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EAM 교육의 실행 형태 중 수업 영역의 실행 형태조사 결과는 <표 4.20>과 같다. 수업 영역은 수업 형태, STEAM 요소, 교재, 학습 집단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스스로개발 67 (18.3) 49 (51.6) 73 (61.9) 189 (32.6) 창의재단교재 62 (16.9) 14 (14.7) 23 (19.5) 99 (17.1) 기타 19 (5.2) 3 (3.2) 7 (5.9) 29 (5.0) 합 계  367 (100.0) 95 (100.0) 118 (100.0) 580 (100.0) Pearson Chi-Square (6) 115.2011

p-value 0.000

학습집단

개별 59 (16.1) 10 (10.5) 14 (11.9) 83 (14.3) 모둠별 314 (85.6) 84 (88.4) 101 (85.6) 499 (86.0) 전체 집단 15 (4.1) 3 (3.2) 5 (4.2) 23 (4.0)

기타 11 (3.0) 3 (3.2) 5 (4.2) 19 (3.3) 합 계  399 (108.7) 100 (105.3) 125 (105.9) 624 (107.6)

첫째, 어떤 형태로 수업하는가라는 수업 형태에 대한 응답 결과는 [그림 4.12]과 같다.

조사 대상 교사들 중 60.5%가 단독으로 수업한다고 응답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응 답한 교사도 26.4%나 되었으나 STEAM 교육을 위해서 팀티칭을 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9.3%로 많지 않았다.

[그림 4.12]은 학교급에 따라 수업 형태가 어떻게 다른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에 의하면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단독 수업이 감소하고 상황에 따른 수업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 었다.

[그림 4.12] 학교급별 교사의 STEAM 수업 실행 형태

둘째, STEAM의 상황제시, 감성적 체험, 창의적 설계 요소의 수업 반영 여부를 묻는 질

문에 대한 응답을 [그림 4.13]에 제시하였다. 세 가지 모두 반영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38.6%, 두 가지를 반영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25.3%, 한 가지만 반영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31.0%, 전혀 다른 유형의 STEAM을 적용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5.0%로 나타났다. STEAM 요소의 학교급별 큰 차이 없이 세 가지 모두, 한 가지, 두 가지 순으로 STEAM 요소들이 적용된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13] 학교급별 교사의 STEAM 요소 적용 실행 형태

셋째, STEAM 교육에 필요한 교재 사용에 관한 응답의 결과를 [그림 4.14]에 나타내었 다. 조사 대상 교사들의 45.3%는 STEAM 교육을 위해서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교재 유형은 32.6%로 응답한 스스로 개발한 교재였 다. 그리고 창의재단이 개발한 교재는 17.1%의 교사가 이용한다고 대답했고, 기타에 응답한 교사는 5.0%였다.

[그림 4.14]은 학교급에 따라 교사들이 STEAM 교육에 이용하는 교재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과서의 경우 초등학교 교사는 59.7%, 중학교 교사는 30.5%, 고등학교 교 사는 12.7%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교과서 사용 비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스로 개발한 교재는 초등학교 18.3%, 중학교 51.6%, 고등학교 61.9%로 학교급 이 올라감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창의재단 교재의 경우 크게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AM 교재 이용에 대한 학교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그림 4.14] 학교급별 교사의 STEAM 교재 실행 형태

넷째, STEAM 수업을 위한 학생 집단 구성 형태에 대한 응답 결과를 [그림 4.15]에 나 타내었다. 대부분의 교사(86%)가 모둠별 학습을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개별 학습 (14.3%)이나 전체 학습(4.0%)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모둠별 학습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향성은 학교급에 따라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이 결과를 [그림 4.15]에 제시하였다.

[그림 4.15] 학교급별 교사의 STEAM 집단 구성 실행 형태

<표 4.21> 학교급별 교사의 STEAM 평가 및 만족도 영역 실행 형태 단위: 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