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자료 개발

Ⅱ. 이론적 배경

5.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자료 개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진행한 2019년 겨울방학 교육 기부의 지원자 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6일 동안 1일 6차시씩 36차시를 강의하였다. 4·5학년의 29명의 학 생을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을 적용하였다.

교육 자료를 통하여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을 익힌 후 각각의 문제해결을 통해 다양 한 데이터를 절차에 따라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데이터 시각화하였다. 다양한 실생활의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해야하는 문제에 따라 데이터 시각화를 다양하게 접근 하며 학습하였다. 데이터를 실제 체험을 통해 수집하고 정리하여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표현하기까지의 교육 자료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Ⅲ–4] 데이터 시각화 교육 교재(1)

[그림 Ⅲ–2]는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나올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방법을 두 가지로 나누어 비교해보는 활동을 정리한 교재의 일부이다. 학생들은 체육시간에 하고 싶은 학생을 비교하기 위해 직접 손을 들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낸다. 그 중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표현한 것은 무엇일지 자 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단계를 정리하 여 모든 활동에서 데이터 시각화 단계를 바탕으로 데이터 시각화를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림 Ⅲ–5] 데이터 시각화 교육 교재(2)

[그림 Ⅲ–3]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집한 데이터를 가장 필 요에 맞게 나타낼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교재의 일부이다. 먼저 강수량 데이터를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데이터의 특징을 찾게 하였다.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 라 변한다는 것을 학생들이 알고 다양한 차트의 종류 중 ‘선 그래프 방식’을 통해 나타내는 것이 가장 필요에 맞게 나타내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한다. 또한 교 재에서는 다양한 데이터의 특성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특성에 맞게 데이터 시각 화 하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그림 Ⅲ–6] 데이터 시각화 교육 교재(3)

이전까지는 교재의 구성에 따라 주어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시각화 절차 에 따라 데이터를 시각화 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주어진 데이터에는 큰 데 이터를 활용할 수 없을뿐더러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익명성을 보장해야 하는 데 이터 수집방법도 필요하다. [그림 Ⅲ–4]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구글 설문지’와 ‘공공 데이터 가져오기’를 주제로 구성한 교재의 일부이 다. 학생들은 직접 구글 설문지와 공공데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을 익히고 활용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게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시각화 활동 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림 Ⅲ–7] 데이터 시각화 교육 교재(4)

[그림 Ⅲ–5]는 학생들이 지금까지 배웠던 데이터 시각화 방법 및 절차를 활용 하여 학생들의 입맛에 맞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것을 표현 및 해석해보는 활동 을 중심으로 구성한 교재의 일부이다. 학생들은 데이터를 설문지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구글 지도’에 직접 표현해보며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서 한 번 더 느끼게 된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의 절 차 중 마지막 부분인 데이터 해석을 친구들의 시각화 작품을 통하여 하면서 부족 한 부분에 대해 점검 및 보충하는 시간도 가지게 된다.

[그림 Ⅲ–8] 데이터 시각화 교육 과정안

[그림 Ⅲ–9] 데이터 시각화 교육 과정안(2)

앞서 소개했던 데이터 시각화 교육을 하기 전에 일반적인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입-전개-정리’의 구조를 사용하여 교사용 과정안을 구성하였으며 학 생들이 실생활에 접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데이터 시각화의 필요 성을 직접 느끼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