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포지구 인공 풀판 조성

문서에서 북 한 농 업 동 향 (페이지 85-88)

북한의 농업과학기술

2) 세포지구 인공 풀판 조성

세포지구는 오래전부터 억새가 무성하게 자라던 곳이었다. 이곳을 효과적인 인공 풀판으 로 만들기 위하여 먹이풀의 생태 및 영양학적 요구에 부합되는 적지를 선정하고 배치하여야 한다.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포지구에서 재배하기 적합하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9

개의 먹이풀로서 오리새(오챠드그라스), 큰조아재비(티모시풀), 넓은김의털(페스큐), 기적초(톨 페스큐), 왕꿰미풀(켄터키블루그래스), 호밀풀(호밀), 자주꽃자리풀(알팔파), 붉은토끼풀(자운 영), 그리고 흰토끼풀(토끼풀)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먹이풀들의 적지 선정을 위하여 토양습도, 토양알갱이조성, 방위, 유효 토심, 부식 함량, pH, N, P2O5, K2O 함량을 이용하여 생태 및 영양학적 지표를 만들었으며, 세포지구 의 인공 풀판 886개 포전에서의 적합도를 평가하여 1등급(유리), 2등급(보통), 3등급(불리), 4등급(매우 불리)으로 분류하였다14). 다음으로 매 포전에 배치할 먹이풀들의 등급순위와 우 세적합도를 계산한 뒤 먹이풀의 배치면적을 계산하였다. 인공 풀판의 조성에서 먹이풀의 배 치면적을 결정할 때 먹이풀에 대한 집짐승의 영양요구를 고려하여 오리새, 넓은김의털와 같 은 벼과 먹이풀의 배치면적은 70%, 콩과 먹이풀의 배치면적은 30%로 구성하였다.

4 세포지구의 풀판과 대관령 초지

북한 세포지구의 축산기지화를 정리하면서 대관령 축산목장 개발의 역사가 떠올랐다. 이 는 1970년대 식량작물인 쌀의 자급시대가 열리면서 육류와 우유 등 국민들의 단백질 소비 요구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대관령 목장 및 초지 개발 사업이다15)16). 최근에는 환경오염방 지, 토양유실방지, 산불확산방지 등 산지 초지의 공익적 가치가 대두되면서 대관령 산지 초 지 목장 건설이 다시 추진되기도 하였다. 본 절에서는 대관령 목장과 세포지구 목장의 환경 과 초지를 비교해 보았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의 위치는 해발 790~865m 에 자리잡고 있다. 1981년부터 2010년의 30년 연평균기온은 6.6℃이고 가장 더운 8월의 평균 기온은 19.1℃이며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은 –7.7℃였다17). 연평균 강수량은 1,898mm이며, 7월부터 9월 사이에 강수량의 56%(1,055mm)가 내린다. 환경 조건을 고려 하면 대관령이 우리나라 초지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유로 위 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온도가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이 환경 생태는 북한의 세포지 구나 대관령이나 큰 차이가 없다(표5).

14) 인공풀판조성에서 먹이풀의 적지평가와 최량품종 배치방법. 2015. 박경일, 김경준. 김일성종합대학학 보. 61(12), pp87-92.

15) 삼양목장 개발의 역사 – 삼양목장 홍보관

16) 대관령산지초지목장. 2013. 산지생태축산 우수사례집(농림축산식품부). pp. 91-132

17) 강원도 대관령 목장 현존 식생 및 식물 군집 구조. 2013. 노태환, 한봉호, 김종업, 이민영, 유기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5):579-591

표 5 대관령과 세포군 지역의 생태환경 및 주요 초종

지역 해발높이 기온(℃) 강수량

(mm) 주요 초종

평균 최고 최저

대관령 ~800 mm 6.6 19.1 -7.7 1,898 오리새(오차드그라스), 큰조아재비(티머시그라스), 왕포아풀(켄터키블루그라스), 흰겨이삭

세포군 561.3mm 7.0 20.9 -9.2 1,403

오리새(오챠드그라스), 자주꽃자리풀(알팔파), 붉은토끼풀(자운영), 토끼풀

평강군 351.8mm 8.8 22.7 -7.7 1,251

이천군 121.7mm 9.7 23.1 -6.9 1,306

대관령 한우시험장에서는 초지 유지를 위하여 오리새(오차드그라스), 흰겨이삭, 큰조아재 비(티머시그라스), 왕포아풀(켄터키블루그라스)을 매년 8월 중순 이후에 파종하고 있으며, 이 러한 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복합비료를 1.8 ton/ha 시비하고 있다. 사설 산지 초지 목장의 경우 리드카나리그라스, 티머시그라스, 오차드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등을 주종으로 초지 를 조성하고 있으며, 유기질 비료나 액비를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 초지 주변에는 산림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 산림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소나 무, 피나무, 철쭉, 털진달래, 노린재나무, 팥배나무 등이 우점하고, 초본층으로는 그늘사초, 실새풀, 대사초 등이 우점한다. 이러한 식생은 북한의 분류에서는 관목형 또는 산림형으로 분류된다(표4).

북한의 대외

문서에서 북 한 농 업 동 향 (페이지 85-88)

관련 문서