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통합모델 기반의 이음새 없는 수치예측체계 구축으로 예보 정확도 개선 - 통합모델 기반의 3차원 입체 실황분석시스템 및 강수자료에 대한 초기화기법 개선 - 2018년 동계올림픽 기간 중 ICE-POP 2018 고밀도 집중관측 수행 - 태풍 예측성 향상을 위한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

- 지역 맞춤형 영향예보 지속적 발굴 및 연구개발 고도화

- 시군구 단위 영향예보 생산을 위한 다중모델 활용 기법 고도화

(앙상블 및 단일모델까지 활용)

및 시군구 단위 위험수준 임계값 선정

- 폭염 영향예보 생산⋅검증기법 연구

○ 지진화산업무지원 및 활용연구

- 지진, 지진해일 및 화산활동 감시 및 예측 정보 생산을 통한 자연재해 대응 능력 강화

2. 2018년도 주요 추진내용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 기상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이음새 없는 통합 수치예측시스템 개발

­ 10km 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현업운영 체계 구축

­ 대규모 고해상도 전지구 앙상블예측시스템의 확장성 평가

­ 통합모델 기반 3차원 입체 실황분석시스템 개선

­ 집중호우 (장마 등) 특성 및 메커니즘 분석·이해

- 장마·집중호우 등 한반도 초단기 위험기상 대응능력 강화

­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체계 구축

- 태풍지역통합모델 운영 안정화 및 예측성능 검증

-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중심최대풍속 32m/s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기법 개발 - 단일모델까지 포함하는 다중모델 활용 방안 연구 및 최적의 시군구 단위 위험

기상 발생확률 산출 기법 개발

- 기상영향 자료(폭염/한파) 수집 및 시군구 단위 위험수준 임계값 설정

- 폭염 영향예보에 필요한 복합 기상인자 선정 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한 타당성 검증

○ 지진 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한반도 주요 지진활동 및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

· 광산지역 발파자료 특성 분석 기술 개발

· 가속도 관측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발생 주요 지진 계기진도분포도 작성 연구

· 국외 공중음파 관측자료 활용 기술 개발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지진해일 시나리오 DB에 기반한 동해 지진해일 위험지역 분류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실시간 시험운영 및 성능 검증․개선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실시간 시험운영 및 성능 검증․개선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원격자료를 이용한 지표변위와 상대지표온도 분석결과 정기산출

· 화산활동 평가 요소(지표변위, 지표온도, 화산가스, 과거 분화자료 등)와 분화 관계 연구

· (용역) 화산지역 지표변위 산출을 위한 Sentinel-1 SAR 자료 활용 기술 개발

· 지진․지진해일․화산활동에 의한 지구물리변동 분석 기술 개발

· (용역) 청양 지구자기관측소 국제표준포맷자료 산출시스템 개발

(1) 2017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구분 2017년 2018년

□ 수치예보·지진 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7,266 8,207

수치모델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6,089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3,050)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

개발(1,600)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400) -평창동계올림픽지원 국제 기상연구프로그램

수행(1,050)

7,017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3,717)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

개발(1,817)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400) -평창동계올림픽지원 국제 기상연구프로그램

수행(1,050)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수치모델의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450)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1,424) - 태풍 단기예측기술개발(700)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395)

-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329)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1,485) - 태풍 단기예측기술개발(761)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395)

-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329)

·영향예보기술개발(1,615)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850)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220)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170)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개발(375)

·영향예보기술개발(1,815)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850)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420)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170)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375)

지진 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1,177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1,177)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513)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266)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 활동 진단정보 생산(398)

1,190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1,190)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513)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279)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 활동 진단정보 생산(398)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전년대비 15.2% 증액 (6,089백만원→7,017백만원) · 예보기간 연장

*

및 중기예측성능의 향상

**

을 위한 수치예보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여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 개발”증액

(218백만원)

* 단기예보(2일→ 3일), 중기예보(7일→10일)로 기간 연장

** 특히 여름철의 경우 ACC > 0.6 이상 예측 유효성이 있는 기간은 7~8일 수준

· 그동안 투자가 부족했던 장마기간 및 장마 후 집중호우에 대한 체계적인 심층연구가 필요하여 신규사업“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수치 모델의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순증

(450백만원)

· 재해위험 영향 예·경보 및 산업, 보건 등 국민 생활 접점의 통합

기상-영향 모델(Integrated Weather-Impact coupled Model) 필요로 인해 “영향예보기술개발” 증액

(200백만원)

(3) 2018년 예상 대표성과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수치예보 시스템 예측성능 향상을 위한 이음새 개선

․ 10km 해상도 전지구 수치예측시스템 현업운영 체계 구축

․ 통합모델 기반 3차원 입체 실황분석시스템 개선을 통한 실황 분석 지원 ․ 대규모 고해상도 전지구 앙상블예측시스템의 확장성 평가

­집중호우(장마 등) 특성 및 메커니즘 분석·이해를 기반으로 수치모델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설정하여 수치모델기반 집중호우 예측성능 개선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중심최대풍속 32m/s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기법 개발 ­지방청 맞춤형 영향예보의 지속적 발굴을 통한 지역특화 영향예보 고도화 ­다중모델을 활용하여 최적의 시군구 단위 위험기상 발생확률 기법 개발 ­시군구 단위 차등화된 위험수준 임계값 설정

­폭염⋅한파 영향예보를 위한 기술 기반 마련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한반도 발생 지진원 분석을 통한 한반도 지진활동도 정량화 기반 구축 ­인공지진 판별기준 정량화를 통한 인공지진 감시역량 강화에 기여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을 통해 태평양 지진해일의 한반도 영향 평가에 활용 ­지진해일 검출시스템을 이용한 지진해일 정량관측으로 지진해일 특보 해제

기준 마련에 기여

­화산지역 원격감시정보 산출을 통한 백두산 등 화산활동 감시업무에 활용

­지진․화산분야에 대한 지구물리자료 활용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