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속담의 개념 및 특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2. 이론적 배경

2.3. 속담의 개념 및 특징

속담의 개념에 관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매우 다양하다. 속담은 애초부터 엄격하게 개념을 규정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 양식이 아니라 하나의 설화적 이야기에서부터 경 구적 어구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관용구로 전승되어 온 표현 양식이기 때문에 학자에 따라 그 정의도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심홍식 2002: 4~5). 먼저 국립국어원 《표 준국어대사전》에서는 속담을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또 는 속된 이야기.”로 정의하고 있다. 이 외에 다른 연구자들이 제시한 속담의 정의를

연구 성과 내용

양영희(1990)

속담은 단일한 의미를 가진 통사론적 구성의 관용어 로 구체적, 개별적인 예를 들어 그 의미를 표현해 주 는 고정된 언어 형식이다. 이와 같이 정의하면, 속담 은 단일한 의미를 가졌다는 점에서 중의적 의미를 갖 는 숙어와 구별되고, 관용어라는 점에서 단순한 사실 진술적인 전언이나 비유적 표현과도 구별된다. 또 고 정된 언어 형식이라는 점에서도 일반문과 구별된다.

김종택(1994) 곧 속담이란 관습성과 통속성, 교훈성을 지닌 말토 막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정종화(1995)

속담이란 역사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긴 세월 동안 사람들이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생활에 본보기 가 될 수 있는 교훈을 짧은 글 속에 표현한 금언으로 써 민중의 입을 통하여 전수되어 내려오는 동안에 한 민족과 한 문화의 공통된 가치관을 담게 되는 그 민 족의 진리, 혹은 그 문화의 지혜로 형성된 예지의 결 정체라고 할 수 있다.

방운규(2004)

속담은 오랜 세월을 통하여 사람들의 생활 경험 가 운데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 서 굳어진 언어 형식이다. 즉 민중들의 지혜와 교훈 을 지닌 은유적인 관용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속담

<표 5> 기존 연구에 나타난 ‘속담’의 개념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은 한 민족, 한 사회, 한 문화의 정신적 사고방식의 특징적인 면을 집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 민족을 알고자 하면 그 민족의 속담을 아는 것이 지름길이 된다.

정기월(2013)

속담은 한 민족이 오랜 생활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 나, 민중이 삶의 과정에서 겪은 생각과 태도를 담고 있는 언어 표현이다. 더불어 그들의 생활 관습과 신 앙까지 내포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그 내용이 고정적 이고 교훈적, 풍자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백성 들이 즐겨 보고 듣는 것을 간결하지만 설득력이 있는 방식으로 나타낸 관용적 표현이다.

<표 5>에서 공통적인 속담의 정의는 오래 전부터 민중의 삶의 지혜와 생각, 태도가 녹아 있는 익숙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일한 의미를 지닌 관용어로서 그 특징 으로는 ‘관습성’, ‘토속성 및 통속성’, ‘교훈성’, ‘풍자성’을 내포한 언어 표 현이라 할 수 있겠다.

속담은 그 형태가 매우 간결하고 내용이 어렵지 않아 민중이 쉽게 기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오랜 시간 동안 잘 전승되어 현재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속 담의 ‘관습성’에 해당한다. ‘토속성 및 통속성’은 한국 고유의 풍속이 속담에 내 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당시 민중의 생활방식과 같은 문화적 요소들을 속담 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교훈성’은 속담이 단순히 의미만 전하는 말이 아닌, 민 중의 행동이나 생활에 지침이 될 만한, 일종의 가르침으로서 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다. 이는 금기를 비롯하여 경계해야 할 것 또는 권장할 만한 것들을 그 예로 들 수 있 다. ‘풍자성’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과장하거나 왜곡 또는 비 꼬아서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민중의 삶에 대한 태도나 가치 관, 신념, 인생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힘들었던 삶 속에서 웃음을 잃지 않으려했던 한국인의 낙천적인 태도가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3. 한국 속담에 나타난 차별적 언어 표현의 유형 및 특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