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Ⅳ. 연구결과

2.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스트레스 3.23±.70 3.50±.71 18.527 .000 .038 .990

자아탄력성 3.61±.52 3.18±.46 87.926 .000 .160 1.000

탈진 2.63±.40 2.95±.43 68.930 .000 .130 1.000

Multivariate Effect : Wilks` Lambda=.793, F(3, 461)=40.094, p=.001 η2=.207

표 8.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다변량 분석 결과

3.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1) 연구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 였으며, 분석 결과에 나타난 변인간 상관행렬표는 <표 9>와 같다.

변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탈진 평균 표준편차

스트레스(A) 1.000 3.36 .71

자아탄력성(B) -.160** 1.000 3.40 .56

탈진(C) .519** -.409** 1.000 2.79 .44

**p<.01

표 9.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간의 상관관계(n=465)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160, p=.001) 탈진과는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519, p=.001). 또한, 자아탄력성은 탈진과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r=-.409, p=.001).

2)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율성지지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 과 검증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각 변인간의 상관이 유의하고 적절한 수준으로써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 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인과 적 단계접근법(casual step approach)을 이용하였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는 다음과 같다. 이 절차는 3개 의 회귀방적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게 되는데, 매개효과를 입증하려면 다음의 3가지 조건의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1단계 회귀방정식에서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둘째, 2단계 회귀방정식에서 독립변인이 종

단계 경로 B S.E. β t(p) R² F Durbin-Watson 1 스트레스⟶자아탄력성 -.120 .034 -.160 -3.482*** .026 12.121*** 1.727 2 스트레스⟶탈진 .321 .025 .519 12.642*** .270 171.054*** 1.778

3 스트레스⟶탈진 .288 .023 .466 12.544***

.379 140.750*** 1.805 자아탄력성⟶탈진 -.275 .031 -.334 -8.996***

***p<.001

표 10.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전체 집단 n=465)

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셋째, 3단계 회귀방정식에서 독립변인과 매개 변인이 동시에 종속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며, 이 때 종속변인 의 영향력은 두 번째 단계에서 관찰된 영향력보다 무의미해지거나 감소해야 한다. 이상의 3가지 조건을 충족한 뒤 3번째 회귀방정식에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면 완전매개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 종 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면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 고 해석할 수 있다(김선욱, 양명환, 2012).

먼저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잔차분석을 이용하여 회귀모형의 가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중공선성(multicolinearity)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 산확대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점검한 결과, 변인들의 분산확대지수는 모두 10보다 현저하게 작게 나타났고, 최대의 상태지수를 갖는 고유벡터가 90% 이상 설명하는 변인이 하나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차의 독립성을 점검한 결과 Durbin-Watson의 D 통계값도 2.0에 가깝게 나타나 자기상관(autocorrelation) 관계가 없기 때문에 잔차가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 가 회귀분석을 적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1)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전체 집단)

<표 10>은 청소년 운동선수 전체 집단의 스트레스와 탈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이다.

1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그림 2.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도형(전체 집단)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160, p=.001), 자아탄력성을 2.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121, p=.001). 이는 운동선수의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으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첫 번째 조건은 충족되었다.

2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방 정식에서 스트레스가 탈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고(Beta=.519, p=.001), 선수의 탈진을 27.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70.054, p=.001). 이는 운동선수의 탈진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번째 조건도 충족되었다.

3단계에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독립변인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 인으로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가 탈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466, p=.001), 자아탄력성이 탈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 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eta=-.334, p=.001), 탈진을 37.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세 번째 조건도 충족되었다. 이상의 3가지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 두 번째 단계(β=.519)에서 보다 세 번째 단계(β=.466)에서의 스트레스가 탈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검증의 마지막 단계로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한 매개변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Aroian test를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Z=3.26, p=.001). 이러한 결과를 도식화하면 <그림 2>와 같다.

단계 경로 B S.E. β t R² F Durbin-Watson 1 스트레스⟶자아탄력성 -.111 .048 -.147 -2.285* .022 5.221*** 1.940 2 스트레스⟶탈진 .276 .033 .483 8.498*** .234 72.215*** 1.980

3 스트레스⟶탈진 .257 .032 .449 8.079***

.286 47.344*** 2.009 자아탄력성⟶탈진 -.176 .042 -.232 -4.178***

*p<.05, ***p<.001

표 11.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고 집단 n=239)

(2)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고 집단)

<표 11>은 자율성 지지 수준이 높은 운동선수 집단의 스트레스와 탈진 간의 관계 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이다.

1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투입 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147, p=.023), 자아탄력성을 0.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첫 번째 조건은 충족되었다.

2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방 정식에서 스트레스가 탈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고(Beta=.483, p=.001), 탈진을 23.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번째 조건도 충족되었다.

3단계에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독립변인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 인으로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가 탈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고(Beta=.449, p=.001), 자아탄력성이 탈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eta=-.232, p=.001), 탈진을 28.6% 설명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번째 조건도 충족되었다.

이상의 3가지 조건이 충족된 뒤 두 번째 단계(β=.483)에서 보다 세 번째 단계(β

=.449)에서의 스트레스가 탈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탈 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설 검증의 마지막 단계로 자아탄력성의 유의한 매개변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 경로 B S.E. β t(p) R² F Durbin-Watson

1 스트레스⟶자아탄력성 -.015 .043 -.024 -.357 .001 .128 1.940

2 스트레스⟶탈진 .301 .035 .498 8.596*** .248 73.885*** 1.685

3

스트레스⟶탈진 .296 .033 .491 9.061***

.347 59.190*** 1.653 자아탄력성⟶탈진 -.294 .051 -.314 -5.806***

*p<.05, ***p<.001

표 12.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저 집단 n=226)

그림 3.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도형(고 집단)

Aroian test를 실시한 결과, 자율성지지가 높은 집단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Z=1.98, p=.047). 이러한 결과를 도식화하면 <그림 3>과 같다.

(3)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저 집단)

<표 12>는 자율성 지지 수준이 낮은 운동선수 집단의 스트레스와 탈진 간의 관계 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이다.

먼저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하고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Beta=-.024, p=.721) 첫 번째 매개조건이 위배되었다. 두 번째로 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가 탈진에 통계

그림 4.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도형(저 집단)

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Beta=.498, p=.001) 두 번째 조건도 충족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독립변 인으로 투입하고 탈진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방정식에서 스트레스는 탈진에 유 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491, p=.001), 자아탄력성은 탈 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314, p=.001). 하지만 스트레스가 탈진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자아탄력성이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는 있으나, 첫 번째 조건인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영 향력이 유의하지 못해서 위배되었기 때문에 자율성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은 스트레 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를 도식화하면 <그림 4>와 같다.

Ⅴ.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트레스가 탈진의 관 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율성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 선수들보다 여자 선수들 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스포츠 상황에서는 신체활동이라는 특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 선수들보다 여자 선수들 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스포츠 상황에서는 신체활동이라는 특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