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스마트 농촌은 ‘ICT 기술을 통해 외부와 연계가 강화되고 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경제활동이 지속·발전되는 공간과 공동체’로 정의

❍ 농촌 기능 수행과 경제활동의 방법이 ICT 기술에 기반한다는 점이 스마트 농 촌의 가장 큰 특징임. 스마트 농촌과 유사한 기존 개념에 대한 정의는 다음 표 와 같음.

12) 제4장 제1절의 내용을 참조.

표 2-5 스마트 농촌 유사 개념들의 정의

❍ ‘농촌의 경제활동’는 현 시점과 변화될 미래의 경제 활동 형태를 포함한 개념 으로 통념적인 경제활동을 말함.

❍ ‘공간과 공동체’는 스마트 농촌에서 추구하는 발전과 혁신이 경작지와 주거 지가 있는 농촌 공간뿐만 아니라 공동체(community)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함.

□ 스마트 농촌 사업은 농촌지역개발의 모델로서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그램

❍ 농촌지역개발 정책과 스마트 농촌 정책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며 대체 적으로 농촌지역개발 정책의 방법론으로써 스마트 농촌 정책의 위상이 있음.

- 대표적인 농촌지역개발사업인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지향점과 스마 트 농촌 정책이 지향해야 할 것과 비교해 봤을 때 기존 사업의 범위에 방법 으로 ICT 기술을 더 많이 보급·확산하는 것이 있을 뿐 같은 지향을 가지고 있음.

- 예로 ‘농촌 3.6.5 생활권’은 궁극적으로 지리적 위치를 전제로 기초생활서 비스의 확보를 위한 자원의 효율적 활용, 주민체감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스마트 농촌의 구현은 도시수준의 서비스가 공간과 시간제약의 경계를 무 너트릴 것으로 예측됨.

- 따라서 스마트 농촌 사업에서는 도로·교통, 상하수도, 복지 등 ‘기초생활기 반확충’ 사업들과 연계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야 함.

❍ 디지털사회혁신의 일환으로 스마트 농촌을 볼 수 있으며 이익창출, 효율성보 다는 공공이익, 시민참여, 개방형 협력 거버넌스, 리빙랩, 사회시스템 전환 등 의 내용이 단위사업별, 서비스별 스마트 농촌을 구현하는 추진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스마트 농촌 개념의 포지셔닝

❍ 스마트 농촌에 대한 개념적 접근은 농촌이 지금까지 도시에 자원을 공급하는 생산자로서의 관점이 아닌 농촌이라는 공간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가짐.

- 도시에 자원을 공급하는 생산자로서의 농업·농촌에 대한 관점은 4차산업 혁명의 도입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가 농업의 스마트화, 농업생산기술 및 관리의 효율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지적한 것임.

- 농촌의 공간을 농경문화의 체험 공간화한 지금까지 농촌 정책 또한 도시 편 향적 발상이라고 할 수 있음.

- 농촌은 농업인의 소득 증대 수단에서 거주자가 일상의 행복을 증진하는 곳 으로 가치 전환이 필요함(금기훈 2019).

❍ 4차산업혁명 기술은 도시와 농촌이라는 공간분리의 개념을 희석시키고 농촌 지역의 독자적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농촌공간의 변화측면에서 스마트 농촌을 미래의 농촌 모습으로 목표화할 수 있음.

❍ 스마트 농촌 정책이 선행된 스마트 시티 정책의 산물인 기술의 활용·확산이 란 면에서 분명히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은 당연한 측면임. 그러나 기술의 활용·

확산조차 많은 변형 및 신규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기술의 범위를 벗어 나면 스마트 농촌 정책은 스마트 시티 정책과 다른 모습을 가질 것이 분명함.

제3장

스마트 농촌의 구성

스마트 농촌의 구성

3

1. 스마트 농촌의 구성 요소

□ 스마트 농촌은 스마트팜, 스마트 물류, 스마트 에너지,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거주자 서비스 등 이미 등장한 기술들을 근간으로 구성되어 지금도 발전하고 있음.

❍ 스마트 농촌의 초점을 농촌공간의 변화에 초점을 두는가, 정보기술의 확장에 두는가에 따라 스마트 농촌을 구성하는 요소(기술)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스마트 농촌이 공간과 기술의 결합이기 때문에 농촌개발적 접근이든 기술 주의적 접근이든 결과적으로 같은 구성에 대한 다른 표현이나 구성들 간의 중요도 차이 정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함.

❍ 본 장은 현재 농촌을 둘러싼 ‘스마트’ 기술들 중에 농업단지를 위한 스마트팜, 공업단지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기반시설로서 스마트 에너지와 스마트 물류 그리고 스마트 생활서비스(의료·보건, 교육, 보안 등)를 선정하여 그 기술적 동향을 살핌.13)

□ 스마트 농촌의 기능적 구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