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습도변화에 따른 스펙트럼 측정

문서에서 습도센서에 관한 연구 (페이지 55-77)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30 H30 T30 H40 T30 H50 T30 H60 T30 H70 T3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4(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30℃ 고정)

20 40 60 80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그림 3-14(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30℃ 고정)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40 H30 T40 H40 T40 H50 T40 H60 T40 H70 T4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5(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40℃ 고정)

20 40 60 80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그림 3-15(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40℃ 고정)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50 H30 T50 H40 T50 H50 T50 H60 T50 H70 T5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6(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50℃ 고정)

20 40 60 80

-1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그림 3-16(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50℃ 고정)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60 H30 T60 H40 T60 H50 T60 H60 T60 H70 T6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7(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60℃ 고정)

20 40 60 80

-2 -1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그림 3-17(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60℃ 고정)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70 H30 T70 H40 T70 H50 T70 H60 T70 H70 T7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8(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70℃ 고정)

20 40 60 80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3 peak4 peak5

그림 3-18(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70℃ 고정)

1500 1520 1540 1560 1580 1600 -50

-48 -46 -44 -42 -40 -38

H20 T80 H30 T80 H40 T80 H50 T80 H60 T80 H70 T80

T ra ns m is si on [ dB m ]

Wavelength [nm]

그림 3-19(a).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스펙트럼 (온도 80℃ 고정)

20 40 60 80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3 peak4 peak5

그림 3-19(b).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온도 80℃ 고정)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0 0 0 0 0 0

30% 2.4 1.0 0.5 0.7 0.5 0.2

40% 1.6 0.4 0.9 1.0 0.9 0.8

50% 1.3 1.1 1.3 1.6 1.6 1.4

60% 2.6 2.3 2.4 2.8 3.3 3.1

70% 0.7 1.0 1.2 1.5 1.8 2.6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0 0 0 0 0 0

30% 0.6 0.7 0.5 0.4 0.5 0.4

40% 0.8 1.1 0.9 0.9 0.9 0.9

50% 1.6 1.6 1.6 1.6 1.6 1.5

60% 2.5 2.6 2.4 2.1 2.0 1.9

70% 1.2 1.4 1.5 1.4 2.2 2.2

표 3-8.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40℃ 고정) 표 3-7.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30℃ 고정)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0 0 0 0 0 0

30% 0.2 0.3 0.5 0.4 0.5 -0.4

40% 0.7 0.8 1.0 0.9 0.7 0.7

50% 1.2 1.2 1.3 1.3 1.7 1.0

60% 1.8 1.9 1.1 1.1 0.6 -0.6

70% 2.0 1.3 0.5 0.5 -0.1 -0.7

표 3-9.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50℃ 고정)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0 0 0 0 0

-30% 0.3 0.3 0.4 0.4 0.4

-40% 0.6 0.7 0.9 0.6 0.6

-50% 0.9 0.8 1.1 0.4 0.4

-60% 0.3 -0.8 -0.9 -1.3 -1.3

-70% 0.3 -0.8 -1.5 -2.1 -2.1

-표 3-10.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60℃ 고정)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 - 0 0 0

-30% - - 2.1 0.9 0.8

-40% - - 2.4 2.9 2.0

-50% - - 0.3 0.4 0.8

-60% - - 1.4 2.3 3.2

-70% - - 0.1 0.7 1.6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20% - - 0 0 0

-30% - - 1.0 0.0 0.3

-40% - - 0.2 0.6 0.6

-50% - - 1.4 1.2 1.3

-60% - - 2.4 1.8 1.6

-70% - - 1.5 1.1 1.8

-표 3-12.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80℃ 고정) 표 3-11. 상대습도변화(20 ~ 70%)에 따른 파장 변화 (온도 70℃ 고정)

제4장 결과 및 고찰

제1절 경화 조건에 따른 스펙트럼 측정 결과 분석

제작된 센서 모듈을 자연경화 조건과 항온항습 조건에서 경화시킨 후 상대습도 변화 에 따른 투과 광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자연 경화조건은 온도 25℃, 상대습도60% 조 건에서 경화된 것이고, 항온항습 조건은 온도 30℃, 상대습도20% 조건에서 경화시킨 것이다. 경화 조건에 따른 스펙트럼에서 보듯이, PVP가 코팅된 습도센서 모듈은 온도 와 상대습도가 잘 제어되지 않고, 일정하지 않은 자연경화 조건보다 항온항습 환경에 서 경화된 경우 상대습도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경화된 조건에서는 PVP가 이미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와 충분히 반응하였기 때문에 상대습 도 변화에 대해서 민감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를 통해서 PVP의 경화 조건이 센서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림 3-6(b),(c)를 비교해 보면 80%가 넘는 상대습도에 이르러서는 PVP가 높은 상대습도에서는 민감도가 감소하여 원래의 간섭무늬 형태로 변화됨을 알 수 있 다. 또한, PVP는 높은 상대습도 환경(약 80% 이상)에서는 수용성 폴리머이므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용해가 시작되어 상대습도 변화의 계측이 어려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값보다 낮은 상대습도 환경에서는 제안된 센서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그림 3-7에서 볼 때, 제안된 센서는 상대습도 40%부터 80% 구간에서는 광세기가 선형에 가깝게 변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30% 이하의 습도 구간에서는 광세기 변화가 매우 급격하게 일어나므로, 광세기 측정만으로도 매우 정확도로 상대습 도 변화의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2절 온·습도 변화에 따른 스펙트럼 측정 결과 분석

본 논문에서는 MZI PLC에 PVP를 코팅하여 센서모듈을 제작하였고, 온·습도 변화에 따른 투과 광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MZI PLC 습도센서가 습도 측정에 적 절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한 스펙트럼을 보면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에 따라 PVP의 굴절률이 바뀌고, 굴절률의 변화로 인해 간섭계의 위상천이 및 간 섭무늬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림 3-20에서 보이듯이, 고정된 상대습도에서 온도를 변화시킨 경우, 상대습도가 20% 온도변화에 따라서 스펙트럼이 장파장 쪽으로 천이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상대습도 60% 정도까지 나타났다. 하지만 상대습도 70%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 성을 보이지 않고 파장 천이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림 3-21은 온도를 고정시 키고 상대 습도를 변화시킨 경우 스펙트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저 습환경에서는 파장 천이의 선형성을 볼 수 있었고, 고습환경으로 갈수록 이러한 선형 성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역으로 발생하여 단파장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저습환경에서는 온·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장 천이가 장파장으로 발생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고습환경에 이르러서는 저습환경보다 스펙트럼 천이가 단파 장ㅉ고으로 정도가 적게 발생하며, 고온으로 갈수록 스펙트럼 천이에 대한 개연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높은 상대습도에서도 민감도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PVP와 잘 반응하는 다른 폴리머 재료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다른 폴리머 재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습도에 대한 반응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최적의 혼합 비율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 구현된 PVP를 이용한 PLC 기반 습도센서는 일정 상대습도 구간 (40% ~ 80%)에서 계측하는데 유용하며, PVP 이외의 다른 흡습성 폴리머를 함께 사용한 다면 습도에 대한 센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 40 60 80 0

1 2 3 4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Temperature [

o

C]

그림 3-20(a). 온도 변화에 대한 파장 변이(상대습도 20% 고정)

20 40 60 80

-1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Temperature [

o

C]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그림 3-20(b). 온도 변화에 대한 파장 변이(상대습도 70% 고정)

20 40 60 80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peak6

그림 3-21(a). 상대습도 변화에 대한 파장 변이(온도 40℃ 고정)

20 40 60 80

-2 -1 0 1 2 3 4

W av el en gt h Sh if t [ nm ]

Humidity [%]

peak1 peak2 peak3 peak4 peak5

그림 3-21(b). 상대습도 변화에 대한 파장 변이(온도 60℃ 고정)

제 5장 결론

흡습성을 가지는 PVP를 습도 감지물질로써 사용하여 PLC상에 형성된 마하젠더 간섭 계의 한쪽 팔을 식각 후 PVP 코팅하여 상대습도 변화에 민감한 습도센서를 제작하였 다. 제작된 센서 모듈은 PVP의 상대습도에 따른 굴절률 변화에 의해서 투과 광 스펙트 럼의 파장 천이를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서 상대습도 변화에 대한 특성을 계측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항온항습경화(온도 30℃, 상대습도20%) 조건이 자연경화 조건(온 도 25℃, 상대습도60%)보다 상대습도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광세기만을 측 정한 결과, 상대습도 40~80% 구간에서 선형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온도 특성 실험을 통하여 온도 증가에 따라 장파장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 었고,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PVP 용해로 인해 민감성이 감소하여 파장의 변화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상대습도 특성 실험에서는 상대습도 증가에 따라 장파장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지만, 높은 상대습도 구간에서는 PVP가 공기 중 물 분자에 의해 용해되어, 굴절률이 감소하고 스펙트럼이 단파장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온 도가 증가할수록 PVP가 더 빨리 용해되어 더 낮은 상대습도 구간에서도 단파장으로 이 동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PVP 단일 물질만을 코팅하여 사용하였지만 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 드, 셀룰로오스 등의 습도 민감성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실험결과에서 제 시된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주변 습도상 태를 민감하게 감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호 안정화를 위해 실험과정에서 항온 항습 유지시간과 경화조건을 다양하게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습도센서로써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PLC 기반 습도센서는 기존 광섬유 기반 습도센서에 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저가 의 습도센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취급상의 안전성과 편리함의 장점을 가

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 헤드 부분의 노출로 인해 높은 감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 로 습도 모니터링이 필요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도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1] K. R. Sohn, K. T. Kim, and J. W. Song, “Optical fiber sensor for water detection using a side- polished fiber coupler with a planar glass overlay-waveguide”, Sens. Actuators, 101, 2002, pp. 137-142.

[2] J. M. Corres, F. J. Arregui, and I. R. Matias, “Design of humidity sensors based on tapered optical fibers”, J. Light. Technol, 24, 2006, pp.

4329-4336.

[3] Q. Wu, Y. Semenova, J. Mathew, P. Wang, and G. Farrell, “Humidity sensor based on a single-mode hetero-core fiber structure”, Opt. Lett, 36, 2011, pp. 1754-1754.

[4] S. Muto, O. Suzuki, T. Amano, and M. Morisawa, “A plastic optical fiber sensor for real-time humidity monitoring”, Meas. Sci. Technol, 14, 2003, pp. 746-750.

[5] P. Kronenberg, P. K. Rastogi, P. Giaccari, and H. H. Limberger, “Relative humidity sensor with optical fiber Bragg grating”, Opt. Lett, 27, 2002, pp.

1385-1387.

[6] T. L. Yeo, T. Suna, L. T. V. Grattan, D. Parry, R. Lade, and B. D. Powell,

“Characterization of a polymer-coated fiber Bragg grating sensor for

relative humidity sensing”, Sens. Actuators. B. Chem, 2005, vol.110, pp.

148-155.

[7] Hao. Wang, Honglei. Guo, Gaozhi. Xiao, Nezih. Mrad, Alex. Kazemi, et al,

“Phase-shifted fiber-Bragg-grating-based humidity sensor”, Proc. SPIE 8720. Photonic Apllications for Aerospace. Commercial and Harsh Environments IV, 2013, pp. 872019.

[8] M. Konstantaki, S. Pissadakis, S. Pispas, N. Madanopoulos, and N. A. Vainos,

“Optical fiber long-period grating humidity sensor with poly(ethylene oxide) cobalt chloride coating”, Appl. Opt, 2006, vol. 45, pp. 4567-4571.

[9] L. M. Hu, C. C. Chan, X. Y. Dong, Y. P. Wang, P. Zu, W. C. Wong, W. W. Qian, and T. Li, “Photonic crystal fiber strain sensor based on modified Mach-Zehnder interferometer”, IEEE Photon. J, 2012, vol. 4, pp. 114-118.

[10] Tao Li, Xinyong Dong, Chi Chiu Chan, Kai Ni, Shuzin Zhang, and Perry Ping Shum, “Humidity Sensor With a PVA-Coated Photonic Crystal Fiber Interferometer”, IEEE Sensors. J, 2013, vol. 13.

[11] F. Prieto, B. Sepulveda, A. Calle, A. Liobera, C. Dominguez, L. M. Lechuga,

“Integrated Mach-Zehnder interferometer based on ARROW structures for biosensor applications”, Sens. Actuators, B. Chem, 2003, vol. 92, pp.

151-158.

[12] Busse S, Depaoli M, Wenz G and Mittler S, “An integrated optical Mach-Zehnder interferometer functionalized by -cyclodextrin to monitor binding reactions”, Sens. Actuators, B. Chem, 2001, vol. 80, pp. 116-124.

[13] Himeno. A, Kato. K, Miya. T, “Silica-based planar lightwave circuits”, Selected Topics in Quantum Electronics. IEEE Journal of, 1998, vol. 4, pp.

913-924.

[14] Kent A. Murphy, Machael F. Gunther, Ashish M. Vengsarkar, and Richard O.

Claus, “Quadrature phase-shifted, extrinsic Fabry-perot optical fiber sensors”, Optics. Lett, 1991, vol. 16, Issue 4, pp.273-275.

[15] Anbo Wang, Hai Xiao, J. Wang, Zhiyong Wang, W. Zhao, and R. G. May,

“Self-Calibrated Interferometric-Intensity-Based Optical Fiber Sensors”, Journal of Lightwave Tech, 2001, vol. 19, Issue 10, pp. 1495.

[16] Brooks J, Moslehi B, B. Y. Kim, Shaw. H. J, “Time-domain addressing of remote fiber-optic interferometric sensor arrays”, Journal of Lightwave Tech, 1987, vo l.5, Issue 7, pp. 1014-1023.

[17] A. Charaz, B. E. Jones, “A distributed optical-fibre sensing system for multi-point humidity measurement”, Sens. Actuators, A. Physical, 1995, vol.

47, pp. 491-493.

[18] Yuelan Lu, Tao Zhu, Liang Chen, Xiaoyi Bao, “Distributed vibration sensor

based on coherent detection of Phase-OTDR”, Lightwave Tech., 2010, vol. 28, pp. 3243-3249.

[19] 안태완, "고분자 화학", 문운당, 1992, 제 5 장.

[20] A. W. Snyder, J. D. Love, “Optical Waveguide Theory”, London NewYork Chapman and Hall, 1983, pp. 589-666.

[21] 김창민, “도파 및 직접광학”, Ohm사, 1999, pp. 165-279.

[22] N. Imoto, N. Shimizu, H. Mori, M. Ikeda, “Sputtered Silica Waveguides with an Embedd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J. Lightwave Tech. 1993, LT-1(1), pp. 289-294.

[23] D. M. Manos, D. L. Flamm, “Plasma Etching an Introduction”, Academic Press, New York, 1989, pp. 91-99.

[24] 정영윤, “화염가수분해 증착법에 의한 붕소첨가 실리카 도파로의 제작 및 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1996.

[25] 이종덕, “실리콘 집적회로 공정기술”, 대영사, 1996, pp. 271-284, 303-316.

[26] M. Morisawa, H. Yokomori, “Effect of doping swelling polymer cladding with phthalocyanine dye in optical fiber humidity sensor”, Proc of SPIE, 2011, vol.

7753,77534F-1.

Publication

Journal Papers

1. 김주하, 김명진, 정은주, 황성환, 이우진, 최은서, 노병섭.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코팅된 마하젠더 간섭계 기반의 평판형 광도파로 습도센서,” 한국광학회, vol. 24, no. 5, pp. 251-255, 2013.

Conference Papers

1. 김주하, 김명진, 정은주, 최은서, 노병섭, “Humidity sensor using PVP-coated optical planar waveguide”, 종합학술대회(한국센서학회), pp. 76-76, 2013.

2. 김주하, 정은주, 김명진, 최은서, 노병섭, “평판형 광도파로 기반의 마젠더 간섭 형 센서를 이용한 온도 측정”, 20주년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COOC), pp.

317-318, 2013.

3. 정은주, 이우진, 김명진, 황성환, 김계원, 안종배, 김주하, 노병섭, 선민영, “광 섬유 패치코드 기반 온도 측정 센서”, 20주년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COOC), 2013.

4. 이승석, 김주하, 최은서, 박형주, “광섬유 광학계를 이용한 SD-OCT 시스템”, 20

주년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COOC), pp. 274-276, 2013.

5. 이승석, 김주하, 박형주, 김현식, 김상우, 김옥준, 최홍란, 최은서, “PZT 스캐너 를 이용한 OCT영상 획득”, 20주년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COOC), pp. 269-271, 2013.

6. 마혜준, 이승석, 김주하, 신용진, 최은서, “미세 단층촬영기법을 이용한 박막의 두께 측정”, 가을학술논문발표회(한국물리학회), pp. 149-149, 2013.

7. 김주하, 이승석, 최은서, “이중 슬릿을 이용한 광학적 두께 측정법”, 하계학술발 표회(한국광학회), pp. 27-27, 2013.

8, 김명진, 정은주, 이우진, 황성환, 노병섭, 김주하, 최은서, “스크래치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아크플래시 센서”, 동계학술발표회(한국광학회), 2013.

9. 최은서, 이승석, 김주하, 김현식, 박형주, “회절격자 기반의 광단층영상기법 성능 향상을 위한 Background noise 제거방법:Proof-Of-Concept 실험”, 봄학술논문발표회 (한국물리학회), pp. 172-173, 2013.

10. 최은서, 이승석, 김주하, 김현식, 박형주, “Phase-sensitive interferometer를 이용한 광섬유 굴절률 분포 영상화”, 가을학술논문발표회(한국물리학회), pp.

136-136, 2012.

11. 최은서, 마혜준, 이승석, 김주하, “광섬유 커플러를 이용한 full-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개발 및 특성평가”, 봄학술논문발표회(한국물리학회), pp.

문서에서 습도센서에 관한 연구 (페이지 55-7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