.4)을 이용하여 산출한 라듐 등가 지수(Raeq)를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비현상일, 박무일, 연무일, 황사일의 라듐 등가 지수는 각각 0.111 ~ 2.902 (mean: 1.012 0.015 ), 0.917 ~ 4.953 (mean: 2.379 0.028 ), 2.993 ~ 6.263 (mean: 4.273 0.043 ), 3.232 ~ 6.263 (mean:

4.582 0.047 ) 범위로 비현상일일 보다 각각 2.35, 4.22, 4.53배 높게 관측되 었다.

Table 10 Airborne 40K, 238U and 232Th activity concentrations and the Radium equivalent index by atmospheric phenomenon at Gosan location in Jeju Island

Event No

40K 238U 232Th Raeq

NE 21 9.246 5.963 0.143 0.099 0.110 0.081 1.012 0.015 FM 3 19.970 15.824 0.371 0.374 0.329 0.451 2.379 0.028 HA 3 34.729 10.792 0.730 0.261 0.608 0.475 4.273 0.043 AD 3 33.221 12.333 0.788 0.260 0.865 0.252 4.582 0.047 NE(Non-Event), HA(Haze), FM(Fog-Mist), AD(Asian Dust)

54

55

에 측정된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는 각각 3.814, 0.076, 0.033 으로 확인 되었다. 박무(Fog-mist)에 해당하는 자료를 Fig 19에 나타내었다. 2013년 1월 21일의 자료로 5일간 역 궤적 분석 결과 중국의 낮은 고도에서 출발되며 바다수면의 위로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기간 중에 측정된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는 각 각 9.621, 0.122, 0.038 으로 확인되었다. 연무(Haze)에 해당하는 자료를 Fig 20 에 나타내었다. 2013년 1월 24일의 자료로 5일간 역 궤적 분석 결과 중국의 북쪽과 남쪽을 회향하여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기간 중에 측정된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는 각각 32.433, 0.583, 0.337 으로 확인되었다. 황사(Asian-dust)에 해당하는 자료를 Fig 21에 나타내었다. 2013년 3월 19일의 자료로 5일간 역궤적 분석 결과 몽골 남쪽 지역과 중국을 통과하여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기간 중에 측정된 40K, 238U, 232Th의 방사능 농도는 각각 31.083, 0.817, 0.729 으로 확인되 었다.

56

Fig 17. Five-day backward trajectory ending between 3 January and 15 April 2013.

57

Fig 18. Five-day backward trajectory for non-event case ending at 9 January 2013.

58

Fig 19. Five-day backward trajectory for fog-mist case ending at 21 January 2013.

59

Fig 20. Five-day backward trajectory for haze case ending at 21 January 2013.

60

Fig 21. Five-day backward trajectory for Asian-dust case ending at 19 March 2013.

61

62

63

64

지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 에는 기상관측 결과 황사 또는 미세먼지 발생일이 예전과는 달리 봄철뿐만 아니라 가을철에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연중 여러 곳에서 장기적으로 다수의 TSP 에어로졸을 채취하여 기상 및 대기질의 변화영향에 따른 에어로졸 내 방사성 핵종 의 농도 및 이의 호흡으로 인한 유효선량 평가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65

참고문헌

A.Sroor, S.Y. Afifi, A.S. Abdel-Haleem, A.B.Salman, M.Abdel-Sammad. 2002. Environmental pollutant isotope measurements and natural radioactivity assessment for North Tushki area, south western desert, Egypt.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57, 427-43

Barry J. Huebert, Timothy Bates, Philip B. Russell, Guangyu Shi, Young Joon Kim, Kimitaka Kawamura, Greg Carmichael, and Teruyuki Nakajima, 2003. An overview of ACE-Asia:

Strategies for qua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sian aerosols and their climatic impac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No. D23, 8633, doi: 10.1029/2003JD003550

H.A. Al-Trabulsy, A.E.M. Khater, F.I. Habbani., 2011. Radioactivity levels and radiological

H.A. Al-Trabulsy, A.E.M. Khater, F.I. Habbani., 2011. Radioactivity levels and radiological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