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사전면적조절매뉴얼은 파종이나 정식이 이루어지기 전 재배의향을 조사하여 선제적인 수급대책을 시행하는 것이 목적이며, 따라서 재배면적이 과잉되거 나 부족할 것으로 전망될 때 이에 대한 생산자 홍보를 통해 생산자 스스로 수 급조절사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함.

❍ 따라서 품목별 파종·정식 이전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서 발 표하는 재배의향면적 조사 결과와 정식 이후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를 기준 으로 다음과 같이 위기단계별 수급 관련 유관기관의 역할을 제시함.

❍ 주의·경계 단계 시 농업관측본부는 재배의향면적 조사 결과와 정식기 가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관측 속보를 발간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함.

- 면적 증가가 예상될 경우, 농협과 지자체, 의무자조금이 출범한 생산자단체 에서는 재배 자제를 독려하고, 주산지농협과 농민신문 등을 통해 재배의향 증가에 따른 재배 자제 홍보를 강화하거나 필요시 일부 정식면적의 조기 폐 기를 정부에 건의하도록 함.

- 면적 감소가 예상될 경우, 농협과 지자체, 생산자단체는 예비묘 공급을 통한 재배면적 확대를 독려하고 주산지농협과 농민신문 등을 통해 추가 재배의 필요성을 홍보함.

❍ 심각 단계 시 농업관측본부는 재배의향면적의 과잉 또는 부족으로 예상되는 수급불안정 우려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함.

- 면적 과잉이 예상될 경우, 농협과 지자체, 생산자단체와 협의하여 재배 자제 홍보를 강화하고 필요시 과잉이 예상되는 면적의 사전적 면적조절을 정부

- 면적 과소가 예상될 경우, 농협과 지자체, 생산자단체는 예비묘 확보 및 공 급 확대로 재배면적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각종 매체를 통해 추가 재배의 필요성을 적극 홍보함.

❍ 재배면적 실측 결과 면적 과잉으로 수급불안정 발생이 우려될 경우, 생산자단 체는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수급점검회의를 통해 사전 면적조절 필요성, 보전 단가, 면적조절 규모 등 자율적인 수급조절 방안을 도출하여 정부에 건의함.

주요 채소류 산지폐기 현황

단위: 톤, 백만 원

연도 품 목 정 부 농 협

물 량 금 액 물 량 금 액 물 량 금 액

’11 배추 13,646 1,239 - - 13,646 1,239

가을 80,000 4,479 - - 80,000 4,479

가을 20,000 1,685 - - 20,000 1,685

’13 배추 가을 21,893 1,425 - - 21,893 1,425

’14 배추

겨울 16,569 1,957 15,000 1,070 31,569 3,027

22,255 1,331 - - 22,255 1,331

준고랭지 11,150 891 - - 11,150 891

가을 108,865 5,930 12,085 610 120,950 6,540

겨울 29,947 2,440 7,800 600 37,747 3,040

양파 조생 24,000 4,526 - - 24,000 4,526

’15 배추

겨울 33,557 3,606 - - 33,557 3,606

고랭지 - - 2,000 80 2,000 80

가을 - - 15,000 497 15,000 497

겨울 6,698 596 - - 6,698 596

고랭지 - - 3,000 331 3,000 131

’17

배추 2,478 647 - - 2,478 647

가을 20,020 2,536 - - 20,020 2,536

고랭지 - - 1,300 163 1,300 163

가을 14,357 1,494 - - 14,357 1,494

겨울 25,825 5,133 19,210 1,761 45,035 6,894

’18

배추 가을

겨울 10,379 2,121 - - 10,379 2,121

가을

겨울 5,673 1,355 - - 5,673 1,355

양파 조생 - - 6,000 1,885 6,000 1,885

중만생 36,386 9,599 3,000 922 39,386 10,521

마늘 - 908 2,203 - - 908 2,203

’19

배추 겨울 40,378 5,733 9,282 1,392 49,660 7,125 겨울 20,000 4,088 26,562 1,153 46,562 5,241

양파 조생 - - 13,546 3,779 13,546 3,779

중만생 19,234 5,714 65,658 18,931 84,892 24,645

마늘 - 2,030 5,480 - - 2,030 5,480

대파 - 1,038 655 10,828 1,570 11,866 2,225

’20 마늘 - 29,649 48,963 - - 29,649 48,963

대파 - 5,800 3,142 12,600 3,782 18,400 6,924

부 록

김성우·노호영·박한울·강지석·김창수·신성철·최선우·한은수·김다정·윤성주·황의식·

박미성·김원태. 2018.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 개선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각 연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농식품신유통연구원. 2017. 과학기술기반 채소류 수급·유통 고도화 사업단.

농업관측본부. 각 연도. 농업전망.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각 연도. 농수축산물 거래연보.

안병일·최병옥·박미성. 2017. “산지폐기 및 수매비축 사업이 노지채소 가격변동성에 미 친 효과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44(2): 185-209.

이달석·김인석. 2018. “배추 산지폐기의 가격안정화 효과에 대한 사후분석.” 농업경제 연구 59(4): 37-58.

이용선·송선환·노호영·윤성주. 2016. 채소류 수급안정 관련 지방자치단체 협력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헌목. 2016. 채소류 수급안정의 주체, 품목조직.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최병옥·전창곤·김동훈. 2011.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화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병옥·이기현·에시마리에·하정화. 2013. 노지채소 수급안정사업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병옥·이용선·박미성·송선환·노호영·한은수·이형용·윤선희·노수정·김라이. 2015.

5대 민감품목 수급안정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병옥·한은수·김형진. 2018a. 원예농산물 가격 보전사업 타당성 연구.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최병옥·김원태·임효빈. 2018b. 주요 채소류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통계청. 각 연도. 농작물 생산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KREI KASMO.

농협강원지역본부 내부자료.

농협경제지주 내부자료.

제주특별자치도청 내부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AMIS 농수산유통정보. <http://www.kamis.or.kr>.

관세청. 수입무역 통계. <https://unipass.customs.go.kr/ets/>.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